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권의 훈훈한 세상] 한글과 세종대왕 좋아하는 이유

한글은 일반 민중이 글자 없이 생활하면서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음을 마음 아프게 여겨 세종대왕이 창제한 글자다. 세종은 백성들의 이러한 딱한 사정을 매우 안타깝게 여겼던 성군으로, 주체성 강한 혁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은 3만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컴퓨터 자판에 나열하는 게 불가능하다. 그래서 발음을 먼저 영어로 묘사해 알파벳으로 입력한 다음, 단어마다 입력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게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개 정도는 보통이므로 그 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그 속도가 빠르다고 하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한다.

일본인은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면 역시 알파벳이다. 일본인들은 ‘世’를 영어로 ‘se’로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법을 쓴다. 각 단어가 영어 발음 표기에 맞게 입력해야 화면에서 ‘가나’로 바뀐다. 게다가 문장마다 한자가 있어 쉼 없이 한자변환을 해줘야 하므로 속도가 더디다. 나아가 ‘추’로 발음되는 한자만 해도 ‘中’을 비롯하여 20개 이상이나 골라줘야 한다.

일본어는 102개의 ‘가나’를 자판에 올려 ‘가나’로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익숙해지기 어려워 이용도가 낮다. 이러니 인터넷 친화도가 한국보다 낮을 수밖에 없다. 말레이시아처럼 언어가 여러 가지인 국가들은 컴퓨터 입력 방식 개발부터 골칫덩어리라고 한다. 그러니까 24개의 자음과 모음만으로 자판 내에서 모든 문자 입력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한글은 하늘의 축복이자 과학인 것이다.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낼 때, 한글로 5초면 되는 문장을 중국, 일본 문자는 35초 걸린다는 비교결과가 있다. 한글의 입력속도가 일곱 배 빠르다는 얘기다. 우리의 한글은 정보통신(IT) 시대에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 한국인이 부지런하고 급한 성격과 승부근성에 한글이 ‘디지털 문자’로서 세계 정상의 경쟁력이 있는 덕에 우리가 인터넷 강국이 됐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1443년(세종 25) 음력 12월 세종이 훈민정음이라는 새 글자를 만들어 낸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이 독창적인 글자를 만든 일은 세계 역사에 일찍이 찾아볼 수 없다. 이 한글이 지금 ‘세계의 알파벳’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놀라운 소식이 들려온다.

조명진 EU 집행이사회 안보자문역 겸?미래학자에 따르면 현재 지구상 언어는 6912종류가 있다. 조 안보자문역은 “언어학자 데이비드 해리슨은 기존 언어 중 90%가 2050년까지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조명진 안보자문역에 따르면?100년 후 살아남을 10대 주요언어로는 영어, 아랍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중국어, 프랑스어 외에 독일어, 일본어, 히브리어, 그리고 한국어가 될 것이라는 UN의 발표가 있었다. 게다가 사용 인구면에서 한국어는 2050년까지 5대 언어에 속할 전망이라고 한다.

한국어의 부상을 네 가지 측면에서 예측해 본다. 우선 언어의 힘은 해당 국민의 생존력이 중요한 요소다. 한국, 독일, 일본 그리고 이스라엘의 공통점 중 하나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전쟁과 같은 시련에서 살아남은 국가들이라는 점이다. 독일과 일본은 전쟁을 일으키고 패했음에도 여타 승전국들보다도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이스라엘은 4차에 걸친 중동전과 수많은 국지전에서 아랍세계와 대결을 벌여 버텨왔다. 한국은 20세기에 일제 식민통치를 겪었고, 한국전쟁에서 패망하지 않고 살아남아 냉전의 최전방이라는 일촉즉발의 안보상황에서도 경제 성장을 이룬 나라다. 이런 생존력은 근면한 국민성을 갖게 만들었고, 근면정신은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다.

언어의 힘은 해당 국민의 창의성에 바탕을 둔다. 국민이 창의적이어야 경쟁력 있는 상품을 만들어 경제력에서 앞서가는 국가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창의성이 바탕이 되어야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이다. 독일 자동차산업, 일본 소재산업, 이스라엘 정밀산업 그리고 한국 전자산업은 모두 세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이들 국가의 창의성을 엿볼 수 있다.

또 언어는 문화적으로 친근하게 끌어당기는 힘이 있어야 한다. 즉 외국어로서 주도적 언어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가 매력적이어야 한다는 얘기다. 할리우드 영화와 미국 팝음악의 인기가 영어를 친근하게 여기도록 만들었듯이, 한류(韓流)라 칭하는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인기도를 보면 증명이 되는 것이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는 아시아와 중동을 넘어 북미에까지 수출되고 있고, K팝이라 불리는 국제화한 대중가요는 유럽에서도 붐을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한글의 강점은 최첨단 단순성(cutting-edge simplicity)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한글이 문자 자체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이어서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언어라는 뜻이다.

미국 언어학자 로버트 램지는 “한글보다 뛰어난 문자는 세계에 없다. ‘세계의 알파벳’이다”라고 했고, 미국 여류작가 펄 벅은 “한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글자이며,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격찬한 바가 있다. 이런 강점 덕분에 문자를 갖고 있지 않은 민족들의 언어를 표기하는 수단으로 한글이 쓰이고 있는 것이다.

사용 인구에서 한국어는 2050년 안에 중국어, 스페인어, 영어 그리고 아랍어에 이어 5위에 속하는 언어가 될 것이다. 즉 한국어는 향후 40년 내에 사용자 수에서 독일어와 일본어는 물론 유엔 공용어인 프랑스어와 러시아어까지 추월한다는 뜻이다.

One comment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