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투모로우’의 메시지···’탄소중립’과 “같이해, 지구회복”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필자는 6월 6일 오후 EBS-TV를 통해 2004년 제작된 재난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를 시청했다. 영화 <투모로우>는 급격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 곳곳에 이상기후 현상이 일어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올해 제51회 지구의 날(Earth Day, 4월 22일) 주제는 ‘같이해, 지구회복’이었다. 지구의 날은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제정한 날로, UN이 정한 세계환경의 날(6월 5일)과는 달리 순수 민간운동으로 1970년 출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부터 매년 ‘지구의 날’을 전후한 일주일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정했다.
기후변화주간에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생활 실천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소등(消燈)행사 등을 전국 각지에서 진행하고 있다. 올해도 전국의 공공기관, 주요 건물들을 중심으로 10분간 소등행사를 했다. 10분간 소등은 30년생 소나무 403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탄소량과 비슷하여 온실가스 2660kg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우리 삶의 터전인 하나뿐인 지구에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기후변화(climate change), 기후위기(climate crisis) 등 다양한 변화가 찾아오고 있다.
2015년 채택된 기후변화협정(파리협약, Paris Agreement)에 따라 지난해 말 세계 각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국제사회에 공식 제출했다. 올해는 ‘행동의 10년’을 시작하는 첫해다.
세계 ‘탄소 중립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10월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국제사회와 함께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 2050년 탄소 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2020년 12월 10일 탄소중립과 경제성장,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2050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했다.
국내 탄소중립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하는 대통령 직속지구로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 2021년 5월 29일 공식 출범했다. 탄소중립위원회는 기존의 녹색성장위원회, 국가기후환경회의, 미세먼지특별위원회 등 3개 위원회가 통합된 것이다. 위원회는 김부겸 국무총리와 에너지정책학 박사인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18개 중앙행정기관장 및 산업계, 시민사회 등 민간대표 등 총 97명으로 구성된 민관 공동위원회다.
탄소중립(carbon neutral)이란 일상생활과 산업활동 등으로 배출되는 탄소(온실가스, greenhouse gases, GHGs) 배출량을 최소화하고, 불가피하게 배출된 온실가스는 탄소포집ㆍ저장(CCS)과 산림, 습지 등을 통해 흡수 또는 제거해 ‘순 배출’이 O(carbon zero)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탄소중립 실현은 재생에너지를 비롯해 전기차, 친환경 건축물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있다.
세계 각국은 탄소를 줄이고 친환경에너지로 전환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소산업 생태계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국내 수소 전문기업의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수소법)을 2020년 2월 4일 제정, 2021년 2월 5일 시행됐다.
2018년 인천 송도에서 열린 제48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가 195개국 회원국 만장일치로 승인됐다. 이 보고서는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혁명 이전(1850-1900년)보다 1.5도 상승 이내로 제한해야하는 과학적인 이유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대응 방안 등을 담고 있다.
IPCC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1988년 11월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다. 노벨위원회는 IPCC가 인간이 기후변화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 기후변화 문제의 해결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 데 노력한 공로를 인정해 2007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이런 국제적인 협력을 만들어 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이회성(75) IPCC 의장이 하고 있다. 이 의장은 경제와 기후변화 전문가로 1992년부터 IPCC에서 워킹그룹 공동위원장, 부의장 등을 맡으며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2015년 제6대 의장 선거에서 산업 부문과 긴밀한 협력을 강조한 공약으로 좋은 반응을 얻어 당선됐다. 이회성 의장은 서울대 출신으로 미국 릿거스대학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경제학자 출신 환경공학 교수이다.
이회성 의장은 “기후문제 해결 없는 21세기란 상상할 수 없으며, 환경과 경제, 과학기술 발전 등은 기후대책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말한다. 기후대책 없이는 우리가 희망하는 21세기 문화와 문명도 없다는 것이 2015년 파리협약 이후 분명해졌다. IPCC는 파리협약의 당위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으며, 지난 5년 동안 IPCC가 발표한 지구온난화 1.5도, 해양 및 빙권(氷圈) 온난화 등 특별보고서 3건은 즉각적 기후행동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발표한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 자료는 “온실가스 농도가 상승해 기후변화가 초래됐고, 그로 인해 폭염 등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 7위’인 만큼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국민 대부분은 무관심하다가 폭염과 홍수 같은 재난이 있을 때만 잠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생각한다. 하지만 계절이 바뀌면 다시 기후변화를 까맣게 잊어버린다.
영국 임페리얼대학 조아나 헤이 교수는 “폭염은 1950년대엔 1000분의 1 빈도로 나타났는데, 지금은 10분의 1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대학 마이클 바이언 교수는 “인류가 만든 지구온난화는 산업화 이전보다 지구 평균기온을 1도 높였다”며 “이런 기온상승은 기온 분포를 바꿔서 폭염 가능성을 증폭시킨다”고 말했다.
기후변화 대책과 경제발전 대책은 동전의 양면과 같으므로 정부든 기업이든 기후변화 대책을 세워야 한다. 세계 각국이 경제 발전, 고용 증진, 빈곤 퇴치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기후 대책과 별개가 아니다. 따라서 기후 대책을 잘 세우면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이고 희망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