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재취업자 3분의2는 ‘낙하산’

산업은행 재취업자 47명 중 66%인 31명이 주거래 기업에 취업했다. <자료=민병두 의원실>

동양그룹 계열사에도 13명…’부실’ 막지 못해

[아시아엔=강준호 기자] 한국산업은행의 재취업자 중 66%가 주거래 기업의 고위직으로 취업한 것으로 드러났다.’동양사태’로 국민적 지탄을 받고 있는 동양그룹 계열사에도 부회장, 고문, 감사, 사외이사 등으로 13명이 재취업·겸임했으면서도 부실을 막지 못했다.

2일 민병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산업은행 출신 재취업자 현황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현재까지 산업은행 출신으로 재취업한 퇴직자 47명 중 66%인 31명이 주거래 기업의 대표이사, 상임이사 등을 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한 산업은행 퇴직자들은 모두 해당 기업의 고위직으로 들어갔으며 특히 4명은 대표이사를 맡고, 5명은 재무담당 이사(CFO)로 취업했다.

감사가 13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사장 3명, 사장·고문·이사·상무 등의 직위로 6명이 재취업했다.

재취업 사유를 살펴보면 20명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 운영투명성 확보’를 사유로 취업했고 ‘구조조정업체 경영관리·가치제고'(2명), ‘투자회사의 경영 효율·투명성 확보 등'(3명)의 사유로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추천요청’ 사유는 31건 중 3건에 불과해 해당 기업의 요청으로 들어간 인사는 소수에 불과했으며 28명은 낙하산 인사로 파악됐다.

특히 산업은행 출신 인사의 낙하산 관행은 ‘동양사태’를 비롯해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산업은행의 전 총재와 임원들 중 지난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주거래 기업이었던 동양그룹의 계열사에 부회장, 고문, 감사, 사외이사 등 고위직으로 13명이 재취업·겸임한 바 있다.

주거래은행으로서 감시와 경영투명성 확보에 목적을 두고 인사를 파견했지만 부실 방지에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민병두 의원은 “산업은행 출신을 임원으로 영입하는 것은 채권 은행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며 “낙하산 인사 관행을 막기 위해서는 재취업자에 대한 면밀한 취업심사와 함께 취업이력 공시제도를 도입해 잘못된 인사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