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칼럼

인도네시아에 ‘한국어 열풍’···고교 9곳 제2외국어 채택, 조코위 졸업 가자마다대학교 등 4대명문 한국어학과 개설

[아시아엔=김소은 인도네시아 문화 유투버] 지난 수년간 전세계를 열광시키고 있는 한류. K-pop, K-drama뿐 아니라 기계, 기술, 미용, 패션, 스포츠, 비즈니스, 경영 노하우, 음식까지 그 어느 분야에도 빠지지 않고 세계인의 마음을 흔들어 놓고 있다. 인도네시아 역시 예외가 아니다.

세계 4위의 인구 대국 인도네시아에서 한류는 2002년 <가을동화>의 현지방영으로 본격 시작되었다. 당시 인도네시아 방송에서는 주로 중국이나 인도 드라마 및 영화를 방영하였다. 그런 까닭에서인지 한국인인 필자를 중국인과 잘 구분하지 못하며 신기하게 여기던 기억이 새롭다. 현지인들이 처음으로 애절한 내용의 한국드라마를 접한 후 “드라마 정말 잘 보고 있다”며 한국이라는 나라를 알아주기 시작했다. 얼마나 신기하고 뿌듯했던지…뒤 이어 방영된 드라마 <겨울연가> <?대장금> 그리고 2002한일 월드컵에서 한국의 4강 신화 및 K-pop으로 인해 인도네시아인들은 한국에 관심을 넘어 동경심을 갖기 시작했다.

한국문화를 좋아하는 것에서 발전되어 한국언어에까지 관심을 갖기 시작한 인도네시아인들은 단순히 문화뿐 아니라 경제, 기술 등 다방면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한국을 보며 ‘코리안 드림’을 품기에 이르렀다. 지난 10년간 인도네시아로 진출하는 한국기업의 증가, 한국에서의 외국인근로자 수요 및 유학생 증가, 다문화가정 급증 등으로 Topik(한국어능력시험)을 필수로 치르게 되면서 현지인의 본격적인 한국어 배우기가 시작됐다. Topik은 유학 등을 위한 Topik과 근로자 파견을 위한 EPS-Topik 등 2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매년 2만~3만명 정도의 인도네시아인들이 응시하며 근로자용 EPS-Topik은 비교적 쉬운 편이다.

한국기업은 좋은 이미지로 인도네시아에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며 인도네시아어와 한국어 2개 언어구사가 잘 되는 인재들을 찾고 있다. 또한 매년 EPS-Topik에 합격한 8000~1만명 내외의 인도네시아 근로자들이 본국보다 월급이 5~10배 많은 한국으로 몰려오고 있다. 이러한 점들이 인도네시아 한국어 열풍에 큰 몫을 하고 있다.

2009년에는 인도네시아 바우바우시의 찌아찌아족이 과학적인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자신의 말을 한글로 표기하기 위해 한글을 문자로 받아들였다. 2011년부터 자카르타의 실업계고교 9곳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여 정규과목으로 수업하고 있다. 5년 내 200개 고교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가르칠 계획이라고 한다. 현재 한국어학과가 개설돼 있는 인도네시아 대학교는 Universitas Indonesia, Universitas Gadjah Mada, Universitas Nasional, Universitas Pendidikan Indonesia으로 4곳에 이른다. 또 한국어 어학 프로그램이 있는 대학교는Universitas Hasanudin, Universitas Kambung Mangkurat, Universitas Diponegoro로 3곳이다. 이밖에도 한국문화원 등 수많은 일반어학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이로 인해 매년 수만명의 인도네시아 청소년들이 한국어와 이를 통해 한국문화를 배우고 있다. 실제 Universitas Indonesia(인도네시아 국립대)의 한국어학과 졸업생들은 100%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만 해도 한국은 거의 알려지지 않는 나라, 전쟁이 끝난 지 얼마 안된 나라로 인도네시아에서 존재감이 매우 낮았다. 10년 전만 해도 한국 노래를 따라 부르며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에 열광하는 인도네시아인이 생길 것이라고 상상이나 했을까? 기적 같은 일이 아닐 수가 없다.

편집국

The AsiaN 편집국입니다.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