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테헤란 시민들에게 즉시 도시를 떠나라고 경고했을 때, 필자는 이렇게 썼다: “테헤란을 떠나라고 하지 마세요. 저는 남겠습니다. 떠날 힘조차 없었던 사람들을 위해, 이 도시를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그 12일간의 폭격 속에서 남아 있던 시민들은, 그것이 용기이든, 인내이든, 무관심이든, 외곽 별장이 없어서든, 떠날 능력이 없거나 경제적 이유, 가족 돌봄 책임, 혹은 단지 다른 선택지가 없어서였든, 테헤란의 살아있는 인적 자본이 되었다.
그들의 존재는 하나의 저항이었다. 최소한, 국제 인권단체들이 이란 수도에 아직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모르겠다. 인간성이 창조 본연의 의미를 상실해가는 이 야만의 시대에, ‘머무름’이라는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그것만으로도 중요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필자는 전쟁 중 도시를 떠난 사람들을 판단하지 않는다. 위기 상황에서 사람은 제각기 다르게 반응하며, 그것은 정신 상태나 나이,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누구나 자기 선택에 대한 권리가 있다.
그러나 필자는 나와 내 가족, 내 친구들이 전쟁 중 머무르기로 한 그 결정을 오랫동안 되새겨봤다. 단 한 번도 그 결정을 후회하지 않았다. 물론 필자에겐 외곽 별장도, 시골의 가족 집도 없다. 하지만 설사 그런 공간이 있었다 해도, 이 도시와 이 집에서 떨어져 나올 수 있었을까? 가족은 물론이고, 화분과 고양이들조차 남겨두는 건 포기와 다름없었다.
“내 가슴 깊은 곳에 자리잡은 건, 바로 저항의 의지였다.”
가끔은, 전쟁의 혼란 속에서 문득 생각이 들었다. 나는 생존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인간 본능, 두려움의 감각을 잃은 걸까? 도망쳐야 한다는 본능 말이다. 혹시 8년간의 이란-이라크 전쟁의 기억이 나를 단련시킨 걸까? 아니면 세상에 너무 지쳐버린 나머지, 더 이상 생존 자체가 중요하지 않게 된 걸까? 아니면… 마침내 위기를 견디며 살아갈 수 있는 용기를 찾은 걸까?
아마도, 테헤란에 남기로 한 모든 사람들도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을 것이다.
실제로, 그 12일 동안 남아 있었던 우리들의 집단적인 정신 분석은 의미 있는 자산이다. 그 결과는 말로 표현되지 않는 지혜로 축적되었고, 언젠가 전쟁을 겪지 않은 미래 세대에게 귀한 유산이 될 것이다.
내 가슴 깊숙이 새겨진 것은 저항의 감정이었다. 최악의 시간에도 우리의 땅, 우리의 고향을 지키겠다는 의지였다. 싸울 힘도, 수단도 부족했지만, 남아 있었던 우리들의 마음은 결코 쉽게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이 땅을 지키겠다는 감정이었다. 왜냐하면 의지력은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무기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떤 악마도 무릎 꿇게 할 수 있다.
필자는 테헤란을 떠났던 사람들 역시 그 순간 도시와 땅의 기억을 마음에 품었으리라 믿는다. 그리고 지금 많은 이들이 돌아왔다. 새롭게 단련된 마음으로, 조국을 지키겠다는 다짐을 안고.
놀랍게도, 최근 며칠간 우리는 이 땅, 이 나라에 대한 감사를 마음 깊이 다시금 느끼게 되었다.
요즘 나는 언론인으로서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전쟁 소식을 취재하고 분석하는 일을 하면서도, 동시에 ‘무언가 만드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그것은 필자에게 있어 하나의 정신 분석(Psychoanalysis)이다.
Psychoanalysis of Us Who Stayed in the City
Pooneh Nedaei Editor-in-Chief of Shokrān Magazine
When President Donald Trump warned Tehranis to evacuate the city immediately, I wrote: “Don’t tell me to leave Tehran. I will stay—to hold the city for those who didn’t have the strength to remain.”
Those citizens who stayed during the twelve-day onslaught whether out of courage, resilience, indifference, lack of a countryside villa, inability to leave, financial limitations, caretaking responsibilities, or simply having no other choice, became Tehran’s vital human and living capital.
Their presence was a form of resistance that, at the very least, kept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from ignoring that people were still in Iran’s capital.
I don’t know… In an age of brutality where humanity seems to lose its original meaning in creation, perhaps staying and giving meaning to the act of being matters.
I pass no judgment on those who fled the city during the war. Everyone reacts differently to crises, depending on mental state, age, and personal circumstances. Each person has a right to their choice.
But I’ve thought deeply about our decision—mine, my family’s, and my friends’—to stay during those twelve days. Not once did I waver in that decision. It’s true, I don’t own a villa outside the city or a family home in the countryside. But even if I did, I doubt I could have detached myself from this city and my home. Beyond my family, my plants, and my cats—even leaving the city itself felt like abandonment.
At times, amid the chaos of war, I wondered: Have I lost the basic human instinct of fear—the instinct to flee for survival? Has the experience of the eight-year Iran-Iraq War somehow toughened me, made me world-weary? Have I grown so disillusioned with life that survival no longer feels urgent? Or perhaps … have I finally discovered the courage to live through crises?
Maybe all those who chose to stay in Tehran asked themselves these very same questions.
Truly, our collective psychoanalysis—those of us who remained during those heavy twelve days—holds value. Its result is a kind of unspoken wisdom that future generations, untouched by war, may one day benefit from.
What settled deeply in my heart was a sense of defiance – a will to guard our land and homeland in the darkest of hours. Even if I lacked the strength or means to fight, the intention of those of us who stayed cannot be expressed. It was the feeling of protecting the land. Because the force of will is the greatest power – it can bring any demon to its knees.
I believe those who left Tehran during those days carried the memory of the city and the soil in their hearts—and many have returned, renewed in spirit, determined to defend their homeland.
Amazingly, in these recent days, our appreciation for our land and our country seems to have taken on a new strength in our hearts.
These days, alongside my work in journalism—covering the latest news and analysis about the war between Israel and Iran—I find myself occupied with making. For me, this is a form of Psycho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