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대로 알기] 중국 하면 떠오르는 ’10대 명차’

[아시아엔=중국을 읽어주는 중국어교사 모임] 중국 사람은 예로부터 땔감, 쌀, 기름, 소금, 간장, 식초, 차를 생활필수품으로 생각해 왔습니다. 차가 7대 생활필수품 중 하나라고 하니 중국 사람의 차 사랑을 짐작할 수 있겠지요?

사실 차를 떼어 놓고 중국 사람의 일상생활을 이야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중국의 학교, 호텔, 관공서, 회사 심지어 기차 안에서도 우리나라 정수기보다 2~3배 정도 큰, 차를 우려 마실 뜨거운 물을 제공해 주는 설비를 볼 수 있으니까요. 학생 대부분이 기숙사 생활을 하는 중국 대학에서는 아침마다 학생들이 교내의 지정된 장소에서 뜨거운 물을 받기 위해 보온병을 줄 세워 놓고 있는 풍경이 일상적이랍니다.

차를 마시기 위해 줄 세워 놓은 보온병

차의 원산지가 중국이냐 인도이냐를 놓고 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합니다. 하지만 현재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차를 나타내는 영어 단어 ‘tea’가 차(茶)의 중국 푸젠 성 방언인 ‘tey’에서 유래된 것만 봐도 중국 차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중국 사람은 언제부터 차를 마시기 시작했을까요? 『산해경』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2700년경, ‘신농씨(신농)’ 때부터라네요. 신농씨는 ‘염제’라고도 불리는 중국 전설상의 인물입니다. 일찍이 중국에는 ‘신농이 백 가지 풀을 맛보며 매일 72가지의 독을 발견했는데, 차로써 그것을 모두 해독했다.’는 전설이 있어요. 신농은 수정같이 투명한 배를 가지고 있어서 무엇을 먹든 사람들은 그의 위장 속을 들여다 볼 수 있었대요. 당시 사람들은 음식을 익혀 먹는 법을 몰랐기 때문에 고기, 생선 등을 날것으로 먹다 보니 자주 병에 걸릴 수밖에 없었죠. 신농은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눈에 띄는 식물을 모두 맛보았고, 이런 과정에서 우연히 차를 발견하게 되었다네요.

신농씨

이렇듯 약용으로 마시던 차는 중국 남방을 중심으로 상류 사회의 기호품으로 이어지다가 당(唐)나라 이후 대중화되기 시작했지요. 당나라 중기에 육우가 차의 바이블인 『다경』을 저작하면서 중국의 차 문화는 급속도로 발달하게 됩니다. 이후 중국의 차 문화는 송나라, 명나라를 거쳐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며 한국, 일본 등 이웃 국가에 영향을 끼칩니다.

차를 즐겨 마시는 습관은 중국 사람의 건강에도 좋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녹차, 홍차, 우롱차 등에 들어 있는 카테킨이라는 성분에는 항암 효과가 있어요.

건조한 기후 때문에 피부까지 건조해지기 쉬운 중국에서는 그에 대한 보완책으로 볶고 튀기는 조리법을 이용한 기름기 많은 음식을 먹게 되었다는데요, 이런 음식 문화는 혈관과 내장 기관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차가 큰 역할을 했다는 것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알 수 있겠죠?

중국에는 어떤 종류의 차가 있을까요? 중국 차는 발효 정도에 따라 불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 후발효차 네 가지로 나뉩니다. 불발효차는 찻잎을 따서 바로 증기로 찌거나 솥에서 덖어 발효되지 않도록 하여, 녹색이 그대로 유지된 차로 녹차가 대표적입니다. 반발효차는 10~70% 정도를 발효 시킨 차로, 백차, 우롱차, 화차가 여기에 속하지요. 발효차는 85% 정도를 발효시켜 떫은맛이 강하고 색이 진합니다. 홍차가 여기에 속해요. 마지막으로 후발효차는 효소를 파괴한 뒤 찻잎을 퇴적하여 공기 중에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유도해 다시 발효가 일어나게 한 차로, 황차와 흑차가 대표적입니다.

중국 여행을 가면 누구나 한번쯤은 사 오는 중국차. 그럼, 어떤 차를 선택해야 할까요? 시음을 해 보고 본인 입맛에 맞는 차를 사오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겠지만, 차 맛을 잘 모르겠다면 1959년 중국차 품평회에서 선정한 ‘중국의 10대 명차’에서 골라 보세요. 시후롱징, 동징비루춘, 황산마오펑, 루산윈무차, 류안과피앤, 쥔산인전, 신양마오지앤, 우이앤, 안시티에관인, 치먼홍차가 중국 10대 명차랍니다.<출처=지금은 중국을 읽을 시간 1>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