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글·사진 알리레자 바라미 이란 ‘Asre Rowshan’ 편집인, 이란 ISNA 전 편집장]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으로 촉발된 전쟁이 7일째에 접어들었다. 이번 전쟁의 주된 표적은 여전히 이란 수도 테헤란이다. 이스라엘은 핵 시설만을 겨냥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실상은 민간 지역에도 폭격이 이어지고 있다.심리학자들은 전시에 노출된 상태가 일주일을 넘기면 뇌가 피로해지고 신체에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난다고 한다. 동료가 삼촌의 시신을 찾기 위해 DNA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태어난 도시의 일부가 날마다 파괴되며, 자녀들이 폭발음에 떨고 있다면 정신적·육체적 압박은 이만저만이 아닌 것이다.
그러나 가족과 고향을 위해 버텨야 한다. 의사인 필자의 형은 지난 일주일 동안 병원에서 집에 오지 못했다. 그는 젊은 시절 8년간의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총알과 박격포, 화학탄에 의해 수차례 부상을 당한 경험이 있다. 그는 지금은 병원에서 부상자들을 돌보고 있다.
경찰, 기자, 버스·택시·지하철 운전자, 청소 노동자, 제빵사와 식료품 판매상들까지 모두 쉬지 않고 도시를 유지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7일째 아침에도 테헤란의 한 주거 건물이 ‘핵 과학자가 거주한다’는 이유로 공격을 받았다. 인근 병원과 구급차도 폭격을 당해 적십자 요원 3명이 숨졌다.
그럼에도 테헤란은 비교적 조용한 휴일을 보냈다. 이는 제네바에서 열린 이란과 EU·영국·독일·프랑스 간의 협상 덕분이었다. 외신에 따르면 협상은 초반에 긴장감이 돌았으나 차츰 차분해졌고, 유럽 대표단은 외교적 대화를 이어가자고 밝혔다. 이란도 휴전 조건 하에 협상을 계속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다만 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 권리는 양보하지 않겠다고 재확인했다. 이란 외무장관은 월요일(23일) 모스크바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회담할 예정이다.
이스라엘 군은 전황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발표했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향후 전쟁에 대한 결정은 2주간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란의 주말은 토요일부터 시작되므로 도시 분위기는 다소 활기를 되찾았다. 은행의 절반 정도는 영업을 재개했으나 대학은 여전히 문을 닫고 있다. 극장과 영화관은 곧 재개장할 예정이다.
한때 도시를 떠났던 일부 주민들도 피로를 호소하며 금요일에 돌아왔다. 그들은 “이제 고향과 이웃을 돕겠다”고 말했다.
이번 전쟁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해외에 있는 이란 언론인들이 워싱턴포스트, 뉴욕타임스, BBC 등에 이란 국민을 지지하는 글을 기고한다는 사실이다.
20일에는 망명 중인 이란 영화감독 모흐센 마흐말바프가 전쟁을 규탄하는 메시지를 전달해 이란 안팎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성명은 한국의 <아시아엔> 이상기 발행인이 모흐센 감독과 소통하면서 이뤄졌다. 마흐말바프는 “전쟁은 파괴만 있을 뿐, 해방을 가져오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국제 인터넷망은 여전히 대부분의 이란인에게 차단된 상태다. 하지만 우리는 살아남을 것이다. 나는 내일 또다시 다음 기사를 <아시아엔> 독자들에게 보내겠다.
War is Not Liberating-Report on the Seventh Day of the Israel-Iran War, from Tehran
By Alireza Bahrami, Correspondent for AsiaN
The war sparked by Israel’s attack on Iran has now entered its seventh day. The Iranian capital, Tehran, remains the primary target of the strikes, despite Israel’s claim that its operations focus solely on Iran’s nuclear facilities.
Psychologists say that after about a week of living under war conditions, the human brain becomes fatigued and the body starts to show stress responses. When your colleague anxiously awaits a DNA test to claim the remains of his uncle for burial, when parts of the city you were born in are destroyed daily, and when your children flinch at every explosion, the toll on the mind and body is immense.
Yet, we must persevere for our families and our homeland. My brother, a physician, has not returned home for a week. As a young man, he suffered multiple wounds during the eight-year Iran-Iraq War—by bullets, mortars, and chemical attacks. Now, he is back in hospital wards treating the wounded once again.
Police officers, journalists, bus and taxi drivers, metro operators, municipal workers, bakers, and food vendors continue to work tirelessly to keep the city functioning.
On the morning of the seventh day, a residential building in Tehran was hit under the pretext that a nuclear scientist lived there. A clinic and an ambulance were also targeted; three Red Cross workers died in the ambulance strike.
Despite these attacks, Tehran experienced a relatively calm holiday. Much hinged on the Geneva talks involving Iran, the European Union,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France. Reports indicate the negotiations began tensely but eased into a more constructive tone. European envoys called for continued diplomacy, while Iran agreed to further dialogue on the condition of a ceasefire. Iran also reaffirmed its right to enrich uranium for peaceful purposes. On Monday, the Iranian Foreign Minister will visit Moscow to meet President Putin.
Meanwhile, the Israeli military stated that the conflict has reached a stalemate. U.S. President Trump announced a two-week postponement of any new decisions on the war.
Saturday marks the first working day of the week in Iran, so the city felt more alive. About half of the banks reopened, although universities remain closed. However, theaters and cinemas plan to resume operations soon.
Some neighbors who had fled the capital returned on Friday, saying they were exhausted by displacement and wanted to support their community.
One remarkable aspect of this conflict is the response of Iranian journalists abroad, who have published influential pieces in major outlets like The Washington Post, The New York Times, and the BBC, voicing support for the Iranian people.
On Friday, statements by Mohsen Makhmalbaf, an Iranian filmmaker in exile, condemning the war resonated widely inside Iran. He issued the statement at the invitation of Lee Sang-ki, a veteran Korean journalist-the publisher of Korea’s AsiaN-emphasizing that war only brings destruction and never true liberation.
Internet access remains severely limited for most Iranians.
We will endure—and I will write again for you tomo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