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2/3] 미얀마 ‘시민 불복종’ 운동 확산…군부 “쿠데타 불가피, 선동 경고”
[아시아엔 편집국] 1. 중국 알리바바, 당국 고강도 압박에도 4분기 매출 37% 증가
– 마윈(馬雲)의 도발적인 정부 비판 후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등 핵심 사업을 겨냥한 중국 당국의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서도 알리바바가 작년 4분기 양호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음. 그러나 시장에서는 알리바바의 핵심 사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커 이번 분기 실적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분위기도 강함.
– 일반 주주 귀속 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794억2천700만 위안을 기록. 매출 증가는 핵심 사업 분야인 전자상거래 분야가 견인했다. 전자상거래 부문 매출은 1천955억4천100만 위안으로 작년 동기보다 38% 증가. 알리바바가 그룹 차원에서 의욕적으로 육성 중인 클라우드 부분도 작년 4분기 처음으로 흑자를 냈음.
– 그러나 알리바바의 성장성을 크게 저하할 수 있는 중국 당국의 규제가 과연 어디까지 갈지 예단할 수 없는 상황. 마윈은 작년 10월 금융 포럼에서 당국이 앤트그룹 같은 핀테크 기업에 전통적 규제를 적용해서는 안 된다면서 도발적 어조로 정부를 비판. 이 직후 세계 최대 규모가 될 예정이던 앤트그룹 상장은 전격 취소됐고 이후 당국은 반독점, 개인정보 보호 등 여러 명분을 앞세워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등 알리바바그룹의 핵심 사업 관련 규제를 강화 중.
– 알리바바를 향한 중국 당국의 압박이 본격화한 것은 작년 4분기의 중반인 11월부터였다는 점에서 규제 강화에 따른 영향이 아직 온전히 확인됐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도 있음. 블룸버그 통신은 “알리바바는 당국의 규제가 마윈 제국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에 관한 답을 거의 내놓지 못했다”며 “투자자들은 알리바바가 특히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계속 성장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을 던지고 있다”고 지적.
2. 中 인터넷 기업 더우인, 텐센트에 ‘반독점 소송
– 중국 최대의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중국명 텅쉰<騰迅>)와 중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 중인 인터넷 기업 바이트댄스(중국명 쯔제탸오둥<字節跳動>)가 치열한 신경전 끝에 소송을 불사. 3일 차이신(財新)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짧은 동영상 플랫폼인 더우인(?音)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는 전날 베이징 지식재산권 법원에 텐센트를 상대로 한 민사 소송을 냈음.
– 더우인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틱톡의 중국 지역 서비스로 이용자가 5억 명이 넘음. 바이트댄스가 문제 삼은 것은 중국의 ‘국민 메신저’인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에서 더우인 링크를 공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텐센트의 정책. 바이트댄스는 이런 행위가 반독점법이 규정한 독점적 지위의 남용을 통한 경쟁 제한 행위에 해당한다면서 9천만 위안(약 155억 원)의 손해배상을 요구.
– 위챗은 2018년부터 이용자들이 더우인의 링크를 공유할 수 없도록 기술적 제한을 적용. 때문에 위챗 이용자가 더우인 영상을 공유하고 싶다면 직접 해당 영상을 자기 스마트폰에 내려받은 뒤 그 영상을 위챗에 다시 공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 텐센트는 거꾸로 바이트댄스가 과거 위챗에서 부정한 방법으로 이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취득해 악용한 사례가 있다면서 바이트댄스를 상대로 역소송을 내겠다고 밝혔음.
– 두 회사의 법적 다툼은 처음이 아님. 2018년에도 바이트댄스는 부정 경쟁 행위를 이유로 베이징시 법원에 텐센트를 상대로 한 소송을 냈지만 기각. 바이트댄스가 다시 이 문제를 법정으로 끌고 간 것은 반독점이 중국 당국의 최우선 정책 과제로 부상한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보임.
3. 긴급사태 연장 일본, 1분기 10%대 마이너스 성장 전망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긴급사태 연장으로 일본 경제가 ‘더블딥'(double dip·경기회복 후 재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외출 자제와 음식점 영업시간 단축 등을 골자로 한 긴급사태 발령 시한 연장으로 소비가 줄어 올해 1분기(1~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0% 이상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
– 3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SMBC닛코증권은 긴급사태 시한이 다음 달 7일까지 1개월 연장된 것을 반영해 1분기 일본 실질 GDP 성장률이 전기 대비 연율로 -11.5%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 회복 국면에 접어든 일본 경제가 더블딥에 빠지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산케이는 전망. 일본 경제는 코로나19 긴급사태가 발령됐던 작년 2분기에 크게 뒷걸음질 쳤지만, 3, 4분기에는 플러스 성장세를 기록.
– 일본 정부는 작년 여름부터 경기에 대해 “회복 움직임을 보인다”는 견해를 유지해왔음. 그러나 지난달 8일부터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발령된 긴급사태가 1개월 연장됨에 따라 경기 회복세가 꺾일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다이이치세이메이(第一生命)경제연구소는 1월에 발령된 긴급사태가 2개월 지속되면 GDP는 3조엔(약 32조원) 감소해 연간 GP 성장률은 0.5%포인트 하락한다고 전망. 고용 감소 우려도 제기되고 있음. 이 연구소는 GDP가 1조엔 줄면 6개월 후 실업자는 5만2천명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경우에 적용하면 실업자가 약 16만명 늘어난 셈이라고 분석.
4. 미얀마 ‘시민 불복종’ 운동 확산…군부 “쿠데타 불가피, 선동 경고”
– 미얀마에서 지난 1일 발생한 군부의 전격적인 쿠데타에 항의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이 점차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음. 군부는 쿠데타는 불가피한 것이었다며 폭동이나 사회 불안을 조장하지 말라고 경고. 향후 시민들의 저항 양상에 따라 군이 강력히 대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옴
– 3일 외신 및 현지 SNS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를 전후로 최대 상업도시 양곤에서 일부 시민들이 자동차 경적을 울리고 미얀마 문화에서 악마를 쫓아낸다는 냄비나 깡통을 두드리는 방식으로 쿠데타에 대한 항의의 뜻을 나타냈음. 구금된 아웅산 수치 고문이 성명을 통해 시민들에게 쿠데타를 거부하고 항의 시위를 벌이라고 촉구한 데 대한 호응으로 보임.
– 통신은 애초 수 분간 계획됐던 이런 항의는 일부 지역에서는 15분 이상 지속됐으며, 군부에 의해 구금된 수치 고문의 안녕과 자유를 요구하는 외침도 들렸다고 전했음. 한 네티즌은 트위터에 관련 영상을 올리고 “이것이 우리가 불법적인 군부 쿠데타에 대항하는 방법. 양곤에서 쇠 냄비를 두들기고 차량 경적을 울린다”고 적었음.
– 이런 가운데 쿠데타로 전권을 잡은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전날 총선 부정 의혹에 대한 계속된 항의가 묵살된 만큼, 군부가 정권을 잡은 것은 불가피했다고 주장. 쿠데타 이후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입장이 알려진 것은 처음.
– 그는 군부의 거듭된 총선 부정 조사 요청을 선관위가 묵살했다면서 “이 길은 국가를 위해 불가피하게 선택된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음. 군부정권은 또 시민 불복종 움직임을 겨냥, “폭동과 불안을 조장하기 위해 소셜미디어에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매체나 개인은 처벌받을 수 있다”며 강력 경고.
5. 이란, 동결자금 미해결에도 한국선원 석방‥바이든 행정부 의식 가능성
– 이란 정부가 2일 억류 중이던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의 선원 대다수를 석방한다고 발표한 것은 충격요법을 통해 ‘동결자금 문제 환기’라는 소기의 성과는 달성했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옴. 어차피 미국의 협조 없이는 동결자금 문제가 해결될 수 없는 상황에서 사태 장기화는 오히려 역효과만 낼 수 있다는 생각도 깔려있었을 것으로 보임.
– 이란은 선박과 선원을 억류한 이유로 해상오염에 따른 사법절차를 들고 있지만, 속내는 한국 시중은행에 동결된 이란중앙은행 명의의 자금 70억 달러(약 7조6천억 원)의 해제에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 이란 측에서 선박 나포와 동결자금 문제는 무관하다면서도 ‘동결자금 문제에 진전이 있으면 석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보내왔음.
– 지난달 4일 약 한 달만에 이뤄진 석방 조치는 동결자금 해제 문제에 있어 눈에 띄는 진전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서 나왔음. 한국과 이란은 동결자금으로 의료 장비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0) 백신 등 의약품을 구매하는 방안, 유엔 분담금을 내는 방안 등을 협의해왔지만, 아직 최종 결론에 이르지는 못함.
– 이에 대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이란 측에서 미국과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에서 우호적인 제스쳐를 취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옴. 어차피 동결자금 해제를 위해선 미국 측의 협조가 필요한데 한국인을 계속 억류하고 있어봤자 오히려 역효과만 날 뿐이라고 여겼을 수 있다는 의미.
6. “이스라엘 화이자 백신 실제 접종 부작용 0.3% 미만”
– 이스라엘에서 진행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실제 접종에서 부작용 발생비율이 0.3% 미만으로 조사. 이스라엘 보건부는 2일(현지시간) 그동안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실제 접종후 보고된 부작용을 집계해 이날 상세히 소개.
– 1차 접종을 마친 276만8천200명을 조사한 결과 총 6천575건의 부작용이 보고돼 부작용 발생비율은 0.24%. 또 2차 접종자 137만7천827명 중 부작용을 호소한 사람은 3천592명으로 그 비율이 0.26%. 이스라엘 보건부는 또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이 대부분 “가볍거나 빨리 지나갔다”고 기술. 1차 접종 후 부작용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건수는 100만 명당 17명, 2차 접종의 경우 100만 명당 3명에 불과.
– 보건부는 “백신 접종 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려온 전 세계 많은 사람에게 마음의 평안을 줄 수 있는 결과”라며 “코로나19 백신이 유발하는 부작용 빈도와 성격은 다른 백신과 유사하다”고 진단. 보건부는 “통상 2차 접종 후 부작용으로 몸이 안 좋은 느낌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조사 결과는 그런 부작용이 의학적 불만으로까지 증폭되는 사례는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부연.
– 전문가들도 이날 발표된 백신 부작용 데이터를 반겼음. 텔아비브대학의 공중보건 전문가인 오야브 예헤즈켈리 교수는 “전 세계 사람들이 안심해도 될 것 같다”며 “의사들조차 일부 심각한 부작용을 우려했었다. 실제로 나도 2차 접종 후 얼굴 신경이 마비된 환자를 봤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그런 비중은 아주 낮다”고 말했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의 부작용에 관한 대규모 조사는 이번이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