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길의 편집력시대](17) 중년남자에게 절실한 인생 편집력 3가지

중년남자는 뱃살을 빼고 체중을 덜기위해 오늘도 러닝머신에 오른다. 세상을 민주와 비민주, 옳고 그름의 잣대로만 들이대다 다채로운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만나 적응하려니 어색하고 곤혹스럽기만 하다. 두 어깨에 가족의 안위를 짊어진 중년은 초유의 인터넷 디지털 세상 변화의 격랑 앞에서 허둥대고 있다. 중년 남자가 ‘꼰대’ ‘꼴통’으로 전락하지 않고 가슴 넉넉한 리더로 복귀하는 묘책은 없을까.

주변에 과묵한 회사가 늘고 있다. 공무원 초중고 교사 대학교수 군인 경찰 등 공적 조직사회는 태생적으로 과묵하다. 이젠 한국사회 민간 조직까지 말이 없고 조용해졌다. 그 이유는 40대, 50대 구성원의 비중이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상하 조직도를 그려보면 가슴과 배만 불룩한 옹기 항아리형이다. 중년 선배들은 우르르 보이는데 20대 신참은 가뭄에 콩 나듯 보이고 30대 사원이 군데군데 끼여 있다. 퇴출 공포감이 가득한 간부급 중년남자들이 침묵의 문화를 공고하게 다지고 있으니 그 아래 후배들은 숨이 막힐 지경이다. 중년 직장인들의 문제의식은 무뎌진 칼날이다. 앞장서 문제제기를 내비치지도 않는다. 현상유지가 급선무이고 자기관리 측면에서 한 조각 흠집도 남겨선 안 된다. 사내 게시판 의사표현 댓글 하나 다는데도 참으로 과묵하다. 한국 사회는 SNS를 통해 여론 분출이 분분한데 생업의 현장인 직장은 조용하기만 하다.

싱그럽고 왕성한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의 생명력인데 직장 내 과묵한 사람은 최고경영자 사장 한 사람이면 족하지 않을까. 신중한 검토이후 최종 의사결정의 책임을 진 CEO 한 사람의 묵직함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미래를 개척할 창의성과 비전은 과묵한 조직에선 자라지 않는다.

흔들리는 한국 중년 남자. 이들은 20대 열혈 청년일 때 사회정의를 요구하는 민주화 투쟁의 주인공이었다. 몇몇 운동권 무리들은 일찌감치 정치권에 자리 잡았다. ‘구국의 강철대오’ 386은 486 중년세대가 되었고 이제 586으로 건너간다. 독재와 시장경제의 구조적 모순을 고민하던 그들은 사적인 행복 추구는 보란 듯 해보지도 못하고 시대적 당위성과 실존의 생계 사이에서 배회했다. 사회 전 분야에서 보편적 민주화가 이뤄진 21세기 초입, 제대로 된 낭만 한번 누려보지 못하고 위아래 눈치보다 중년의 황금기를 서서히 마감하고 있다.

세상을 민주와 비민주, 옳고 그름의 잣대로만 들이대다 다채로운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만나 적응하려니 어색하고 곤혹스럽기만 하다. 두 어깨에 가족의 안위를 짊어진 중년남자는 초유의 인터넷 디지털 세상 변화의 격랑 앞에서 허둥대고 있다. 중년 남자가 ‘꼰대’ ‘꼴통’으로 전락하지 않고 가슴 넉넉한 리더로 복귀하는 묘책은 없을까. 궁즉통(窮則通)이다. 궁리하면 길은 보인다. 중년 인생이 절실하게 살펴봐야 할 인생 편집력 3가지를 추려보자.

첫째, 스스로 억압하지 말자.

쓸쓸함 낯섦 서러움 무력감 우울함에 솔직해야 한다. 지나친 자기규제와 억제된 감성은 언젠가는 왜곡된 폭발로 분출되고 만다. 슬플 때는 울어야 하고 욕구가 차오르면 터뜨려야 한다. 자기통제만 가득 찬 인생 폐쇄회로에 감성의 생기를 불어넣어야 하다. 생계형 실존에만 매달린 푸석한 피곤함은 이제 촉촉한 휴식으로 보장 받아야 한다. 웅크린 의자에 앉아있지만 말고 욕망의 한 주체로 당당히 일어나 몸과 마음을 단련시킬 필요가 있다. 삶엔 빛과 그림자가 동행한다는 것을 알아챈 나이, 이젠 ‘브라보! 마이 라이프’ 감수성의 페달을 밟아야 할 때다.

둘째, 남 탓은 자신을 파괴한다.

욕망을 감추기만 하면 피해의식의 덩어리가 자란다. 그 덩어리는 타인을 겨냥한 비난 야유 냉소와 결합하기 쉽다. 내부로 향해야할 자정력이 ‘남 탓 심리’에 길들여져 타인에 향한 이유 없는 분노 무작정의 경멸을 내뱉기도 한다. 스스로를 지고지순한 약자로 여기고 모든 문제점을 자본주의 탓, 가진 자 탓, 정권 탓, 사회 탓하기 십상이다. 그럴수록 과대망상의 음모설에 휩쓸리며 천사와 악마라는 2분법에 휘둘리는 초라한 중년으로 변해갈 뿐이다. 정치 탓 하며 자신의 비루함을 가리고 싶어 하지만 그 사이 중년의 소중한 시간은 쏜 살처럼 사라지고 만다. 남을 탓하는 부정적 심리는 불안을 회피하는 임시방편일 뿐이다. 스스로에게 자아존중감을 북돋워주고 자기 내부 먼저 성찰해봐야 한다.

셋째, 내 텃밭을 가꾸자.

첫 은퇴 후 펼쳐질 30년을 내다보고 다시 공부해야 한다. 현재의 직장 일에 중독된 중년일수록 지위상실의 불안감이 큰 법이다. 불안은 우울증과도 멀지 않다. 소담스럽게 배워나가는 새 지식과 단련된 육체가 준비되어 있다면 50대 이후가 긍정으로 다가온다. 생의 시간은 항상 출렁거리고 오르락내리락하니 불안한 것은 당연하다. 다만 직시하고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 관습에 찌든 관행을 털고 두 번째 ‘마이 스타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스스로 누리는 나만의 스타일이란 무얼까. 작가 신경숙은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처음에 소설을 쓰기 시작했을 때 이런 생각을 했다. 여기 빈 책상위에 표지도 없고 제목이나 저자 이름도 없는 책이 떨어져 있는데, 누가 지나가다 그 책을 주웠다고 해보자. 그 사람이 책을 몇 페이지 읽어보고는 “아, 이건 신경숙 소설인데!”라고 알아볼 수 있는 소설을 쓰고 싶었다. 그게 새로움이라도 생각한다. 그런데 인류 역사가 이렇게 오래 진화해왔는데 이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가 과연 있을까? 그래서 가장 새로운 것은 나답게 쓰는 것이다. 이 세상에 나라는 사람은 하나뿐이기 때문에”

각자 타고난 인성과 감성도 다르니 남과 비교하며 시기 질투할 필요도 없다. 오래전부터 하고 싶었으나 빡빡한 현실 때문에 미뤄두었던 일을 시작하면 된다. 절반을 살았기에 절반이 남았다. 이제부터 우선순위를 잘 가려야 한다. 새 일에 집중하고 현재의 잡다한 숙제부터 청소하라. 중년, 빈 곳을 채우고 긍정적 가치를 익히면 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