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식량안보 비상···”관습법 아닌 국제법 필요”
중동 식량위기 근본원인은 ‘물 부족’··· 수자원 분쟁에 관한 국제법 마련 필요
“지구상 가장 메마른 지역 가운데 하나인 중동,?이 지역?식량위기의 원인은 생산부족에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물 부족 현상에 있다. 그리고 이는 기후변화와 맞물려 더 나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홍성민 한국외대 교수는 9일 명지대중동연구소 정기학술대회 발표에서 “중동지역 평화는 수자원 관리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동지역 식량문제와 관련해 “걸프산유국 같은 경우 전체 인구대비 총 공급량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문제가 없다는 것이고 국민 개개인의 영양공급 차원까지 연계돼 있지 않다”고 했다.
대부분의 중동국가들이 석유가 발견되기 이전까지는 1차 산업인 농업에 의존했다면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공업화에 큰 비중을 두게 됐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인 중동지역에선 여전히 농업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2007년과 2008년 곡물가격 폭등을 경험하면서 농업이? GDP의 2~3%를 차지하는?걸프산유국들까지 재정여력을 바탕으로 미래 식량위기에 대비하고자 농업개발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고,?‘식량무기화’가 진행되면서?중동국가들 식량안보에 비상이 걸렸다.
중동 식량위기가 정치적 불안 요인임과 동시에 경제성장을 막는 요인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식량문제의 근본원인으로 손꼽히는 것이 인구증가, 기후변화 그리고 물 부족이다.
특히 농업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 ‘물’이라는 점을 고려해?만성적인 물 부족이 중동지역에서 물 분쟁을 넘어?’물전쟁(water war)’으로 이어질?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홍 교수는 중동국가들이 물 분쟁과 관련해 “관습법, 관례를 따르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분쟁과 관련해 당사국간의 관습에 따른 해결이 아닌 국제협약이나 국제적 차원의 법률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동안 중동이 주목을 받아왔던 것이 석유 때문이었다면 21세기 자원문제도 결국 중동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며 원만한 수자원 관리와 이용이 중동지역 평화의 핵심문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선화 기자?sun@theasian.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