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8/9] ‘부스터샷’ 이스라엘 “부작용 발생 비슷하거나 적어”
1. 중국, 도쿄 극찬하며 베이징올림픽 의지 강조
– 공격적이고 배타적인 중국 관영매체가 8일 폐막하는 도쿄올림픽을 향해 ‘전례 없는 난관을 극복했다’고 극찬.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서방의 보이콧 움직임에 맞서 올림픽을 반드시 개최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옴.
–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6일 전문가들을 인용해 도쿄올림픽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엄격한 방역 조치를 통해 대규모 국제행사가 가능하단 것을 보여줬다”고 보도. 또 선수 감염도 있긴 했지만, 대회엔 영향이 없었다며 “올림픽 관련 감염은 (보도일 기준) 400명도 되지 않는다”고 평가.
– 그러나 국수주의 성향이 강한 글로벌타임스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자국민조차 ‘취소하라’는 여론 속에서 강행한 도쿄올림픽을 극찬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 도쿄올림픽이 코로나19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분명한 상황을 고려하면 ‘동계올림픽 개최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안팎에 발신하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옴.
– 중국은 동계올림픽 분위기 조성을 위해 다음 달 2일부터 7일까지 베이징의 국가회의센터와 수도철강 단지에서 ‘동계올림픽 박람회’를 개최. 또한 코로나19 속에서 올림픽이라는 대규모 국제행사를 개최한다는 ‘동병상련’의 심경도 담긴 것으로 보임.
– 아울러 서방의 동계올림픽 보이콧에 맞서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해석도 있음. 영국 하원은 최근 중국 정부의 신장(新疆) 인권 탄압 등을 이유로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을 결의. 유럽의회도 지난달 홍콩 반중매체 빈과일보 폐간과 홍콩 사회의 자유 침해에 대응해 동계올림픽 외교 보이콧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 중국 정부는 동계올림픽을 반드시 개최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강조.
2. 중국, 바이든 행정부 홍콩 비판에 엄중 항의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일(현지시간)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등을 비판하며 홍콩 인권 문제 등을 지적한 것과 관련해 중국 정부가 뒤늦게 엄중히 항의. 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화춘잉(華春瑩) 외교부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의 홍콩 관련 발언과 각서 서명에 대해 전날 기자와 질의응답 형식을 통해 이런 입장을 표명.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홍콩에서 자유를 박탈당한 주민에게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은 미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며 미국에 체류 중인 홍콩 주민의 추방을 18개월간 유예하는 각서에 서명한 바 있음. 화춘잉 대변인은 “미국의 이 각서는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및 중국의 홍콩 통치 정책을 공격하고 먹칠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홍콩 문제와 중국 내정에 또다시 악랄한 표현으로 간섭하고 있다”고 지적.
– 화 대변인은 “중국은 이에 대해 강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하며 이미 미국에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고 밝혔음. 중국은 특정 사안에 대해 외교 경로로 항의한 경우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는 표현을 사용. 화춘잉 대변인은 “홍콩보안법을 통해 홍콩을 회복하고 홍콩 주민에게 정당하고 합법적인 권익을 제공했다”면서 “홍콩 주민에게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한다고 하는 미국의 주장은 터무니없는 것으로 홍콩의 안정을 해치고 중국의 발전을 막으려는 의도”라고 비판.
3. 올림픽 완주 日스가 내각 지지율, 출범 첫 30% 붕괴
–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내각의 지지율이 작년 9월 출범 후 처음으로 30% 밑으로 추락. 아사히신문은 지난 7~8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395명(유효 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 여론조사를 한 결과, 스가 내각 지지율은 28%로 조사됐다고 9일 보도. 스가 내각 지지율이 일본 주요 언론사 여론조사에서 3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
– 아사히신문이 지난달 17~18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스가 내각 지지율은 31%로, 올림픽 기간 3%포인트 하락한 셈. 2차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2012.12~2020.9) 때의 아사히 여론조사 기준 최저 지지율(2020년 5월) 29%보다도 낮아졌음. 스가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도 직전 조사 때 49%에서 이번에 53%로 4%포인트 상승.
– 도쿄올림픽과 관련해 스가 총리가 언급한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대회”가 ‘이뤄졌다’는 답변은 32%에 그쳤고, ‘되지 않았다’는 답변은 54%에 달했음.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23%에 그쳤고, 부정적인 평가가 70%에 달했음. 스가 총리의 코로나19 대처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는 응답이 66%에 이르렀음.
– 올해 9월 말로 자민당 총재 임기가 끝나는 스가 총리가 총재로 재선돼 총리를 계속하기를 원하냐는 질문에는 60%가 “계속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답변. 다만, 도쿄올림픽 개최에 대해서는 “좋았다”는 응답이 56%로 “좋지 않았다”는 응답 32%를 크게 상회. 올림픽 개막 전후 일본 주요 언론사의 여론조사에서도 스가 내각 지지율은 출범 후 최저치로 추락한 바 있음.
4. 대만 공공기관, 중국산 정보통신제품 사용 전면금지
– 대만이 미국의 중국 IT(정보기술) 기업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8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은 대만 행정원이 대만 내 모든 공공기관에 올해 연말까지 중국 정보통신 제품의 사용을 전면 금지토록 하는 공문을 발송했다고 전했음.
– 정부의 한 관계자는 행정원이 중앙과 지방의 모든 공공기관에 올해 연말까지 중국산 정보통신제품의 전면 교체토록 했다고 요구했다고 밝혔음. 이어 연말까지 교체가 불가능한 해당 공공기관은 행정원에 그 이유 및 교체 완료 시기에 대해 반드시 보고해야 한다고 덧붙였음.
– 대만언론은 이미 미국 정부의 집중 제재대상인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 제품 외 폐쇄회로(CC)TV를 비롯한 세계 최대 감시장비 제조업체 하이크비전(Hikvision·海康威視) 제품도 사용금지 대상에 포함됐다고 전했음. 이어 행정원의 5월 통계를 인용해 대만 공공기관 2천596곳에서 1만9천256개의 중국 정보통신제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
– 그중 세계 최대 드론제조업체인 DJI(大疆創新) 제품은 717곳 1천848개,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기업 티피링크(TP-LINK·普聯) 제품은 423곳 1천632개, 하이크비전 제품은 309곳 1천76개 순. 관계자는 행정원이 2019년 7월께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던 중국산 제품의 ‘블랙리스트’ 발표가 중단된 것이라고 밝혔음. 이는 블랙리스트 발표로 인한 (중국과의) 마찰과 정부의 발표가 정보통신 제품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풀이.
5. 미얀마 ‘8888 시위’ 33주년‥전역서 반군부 시위
–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지 6개월이 넘은 미얀마 곳곳에서 8일 반군부 시위가 벌어졌음. 이날 시위는 이른바 ‘8888 시위’ 33주년을 맞아 열렸음. 8888 시위는 1988년 8월8일 당시 미얀마 수도 양곤에서 수 만 명의 학생들이 절대권력을 휘두른 독재자 네윈 장군의 하야와 민주화를 요구하는 가두시위를 벌인 것을 일컫음.
– 이라와디 등 현지 매체 및 외신에 따르면 최대 도시 양곤과 제 2도시 만달레이 등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도심 게릴라식 시위 또는 거리 행진이 이어졌음. AFP 통신은 시위대가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 민족동맹(NLD)을 상징하는 빨간색 옷을 입고 8888 시위를 상징하는 손가락 8개를 들어 올린 채 반군부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고 보도.
– 만달레이에서 시위에 참여한 사이 윈은 통신에 “1988년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군부 독재는 여전히 살아있다”면서 “우리나라를 덮은 검은 그림자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음. 페이스북 등에 올라온 동영상에는 ‘미완의 8888 시민 혁명을 향해 함께 투쟁하자’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들고 행진하는 시위대도 보인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음.
6. 탈레반, 쿤두즈 등 주도 추가 장악…매주 3만명 아프간 탈출
– 미군이 대부분 철수한 아프가니스탄에서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이 총공세를 펴는 가운데 북부 주요 도시 쿤두즈 등 주도(州都) 2곳이 추가로 탈레반에 의해 장악됐다고 AFP통신이 8일 보도. 통신은 이날 탈레반의 성명과 현지 주민 등을 인용해 쿤두즈, 사르-에-풀 등 두 도시가 차례로 탈레반 손에 넘어갔다고 전했음.
– 북부의 주요 거점인 두 도시는 동명 주(州)의 주도로 이로써 탈레반은 지난 6일 이후 4개 주도를 장악. 아프간에는 총 34개의 주가 있음. 전통적으로 반(反)탈레반 세력이 강했던 북부 지역마저 차례로 탈레반에 함락됨에 따라 아프간 정부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해지게 됐음.
– 탈레반이 앞서 장악한 도시들은 무정부 상태의 혼란 속으로 빠져들고 있음. 톨로뉴스 등 아프간 언론에 따르면 탈레반이 최근 점령한 남서부 님로즈주의 주도 자란지와 북부 자우즈잔주의 주도 셰베르간 등에서는 약탈과 탈옥 등이 빚어지고 있음. 특히 셰베르간은 반탈레반 성향 유력 군벌인 압둘 라시드 도스툼의 근거지. 외신에 따르면 탈레반이 주도를 점령한 것은 2016년 이후 처음.
– 이에 대해 아프간 정부 측은 탈레반을 강력하게 비난. 샤후사인 무르타자위 아프간 대통령 보좌관은 “이런 상황은 탈레반이 통치나 공공 서비스 제공 등에 대해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현재 탈레반은 ‘약탈의 정책’을 따르고 있다”고 밝혔음. 북동부 타카르주의 주민 라시드 파랑은 “정부 건물과 다리같은 공공 재산은 반드시 보호돼야 한다”고 지적.
–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매주 3만명 이상의 아프간인이 국경을 넘어 탈출하고 있다”고 보도. 아프간 정부 재난관리부의 굴람 바하운딘 자일라니 부장관은 지난달 8일 “지난 한 달 반 동안 26개 주에서 3만2천384 가구가 집을 떠났고, 지난 2년간 탈레반의 잔혹 행위로 인해 500만명이 난민이 됐다”며 국제사회가 이들을 도와주기를 바란다고 호소.
7. 아람코 상반기 순이익 54조원, 작년 대비 2배 증가
–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두 배 넘게 증가했다고 AP 통신 등이 8일(현지시간) 보도. 아람코는 이날 낸 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472억 달러(약 54조원)를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지난해 같은 기간 순이익 233억 달러(약 26조원)보다 103% 증가한 수치.
– 특히 올해 2분기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한 255억 달러(약 29조원)에 달했음. 아민 나세르 아람코 최고경영자(CEO)는 “(실적은) 전 세계 에너지 수요의 강한 반등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음.
– 그는 “코로나19 변이가 확산하는 등 불확실성이 남아있지만, 우리는 변화하는 시장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자평. 팬데믹 이전이었던 2019년 아람코의 순이익은 약 100조원이었고, 2018년엔 약 125조원을 기록. 코로나19 충격이 세계 경제에 영향을 준 지난해 순이익은 1천837억6천만 리얄(약 490억달러·56조원)에 그쳤음.
8. ‘부스터샷’ 이스라엘 “부작용 발생 비슷하거나 적어”
– 이스라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3차 접종한 결과 2번째 접종 때와 비슷하거나 적은 정도의 부작용이 나타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음. 이스라엘은 전염력이 강한 델타 변이 확산을 막기 위해 약 열흘 전부터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이른바 ‘부스터 샷’으로 불리는 3차 접종을 시작.
– 아직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부스터 샷 접종을 공식 승인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스라엘이 안전과 효과성의 시험대가 된 셈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 이스라엘 최대 의료관리기구인 클라릿은 이날 24만명 이상에게 화이자 부스터 샷을 접종했다고 밝혔음.
– 지난 7월30일∼8월1일 사이 부스터 샷을 접종한 4천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8%는 두 번째 접종 때와 느낌과 비슷하거나 나아졌다고 대답. 또 31%는 부작용이 있었다고 대답했으며, 이들은 대개 접종 부위에 따갑고 화끈거림이 느껴졌다고 밝혔음. 이어 1% 정도는 한 가지 이상의 부작용이 나타나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았고, 0.4%는 호흡 곤란을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음.
– 클라릿 측은 “이번 조사 결과가 초기 단계이고, 접종자가 스스로 보고하는 방식이었지만 2차와 3차 접종의 부작용을 비교할 수 있었다”라며 “부스터 샷의 부작용이 2차 때와 비슷하거나 적었다”라고 말했음. 클라릿은 또 “아직 부스터 샷의 효과와 안전에 대한 장기적 조사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60세 이상 인구의 면역력 증강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라고 밝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