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글·사진 알리레자 바라미 이란 ‘Asre Rowshan’ 편집인, 이란 ISNA 전 편집장] 전쟁 9일째 토요일은 이란의 또다른 한 주가 시작되는 날이었다. (이란의 한 주는 토요일부터 금요일까지다.) 이날 들어 테헤란 시내의 교통량이 부쩍 늘어났고 지하철 승객 수도 눈에 띄게 많아졌다. 전날까지는 비어있던 지하철 좌석이 이날 대부분 가득 찼는데, 승객 대다수가 남성이었다.이스라엘의 테헤란 공습이 지난 이틀 동안 다소 줄어든 여파로 보인다. 대신 어젯밤에는 테헤란이 아닌 이스파한과 시라즈 등의 주요 도시들이 공격받았다. 그래서인지 테헤란을 떠났던 일부 주민들이 다시 돌아온 것으로 보인다.

오늘 아침 집을 나서며 눈길이 머문 곳이 있었다. 집에서 한 블록 위쪽에 위치해 있는 자폐아동 전담 유치원이다. 평소 같으면 아이들로 북적였을 그곳도 전쟁으로 휴원 중이었다. 이런 긴장 속에서 자폐아동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그 가족들의 사정은 어떨까 문득 궁금해졌다.
며칠 전 이스라엘이 테헤란의 한 지역을 공격하기 전에 사전 대피 경고를 내린 적이 있었다. 해당 지역에는 규모가 큰 자선 보육원이 있었는데, 그때 아기들을 급히 옮겨서 그나마 안전한 강당으로 대피시켰다고 한다. 어제 인터넷에 ‘이 아기들을 전쟁이 끝날 때까지 돌봐줄 가족을 자원모집한다’는 공고가 올라왔다.
해외 인터넷 접속도 조금 나아졌다. 인터넷 속에서도, 거리에서도 사람들은 여전히 친절하다. 하지만 이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까. 내일부터는 공공기관 근무자의 30%가 출근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오늘 나는 이란을 깊이 사랑하는 한 인물을 방문했다. 그와 ‘전쟁 속에서도 문화·예술 활동이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그에게 아시아기자협회(AJA)와 아시아엔 독자들을 위한 메시지를 부탁했다.
이란학자이자 부카라 매거진 편집장인 알리 데흐바시는 이렇게 말했다.
“이란은 자연적으로 국경이 형성된 이 지역 유일의 나라입니다. 이 땅의 역사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란인들은 역사 속에서 수없이 많은 외세의 침입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저항은 우리의 본성입니다. 지난 수천 년 동안의 역사가 시인들의 노랫말 속에 녹아들어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겪고 있는 일은 이 땅을 지켜온 투사들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들의 기억이 지금 이 시점에 되살아나 희망을 만들었고, 그 희망은 이란의 생명을 지탱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는 다시 말하고 싶다. 나는 살아남을 것이고, 또 이렇게 글을 쓸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는 이렇게 전할 것이다. “전쟁이 끝났다. 사람들이 돌아왔다. 이제 더 이상 아이들이 죽지 않는다.”

War, Human and the Repetition of History-Reporting on the Ninth Day of the Israel-Iran War from Tehran
by Alireza Bahrami, Corresponder for THE AsiaN
The ninth day of the war in Iran was the beginning of the week. (The Iranian week is from Saturday to Friday). There was more traffic in the city. The number of citizens in the subway had increased significantly. Unlike the previous days, all the seats in the subway train were occupied; of course, mostly by men.
The Israeli attack on Tehran has decreased in the past 2 days. Last night, the famous cities of Isfahan and Shiraz were attacked. Perhaps this is why a number of people who had left Tehran have returned home.
When I left home today, one thing caught my attention. One street above our house is a kindergarten for autistic children. Like all kindergartens, it was closed. I wondered how autistic children are doing in these tense conditions? What is the situation of their families?
A few days ago, when Israel issued an evacuation warning before attacking an area in Tehran, there was a big Charity Nursery in that area. The babies were immediately moved to a safe place and placed on the floor of a hall. Yesterday, I saw an advertisement on the Internet inviting volunteer families to take these months-old babies to their homes until the war ends.
Access to international internet has improved a bit in Iran. In the Internet and in the cities, people are still kind; but how long will this situation last? Starting tomorrow, 30 percent of employees are scheduled to be present in organizations.
Today, I called a famous Iran-lover. I went to see him. We talked about the necessity of resuming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 asked him to say a few words to my colleagues in the Asian Journalists Association (AJA) and the AsiaN audience. To give his opinion on this war.
Ali Dehbashi – Iranologist and editor of Bukhara magazine – said:
“We are the only country in the region that has natural historical border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is geography goes back thousands of years. The Iranian people have been the target of invasions by foreign tribes many times throughout history. And resistance is in their nature. It is in their thousand-year-old poets. So what happened to them today is reminiscent of the fighters who defended their land for thousands of years. These memories have come alive and created hope. And this hope has created life.”
So I repeat: I will survive and I will write to you again. I hope to write soon: “The war is over, the people have returned home, no children will be ki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