진흙 속에 피는 연꽃을 좋아하는 까닭

연꽃 

 

오래전부터 연꽃을 유난히 좋아했다. 거실에도 연꽃 그림, 연꽃 사진, 연꽃 도자기 등이 꽤 있다. 그런 작품들을 보며 항상 ‘연심(蓮心)’ ‘연화정신(蓮華精神)’을 잊지 않으려고 애를 쓴다.

우리들의 ‘덕화만발(德華滿發)’도 그런 뜻에서 지은 이름이다. 필자가 일원대도(一圓大道)에 귀의한 지 5년만에 첫 수필집을 발간했다. 책이름이 <진흙 속에 피는 꽃>이다. 젊어 한때, 진흙탕 같은 권투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던 필자가 일원대도를 알고부터 5년간 우러나온 인생의 환희를 서툰 글로 쓴 책이다.

35년 세월이 흘렀다. 그때, 원고를 읽어보던 홍익출판사의 이승용 사장이 눈물을 흘리며 쾌히 출판을 결심했다는 말씀은 가히 충격이고 감동이었다.

그로부터 필자는 연꽃 같은 인생을 살아가느라고 무진 애를 썼다. 한순간도 한눈 팔지 않았다. 일직 심으로 달리고 또 달렸다. 정열을 쏟고 또 쏟았다. 이제 인생 끝자락에 서서 되돌아보니 여간 감개무량한 것이 아니다. 연꽃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며 얼마나 더 닦아야 부처가 될지 가늠해 본다.

연꽃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는 ‘처염상정(處染常淨)’이다. 더러운 곳에 있어도 항상 깨끗하다는 의미다. 탐‧진‧치(貪瞋痴) 삼독(三毒)에 물든 중생들이 사는 사바세계(娑婆世界)에서도 깨달음의 향기를 잃지 않는 것이 연화(蓮花)다. 바로 이 연꽃이 불교와 원불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네팔의 룸비니동산에서 고타마 싯다르타가 태어났다는 ‘평성(平石)’을 보았다. 어머니 마야부인의 옆구리에서 태어난 고타마 싯다르타가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떼어 놓을 때마다 연꽃이 피어났다고 한다. 불교의 시작이 이렇게 연꽃과 함께 한 것이다.

아기 부처님과 연꽃의 인연은 후대인들이 각종 벽화나 불화(佛畵)에 연꽃을 그려 넣었다. 지금도 사찰 벽화나 불화 등에는 아기 부처님이나 동자들이 연꽃 위에 앉아 있거나, 뛰어노는 모습을 표현한 사례를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또한 불상을 봉안하는 좌대를 연화대라고 한다.

또 불상 뒤 대부분의 ‘광배(光背)’도 ‘연화화생(蓮華化生)’으로 표현하고 있다. 광배를 연화화생으로 표현하고 연화대에 불상을 모시는 것은 곧 불가에 귀의해 수행정진 하겠다는 원력(願力)의 표현이다.

<화엄경>(華嚴經) ‘탐현기’(探玄記)에는 연꽃의 덕을 네가지로 설명한다. 하나는 향(香, 향기)이고, 둘은 결(潔, 고결), 셋은 청(淸, 맑음), 넷은 정(淨, 깨끗함)이다. 비록 중생이 사는 세간이 무명(無明)과 탐욕으로 얼룩져 있지만, 진리를 상징하는 연꽃은 청정하고 깨끗하여 맑은 향기를 전한다는 의미다. 이런 까닭에 부처님이나 불교 관련 성보(聖寶)를 모시는 자리를 연꽃으로 장엄하고 있다.

이렇게 연꽃을 불가의 상징으로 여기는 이유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첫째, 진흙 속에 피는 꽃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더러운 곳에 있어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꽃을 피운다.

둘째, 진리를 상징하는 것이다.
연꽃은 꽃잎이 필 때 씨방도 함께 여문다. 즉, 꽃이 자랄 때 꽃잎과 씨방이 같이 자라는 것이다. 인과를 상징하고, 과거, 현재, 미래, 삼세(三世)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불성(佛性)이 있기 때문이다.
꽃을 활짝 피운 연꽃은 씨앗이 떨어져 아무리 오랜 시간이 흘러도 썩지 않는다. 그렇게 인고의 세월을 보내다 인연이 되면 다시 꽃을 피우는 것이다.

성인(聖人)은 아무것에도 매이지 않고 사랑하거나 미워하지 않는다. 또 슬픔도 인색함도 성인을 더럽히지 못한다. 이를테면, 연꽃잎에 물방울이 묻지 않듯이, 성인은 보고 배우고 사색한 어떤 것에도 더럽혀지지 않는다.

수도인의 상징은 연꽃이다. 우리 ‘맑고 밝고 훈훈한 진흙 속에 피는 연꽃의 길’을 함께 가면 여한이 없겠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