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음] ‘유기농업의 아버지’, 풀무원 설립자 원경선 원장 타계

풀무원농장의 설립자 원경선 원장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8일 오후 한 조문객이 고개 숙여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사진=한겨레/신소영 기자>

식품기업 풀무원의 모태가 된 풀무원농장을 설립한 ‘한국 유기농업의 아버지’ 원경선 원장이 8일 오전 1시49분 경기도 부천 순천향대 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9.

국내 최초의 유기농부인 원 원장은 한평생 공동체운동을 펼치며 생명 존중과 이웃 사랑을 실천했다. 고인의 삶의 역정은 초·중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다. 1914년 평안남도 중화군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고인은 열여섯살 되던 해 부친을 잃고 농군의 길로 들어섰다. 일제강점기에는 성공한 청년 농장주였고, 해방 후에는 건축사업으로 큰돈을 벌기도 했다.

그가 이웃과 더불어 사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택한 것은 한국전쟁 중 몇 차례 죽을 고비를 넘기고 큰아들을 병으로 잃으면서부터다. 불혹을 넘긴 1955년에 경기도 부천의 황무지 3만3000여㎡(1만평)를 개간해 풀무원농장을 마련하고 오갈 데 없는 이들을 위한 공동체 운영을 시작했다. 쇠가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통해 철기구로 거듭나듯이, 농장 식구들을 세상에 쓸모있는 사람이 되게 하겠다는 뜻에서 농장 이름을 ‘풀무원’이라고 지었다.

초창기에는 농장 구성원의 절반이 고아와 떠돌이, 부랑자들이었다. 원 원장은 오전엔 성경과 교양교육을 하고, 오후엔 영농기술이나 양계법을 가르쳤다. 슬하의 7남매도 농장 식구들과 한방에서 자고 한솥밥을 먹게 했으며, 농사일과 허드렛일도 똑같이 시켰다.

화학비료와 농약을 써서 농사짓는 일에 회의를 느끼던 원 원장은 일본 기독농민모임인 ‘애농회’ 발간 잡지에서 유기농에 관한 글을 읽고 일본 유기농의 선구자인 고다니 준이치를 만나면서 다시 한번 인생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생명을 파괴하는 농사를 짓지 않겠다고 결심한 원 원장은 1976년 경기도 양주로 풀무원농장을 옮겨 유기농을 시작했다. 국내 최초의 유기농 단체인 ‘정농회’를 만든 것도 이때다.

교육자로도 이름을 떨쳐 ‘인간 상록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1961년부터 2006년까지 열린교육으로 유명한 경남 거창고의 이사장을 지냈다. 거창고는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정권 때 한 번씩 교육당국과 마찰을 빚으며 세 번이나 폐교 위기에 몰렸으나, 그때마다 원 원장은 “타협하느니 차라리 학교 문을 닫는 것이 인격적으로 바른 교육을 하는 것”이라며 버텼다.

공동체운동에서 출발해 평생 생명 존중을 실천한 그의 삶은 국제구호활동과 환경운동으로 외연을 넓혀갔다. 1990년 국내 최초의 국제구호활동단체인 국제기아대책기구 한국지부를 설립해 나라 밖의 굶는 이들에게까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1992년에는 78살의 나이에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세계환경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가해 유기농 실천운동을 소개했다. 또 경실련 산하기구로 시작한 환경개발센터(환경정의 전신)의 초대 이사장을 맡아 환경과 생명을 존중하는 삶을 직접 실행하며 가르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런 공로로 1995년 ‘글로벌 500 유엔개발계획 환경상’, 1997년 국민훈장 동백장, 1998년 인촌상 등을 받았다.

2004년부터는 충북 괴산군 청천면에 새로 일군 풀무원농장으로 거처를 옮기고 농장 근처에 평화원이라는 공동체를 세워, 생명 존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데 남은 일생을 바쳤다.

연매출 1조5000억원이 넘는 중견 식품기업으로 성장한 풀무원은 원 원장의 장남인 원혜영 의원(민주통합당)이 1981년 서울 압구정동에 문을 연 ‘풀무원농장 무공해 농산물 직판장’이라는 작은 채소가게에서 출발했다. 당시 유신 반대 투쟁으로 복역한 뒤 생계가 막막했던 원 의원은 이 가게에서 아버지가 재배한 유기농산물을 팔았고, 콩나물과 두부로 품목을 넓히면서 3년 뒤 ㈜풀무원식품을 설립했다. 현재 풀무원 운영은 남승우 풀무원홀딩스 총괄사장이 맡고 있다. 남 사장은 원 의원의 친구로, 동업을 하다가 1987년 원 의원의 정치 입문을 계기로 경영권을 넘겨받았다. 풀무원 창업자인 원 의원은 1996년 자신의 회사 지분을 모두 기부해 장학재단을 설립했다. 풀무원은 충북 괴산의 연수원 로하스 아카데미에 기념관을 설립해 고인의 뜻을 이어가기로 했다.

유족으로는 장남 혜영, 차남 혜석(미술가), 사위 하중조(KT&C 엔지니어링 대표), 송영관(전 상명고 교사), 김창혁(회사원), 김준권(정농회 회장), 유진권(전 중앙일보 기자), 며느리 안정숙(전 영화진흥위원장)씨 등이 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5호, 장지는 인천시 강화군 파라다이스 추모원이다. 장례는 풀무원홀딩스 회사장으로 치러지며 영결식은 10일 오전 9시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다. (02)3410-6915. <한겨레>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