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10/28] 이스라엘, 요르단강 서안지역 정착촌 추가 건설 강행

1. ‘중화권 부호 1위’ 중국 생수기업 농푸 창업자
– 중국 생수 업체 농푸산취안(農夫山泉) 창업자인 중산산(鍾??·67)이 중화권 최고 부자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중국 부자연구소인 후룬연구원(胡潤硏究院)이 27일 발표한 ‘후룬 중국 부자 명단 2021’에서 중산산이 개인 재산 606억달러(약 70조9천억원)로 중화권 최고 부자를 차지했다고 홍콩 공영방송 RTHK가 보도.
– 중산산은 후룬연구원이 지난 1월 기준으로 집계한 ‘2021 글로벌 부호 명단’에서도 중국 최고 부자를 차지했으며, 그에 앞서 지난해 11월 포브스가 집계하는 ‘세계 부호 리스트’에서도 중국 1위에 올랐음. ‘후룬 중국 부자 명단 2021’에서 2위는 틱톡을 보유한 바이트댄스의 창업자 장이밍(張一鳴·38)이 차지. 그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3배 증가한 528억달러(약 61조8천억원)로 집계.
– 반면 한때 중국 최고 부자자리를 지켰던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馬雲)과 그의 가족은 5위에 머물렀음. 후룬연구원은 “알리바바의 금융 계열사 앤트그룹의 상장이 중단되고, 알리바바가 독점행위로 28억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은 후 순위가 떨어졌다”고 설명. 홍콩 최대 부호인 리카싱(李嘉誠·93) 청쿵(CK)그룹 창업자와 그의 가족은 재산 334억달러(약 39조원)로 8위에 올랐음.
– 후룬연구원은 이번에 중국의 두 특별행정구인 홍콩과 마카오, 그리고 대만을 포함한 중화권 부자 명단을 처음으로 발표했다고 RTHK는 설명. 후룬연구원은 20억위안(약 3천465억원) 이상의 재산을 소유한 중국 최고 부자가 총 2천918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 이는 전년도보다 520명(22%) 증가한 것. 또 총 197명이 이번에 처음으로 중국 부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음.

2. 헝다회장, 1천억 주택 담보대출…당국 “개인재산으로 해결하라”
– 350조원에 이르는 빚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몰린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의 회장이 홍콩의 고급 주택을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다고 홍콩매체 HK01이 27일 보도. HK01은 헝다 창업자인 쉬자인(許家印) 회장 부부가 거주해온 홍콩 최고 부촌인 피크의 단독주택이 지난 19일 중국건설은행에 담보로 잡힌 것을 토지등기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음.
– HK01은 464.51㎡(약 140.51평)인 해당 주택의 시세는 약 7억 홍콩달러(약 1천55억원)이며, 집값의 40%인 3억 홍콩달러(약 452억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고 설명.
– 앞서 전날 블룸버그는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헝다가 지난달 23일 달러 채권 이자 상환을 하지 못한 직후 쉬 회장에게 개인 자산을 동원해 문제를 해결하라고 요구했다고 보도. 다만 블룸버그는 쉬 회장의 개인자산이 헝다 부채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 만큼 많은지는 확실치 않다고 지적. 쉬 회장의 자산 대부분은 올해 80% 이상 폭락한 헝다 주식.
–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2017년 420억 달러(약 48조9천700억원)로 정점을 찍은 쉬 회장의 자산 가치는 78억 달러(약 9조900억원)로 쪼그라든 상태. HK01도 “올해 6월말 기준 헝다의 부채 규모는 3천억 달러(약 351조원)에 달하는데, 이번에 대출받은 3억 홍콩달러는 새발의 피에 불과하다”고 지적.

3. 日 기시다 총리, 동아시아정상회의에서 中 인권·대만 문제 언급
–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27일 화상으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중국 인권 및 대만 문제를 언급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 보도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이날 밤 총리관저 기자단에 EAS 등에서 홍콩 및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와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언급했다고 밝혔음.
– EAS에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과 한국·미국·중국·일본 등 18개국이 참여. 기시다 총리의 전임자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도 총리 재임 중 다자 및 양자 정상회의에서 중국 인권 및 대만 문제를 언급한 바 있음.
– 기시다 총리는 EAS에서 “동중국해에서 일본의 주권을 침해하는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고 발언했다고 기자단에 밝히기도 했음. 이는 일본이 자국 영해로 인식하는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주변 해역에 중국 관광선이 자주 진입하는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 일본이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센카쿠열도는 일본과 중국 사이의 영유권 분쟁 지역.
– 기시다 총리는 EAS에 앞서 이날 오후 화상으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와 일본-아세안 정상회의에도 참석. 아세안+3 정상회의는 화상 형태이긴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처음 대면하는 자리. 기시다 총리는 이 회의에서 북한 정세와 관련해 “이번 달에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 기시다 총리는 일본-아세안 정상회의에선 “법의 지배에 기초한 자유롭고 열린 해양 질서에 대한 도전에 강하게 반대한다”며 중국의 동·남중국해 진출 강화를 겨냥한 듯한 발언도 했음.

4. ‘위드 코로나’ 싱가포르 신규확진자 5324명 기록
– ‘위드 코로나’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싱가포르에서 역대 가장 많은 5천명 이상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나왔음. 일간 스트레이츠타임스 등 현지 언론은 28일 보건부 발표를 인용, 전날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5천324명 나왔다고 밝혔음. 싱가포르에서 하루에 확진자가 5천명 이상 나온 것은 처음. 기존에는 신규 확진자가 4천명을 넘은 적도 없었음. 하루 전인 26일 확진자 3천277명보다 2천명 이상 늘어난 수치.
– 보건부는 확진자 수가 비정상적으로 높다면서 원인을 들여다보고 있으며, 향후 수 일간 발생 추세를 지켜볼 예정이라고 밝혔음. 신규확진자 외에 50∼90대 10명이 코로나19로 사망. 이들 중 1명만 제외하고는 모두 백신을 맞지 않았다고 보건부는 설명.
– 싱가포르 정부는 이미 7월부터 위중증 환자 관리에 중점을 두며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위드 코로나’를 채택. 백신을 맞을 경우,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경증이나 무증상일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 인구 545만명인 싱가포르의 백신접종 완료율은 84%로 세계 최고 수준.
– 27일을 기준으로는 28일 동안의 확진자 9만203명 중 98.7%가 무증상 또는 경증. 산소호흡기가 필요한 중증 환자는 0.9%,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는 0.1%로 각각 집계됐으며 사망자는 0.2%. 앞서 정부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 공동 의장인 간킴용 통상산업부장관은 이달 초 기자회견에서 신규확진자가 5천명 이상 나올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도, “압도적 다수는 무증상이거나 매우 가벼운 증상을 보여 집에서 빠르게 회복할 것”이라고 언급.

5. ‘경제난’ 파키스탄, ‘수니파 우방’ 사우디로부터 5조원 지원받기로
– 심각한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는 파키스탄이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42억달러(약 4조9천억원)를 지원받기로 했다고 파키스탄 언론이 27일(현지시간) 보도. 파와드 차우드리 파키스탄 공보부 장관은 사우디가 자국 국영은행에 현금 30억달러(약 3조5천억원)를 예치하기로 했다고 밝혔음. 차우드리 장관은 또 원유 수입 대금 지급을 미루는 방식으로 12억달러(약 1조4천억원)를 추가 지원받는다고 덧붙임.
– 파키스탄과 사우디는 오랜 이슬람 수니파 우방으로 사우디는 2018년 10월에도 이번과 비슷한 형태로 60억달러(약 7조원)를 지원한 바 있음.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미국 등 서방과 관계가 원만하지 않아 돈을 빌릴 나라가 많지 않은 파키스탄의 절박한 상황을 고려해 사우디가 다시 ‘구원투수’로 나선 셈. 현재 파키스탄은 사우디 이외 중국과 아랍에미리트(UAE) 등 일부 국가에서만 차관 도입에 성공한 상태.
– 앞서 파키스탄은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 등으로 인해 부채 급증과 외화 부족 등 경제 위기를 겪어왔음. 양국은 2015년 4월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 내 카스(喀什)에서 파키스탄 남부 과다르항까지 3천㎞에 이르는 도로와 철도, 에너지망 등을 구축하기로 합의하는 등 여러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추진했지만 파키스탄은 이 과정에서 천문학적인 빚을 졌음.
– 글로벌 경제 데이터 기업 CEIC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파키스탄의 대외 채무는 1천163억달러에 달함. 와중에 지난해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쳤음. 더뉴스 등 현지 언론은 이날 파키스탄 경제가 약 70년 만에 가장 심각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다고도 보도. 파키스탄의 지난해와 올해(9월까지) 물가상승률은 각각 9.74%,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요르단강 서안 유대인 정착촌 건설현장 <사진=EPA/연합뉴스>

6. 이스라엘, 요르단강 서안지역 정착촌 추가 건설 강행
– 이스라엘이 미국의 강력한 반대를 무릅쓰고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 지역에 정착촌 추가 건설을 밀어붙이고 있음. 27일(현지시간) 현지 언론과 AFP통신에 따르면 요르단강 서안의 건설사업을 승인하는 이스라엘 국방부 산하 계획협의회는 이날 정착촌 내 1천800 가구의 신규 주택 건설을 최종 승인. 또 협의회는 또 다른 1천344가구의 유대인 정착민용 주택 건설안도 임시 승인.
– 이스라엘의 정착촌 주택 신규 건설 승인은 현 집권 연정 출범 후 처음. 또 정착촌 확장을 반대하는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로도 처음.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팔레스타인 주민이 사는 요르단강 서안을 점령한 뒤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해왔음.
– 요르단강 서안의 정착촌 130여 곳에는 유대인 약 60만여 명이 거주. 국제사회는 정착촌 건설을 불법으로 봄. 이스라엘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당시에는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고 정착촌 건설을 승인. 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별도의 국가로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는 바이든 행정부는 정착촌 건설이 팔레스타인과 갈등의 골을 깊게 한다며 반대해왔음.
– 이번 추가 건설 계획 승인 직전에도 미국은 강력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음.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서안에 주택 수천 채를 지으려는 이스라엘의 계획을 깊이 우려한다”며 “긴장을 낮추고 평온을 보장하려는 노력에 부합하지 않는 정착촌 확대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음. 프라이스 대변인은 또 “이는 두 국가 해법에 대한 전망을 훼손한다”고 지적.
– 미국의 강력한 반대를 무릅쓴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장 승인에 현지 언론에서는 바이든 대통령과 나프탈리 베네트 이스라엘 총리의 밀월이 끝났다는 분석 기사가 나오기도 했음. 정착촌 확대 문제는 미국과 유럽 등 국제사회와의 갈등뿐만이 아니라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올 전망.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