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혁신’ 경쟁 본격화
당내 혁신위 구성 마치고 활동 돌입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이 ‘혁신’경쟁을 본격적으로 벌여나간다. 두 당이 각각 ‘혁신’을 위한 당내 위원회를 구성해 이번주부터 활동에 들어가는 것이다.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회가 이번 주부터 공식 활동을 시작한다.
혁신위는 인선 과정에서부터 ‘잠룡들의 놀이터’, ‘비주류 혁신위’ 등의 논란이 벌어지는 가운데 혁신작업이 본격화하면 진통이 커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28일 “내일 오후 혁신위 임명장 수여식을 시작으로 혁신위 활동이 공식 시작된다”며 “수여식 직후 첫 회의가 예정돼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을 필두로 3선의 나경원 의원을 비롯한 당내 인사 12명과 소설가 복거일씨 등 외부 인사 6명이 참여한 혁신위는 6개월간 당 전반에 걸쳐 폭넓은 혁신 작업을 주도하게 된다.
홍준표 경남지사와 원희룡 제주지사를 자문위원으로 참여한다.
김 위원장 본인이 위원들에게 초반에는 일주일 내내 회의가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할 정도로 의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인 활동 범위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하지만 김무성 대표가 2차 혁신위 인선안 의결 직후인 25일 밝힌 구상에 따르면 혁신 작업은 크게 정치문화와 제도 등 2개로 나뉘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당시 기자 간담회에서 “모든 것은 임명장을 받고 위원들이 모였을 때 정해질 것”이라며 “크게 정치문화와 제도 혁신으로 나눠 우선 정치문화 혁신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문화 혁신 과제로는 당장 송광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 사태로 도마위에 올랐던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문제를 비롯한 특권 내려놓기 작업에 우선 착수할 가능성이 크다.
김 대표와 김 위원장은 정치권의 뼈를 깎는 자기반성을 전제하지 않고는 제대로 된 혁신을 이룰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특히 현재 무기명 투표로 진행되는 체포동의안 표결을 기명 투표로 전환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비롯한 공천제도 개혁 문제도 다뤄질 전망이다.
비례대표 공천 방식에 관해서도 김 위원장은 소수자·장애인·여성 등 특수약자층으로 전부 채워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당 내부에선 오히려 역차별이 될 수 있다는 반발이 작지 않다.
대선 직전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 캠페인에 맞춰 만들어진 당헌·당규를 다시 다듬는 작업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개헌 문제의 경우 당내에선 본격적인 논의를 위한 멍석을 깔고 있지만, 김 위원장 본인이 부정적 입장이어서 논의 여부가 불투명하다.
혁신위는 일단 전권을 갖고 혁신안을 논의할 가능성이 크지만 이후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 논의를 거치는 과정에서 첨예한 논란이 예상된다.
새정치민주연합도 초선 의원들을 앞세워 ‘혁신’ 활동을 본격화한다.
세월호 특별법 협상 실패와 외부 비대위원장 영입 파동으로 당이 벼랑 끝으로 내몰린 상황에서, 초선들의 패기를 동력삼아 강도높은 혁신에 나서면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12명의 혁신위 위원은 모두 내부 인사로만 채워진다.
이는 지난 대선 패배 직후 꾸려진 문희상 비대위원장 체제에서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를 혁신위원장을 비롯해 혁신위원 절반을 외부 인사로 구성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비대위원장 영입 파동을 거치면서 외부 인사 수혈에 대한 부담이 커진데다, 제안에 선뜻 응하려는 외부 인사를 찾기도 힘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치연합은 12명 위원 중 당연직으로 포함되는 조정식 사무총장, 우윤근 정책위의장, 민병두 민주정책연구원장 등 3명을 제외한 9명 전원이 초선으로 구성된다.
혁신실천위원회는 조만간 발족을 공식화하고 주초에 첫 회의를 열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혁신위는 거창한 혁신안 발굴보다는 기존 혁신안을 실천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대선 당시 문재인·안철수 후보가 발표한 ‘새정치 공동선언’, 손학규 대표 시절 천정배 최고위원이 만든 당 개혁안,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시절 당에서 마련한 혁신안 등을 모두 검토하면서 실천 과제를 추릴 것으로 전해졌다.
각종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를 포함해 의원 윤리감독위원회 설치,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중앙선관위 이전, 재보궐 선거 원인제공 정당의 해당 선거구 공천 금지 등도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논란이 된 의원 출판기념회도 원 위원장이 “현역의원의 출판기념회를 금지해야 한다”는 소신을 가진 만큼 논의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밖에도 공직후보자를 국민 경선을 통해 선출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확대 역시 다시 논의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