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오신날 당신의 ‘빈자일등’은 무엇입니까?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빈자일등(貧者一燈)이라는 말은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등 하나’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한다. 옛날 코살라국 사위성(舍衛城)에 난타(難陀)라는 가난한 여인이 살고 있었다. 그녀는 구걸로 겨우 목숨을 이어 갈 정도로 가난했다.

어느 날 석가모니가 사위성에 오신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파세나디왕과 모든 백성이 등불 공양을 올리기 위해 분주히 움직였다. 난타는 비록 가난하였지만 이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을 위한 등불 공양을 올리기 위해 거리에서 하루 종일 구걸해 얻은 돈 두 닢을 들고 기름집으로 달려갔다.

기름집 주인은 여인의 갸륵한 마음에 감동하여 기름을 갑절이나 주었다. 난타는 기쁨에 넘쳐 등 하나에 불을 밝혀 석가모니께 바쳤다. 밤이 깊어 가고, 세찬 바람이 불어 다른 등불은 다 꺼졌으나 난타의 등불만은 밝게 빛나고 있었다. 등불이 다 꺼지기 전에는 석가모니가 잠을 자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시자 아난이 가사 자락으로 등을 끄려 하였으나 등은 꺼지지 않았다.

이때 석가모니가 아난에게 말했다. “아난아, 부질없이 애쓰지 말라. 그것은 가난하지만 마음 착한 한 여인의 넓고 큰 서원과 정성으로 켠 등불이니 결코 꺼지지 않으리라. 그 등불의 공덕으로 이 여인은 앞으로 30겁 뒤에 반드시 성불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이름을 ‘수미등광여래’라 할 것이다.”

이야기는 <현우경>(賢愚經)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에 나온다. 이렇게 가난한 여인의 정성으로 바친 등 하나를 석가모니에게 바친 데서 ‘빈자일등’이라는 말이 유래했다.

5월 22일이 석가탄신일이다. 그에 맞춰 5월 11~13일 국가무형문화재 제122호 연등회(燃燈會) 행사가 진행되었다.

<삼국사기>에 신라 경문왕 6년(866)과 진성여왕 4년(890) 각각 정월 보름에 황룡사로 행차하여 연등(燃燈)을 보았다는 연등회 기록이 있다. 1000년 전에 이미 사찰에서 등을 밝혀 연등회를 연 것이다. 또 <고려사>에 따르면 사월 초파일에 연등회를 열어 밤새도록 연희를 벌인 것이 오늘날 사월초파일 연등회로 계승됐다.

연등은 등에 불을 켜 놓음으로써 번뇌와 무지로 가득 찬 어두운 세계를 밝게 비춰주는 부처의 공덕을 기려 선업(善業)을 쌓고자 하는 공양의 한 방법이다. 그러니까 보시공덕(布施功德)은 정성으로 하는 것이다. 돈이 있으면 재물로, 재물이 없으면 몸으로, 몸도 말을 안 들으면 마음으로라도 바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보시는 절대로 자랑하지 않는 ‘무상보시’(無相布施)를 해야 한다. 부산 동구청에 따르면 지난해 사월초파일 초량 6동 주민센터에 10㎏ 백미 100포대가 배달되었다. 쌀과 함께 배달된 편지에는 ‘빈자일등’이라는 한자성어와 함께 “어려운 학생에게 전해 달라”는 짧은 글이 적혀 있었다. 신원을 밝히지 않은 기부자는 매해 석가탄일마다 쌀 100포대씩 4년째 기부를 하고 있다고 한다.

주민센터 관계자가 쌀을 배달하는 지역 쌀가게를 통해 얼굴 없는 천사를 수소문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 기부자는 쌀가게에 자신의 신원을 알려주면 더는 여기서 쌀을 배달시키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았다고 한다. 동구청에서는 편지 내용에 담긴 대로 지역 내 어려운 학생에게 쌀을 나눠주며 “덕분에 아이들이 훈훈한 불탄일을 보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런데 어느 절에서 ‘부처님 오신 날 하루 등’이라는 제목으로 ‘연등장사’를 한다는 말을 들었다. ‘한지등 4만원, 중등 8만원, 대등 15만원, 특등 20만원, 법당 1년 등 8만원’처럼 아예 가격표까지 내걸었다. 심지어 ‘개인연등, 가족연등, 장사연등, 사업연등, 진급연등, 시험연등, 영가연등’까지 판다. 아무리 종교가 썩었다 해도 이렇게 드러내놓고 연등장사를 한다면 서가모니 부처님은 뭐라고 말씀하실까?

‘화안애어’(和顔愛語)’라는 말이 있다. 언제나 부드럽게 미소 띤 얼굴로 사람을 맞이해 상냥한 말을 건넨다는 뜻이다.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에 나온다. 복잡한 길거리서 자칫 어깨라도 부딪치면 험한 얼굴을 드러내고, 운전할 때 앞 또는 뒤차의 운전이 자기의 생각과 조금만 다르면, 입 밖으로 험한 소리부터 나오는 요즘이다.

이 거칠어진 세상 속에서 ‘화안애어’는 아마도 일상에서 가장 쉽게 할 수 있으면서도 사회에 꼭 필요한 큰 보시가 아닌가 한다. 흔히 재물을 주는 것만이 보시라고들 생각하기 쉽다. 재물은 보시의 수천, 수만 방편의 하나일 뿐, ‘빈자일등’이 보여주듯이 보시는 재물의 크기가 아니라 마음의 크기다.

그 마음을 담는 것이 재물일 수도, 충고일 수도, 상대를 편하게 해주는 배려일 수도 있다. 대무량수경은 재물에 뒤지지 않는 보시로 ‘화안열색시’(和顔悅色施) ‘언사시’(言辭施)’를 가르치고 있다. ‘화안열색시’란 미소를 띤 상냥한 얼굴로 다른 사람을 대하는 일이며 ‘언사시’는 상냥한 말을 다른 사람에게 건네는 일이다. 두 가지를 합한 것이 ‘화안애어’다.

화안애어는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보시행이다. 그러나 웬만한 마음가짐으로는 하기 힘들다. 무의식중에 애를 태우고 속 끓이며, 사소한 일에 끙끙 앓고 그것을 얼굴에 나타내는 것이 보통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음 다스리는 공부가 최고의 공부라고 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