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38명···자살 예방 5계명
요즘 뉴스 보기가 두렵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보도가 줄을 잇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에서 2019년 하루 평균 38명이 자살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은 무엇이고 죽음은 또 무엇인가? <논어> ‘선진편(先進編)’에서 계로(季路)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물었다. “감히 묻건대 죽음이란 무엇인가요?” 공자가 답한다. “삶이 무엇인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죽음을 알겠느냐.(曰未知生 焉知死)”
‘인명재천(人命在天)’이라 했다. 목숨은 하늘에 달려 있지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갈 수 없다. 죽음을 자신이 선택해서는 안 될 일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다산(茶山)은 말한다. “대저 온 세상의 일 가운데 제일 흉측한 일은 스스로 제 목숨을 끊는 것보다 더 심한 것은 없다.(夫天下之事之凶 未有甚於殺其身者也)”
생명은 하늘에서 받은 것으로 하늘의 뜻이 아닌 자신의 뜻으로 결정하는 일은 가장 흉측하다고 했다. 하늘을 거역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아야 한다. 정말 죽을 각오가 있으면 살 수 있는 방법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세상 노인 치고 거의 하루도 죽고 싶다고 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작년이 다르고 어제가 다르다. 노인마다 아프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다. 그런 노인들도 내일에 대한 희망을 버릴 수 없어 이 악물고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필자도 며칠 전부터 몸이 웬일인지 비실비실하다. 밥만 먹으면 식곤증 때문인지 잠이 쏟아진다. 그래도 병원에 가기가 싫어 이를 악물고 견딘다. 내일에 대한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생의 마지막 날까지 덕화만발을 써 온 세상에 전하고 싶은 서원이 있다.
옛날 어느 한 부족의 추장이 후계자를 뽑기 위해 부족에서 제일 지혜로운 사람 세명을 골랐다. 그리고 그들에게 가장 높은 산봉우리를 가리키며, 산에서 가장 귀한 것을 가져온 사람에게 추장직을 물려주겠다고 했다. 이 말을 듣자마자 세 사람은 곧바로 산에 올랐다.
시간이 흘러 한명씩 나타나기 시작했다. 제일 먼저 도착한 사람은 고산지대에서만 자라는 귀한 약초를 가져왔다. 두 번째로 도착한 사람은 산봉우리 꼭대기에서 뜯은 푸른 이끼를 가져왔다. 그런데 마지막으로 들어온 이는 빈손이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저는 부족의 미래를 보고 가슴에 담아왔습니다. 이는 바로 언덕 너머의 옥토(沃土)입니다. 제가 추장이 된다면, 그 넓은 옥토를 바탕으로 부족을 더 풍요롭게 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누가 추장이 될 수 있었을까? 미래에 대해 희망을 꿈꾸는 자가 바로 추장이 될 수 있었다.
죽을 만큼 괴로운 사람은 대개 우울증이 있다. 그런 사람은 다음의 ‘자살예방 5계’를 시행해 보면 어떨까?
첫째, 평소에 대인관계와 고통에 대한 대처능력을 기른다. 평소 개인의 문제 대처능력 강화를 위해 일상적인 업무, 위기, 스트레스 관리능력을 배양해 마음의 면역체계를 강화한다.
둘째, 우울증이 찾아오면 스스로 안전장치를 마련한다. 우울증이 찾아오면,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 조언을 구할 수 있는 선배, 모든 걸 공유할 수 있는 가족이 있다는 걸 늘 생각한다.
셋째, 우울증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와 상의한다. 마음이 병 들었다면 숨기지 말고 상담소, 병의원, 가정 관련 전문기관을 찾아 상담한다. 숨기는 것이 더 큰 화를 자초할 수 있다.
넷째, 자살신호를 예사롭게 보지 않는다. 자살자의 75%가 자살 전 주변인들에게 자신의 자살 사실을 예고한다. 가족들은 이런 예고를 쉽게 지나치거나 대수롭게 생각해선 안된다.
다섯째, 가족의 지원과 역할을 강화한다. 가정은 상담소와 같고, 가족은 상담 전문가다. 들어주기만 하면 된다. 위로란 같이 우산을 쓰고 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아 주는 것이다.
자살은 자신과 가족에게 말 못할 고통을 안겨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