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4/2] 유엔안보리, 미얀마 군부 학살 두고 ‘규탄’만 되풀이

1. 中 시노켐·켐차이나 합병 승인, 세계최대 화학업체 탄생 전망
– 중국 규제당국이 대형 국유 화학기업 2곳의 합병을 승인하면서 세계 최대의 화학기업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옴. 1일 국무원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원회(SASAC) 홈페이지에 따르면 SASAC는 “중국 중화그룹 유한공사(시노켐)와 중국 화공그룹 유한공사(켐차이나)가 연합 개편을 실시한다”고 밝혔음.
– 시노켐은 별도 공지를 통해 두 회사가 개편을 거쳐 SASAC 소유인 새로운 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라고 말했음. 양사는 이번 합병을 통해 자원을 통합하고 시너지효과를 내는 한편, 세계 일류의 종합 화공기업을 만들어 중국 화학공업의 질적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는 게 시노켐 측 설명.
– 로이터 통신은 최소 2017년부터 논의되어온 이번 합병의 결과, 세계 최대의 공업용 화학업체가 탄생할 수 있다고 전망. 두 회사는 지난해 초 중국군과의 연계가 의심된다는 이유로 미 국방부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상태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덧붙였음.

2. 샤오미 3억짜리 새 로고 조롱 속출
– 중국 전자제품 제조업체 샤오미(小米)가 새로운 로고를 선보였다가 조롱을 받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일 보도. 기존 디자인에서 테두리만 바뀐 것인데, 이를 위해 3년에 걸쳐 3억여원을 투입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중국 누리꾼들이 “사장이 사기를 당했다”며 조롱한다는 것.
– 샤오미 창업주이자 CEO인 레이쥔(雷軍)은 지난달 30일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하는 행사에서 새로운 로고를 발표. 샤오미의 ‘미'(米)를 영어로 쓴 ‘mi’는 그대로 둔 채, 기존 사각형 테두리를 원형으로 바꾼 것. 레이 CEO는 로고 변경을 2017년부터 추진했고, 마침내 일본 유명 디자이너 겐야 하라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냈다고 설명.
– SCMP는 “샤오미는 로고 디자인 변경 비용을 밝히지 않았으나 중국 누리꾼들이 재빨리 200만 위안(약 3억 4천만원)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음. 그러면서 기존 로고와 거의 유사한 로고에 중국 누리꾼들이 “경찰을 불러라” “나는 2만 위안에 할 수 있다” “아는 2천 위안에 할 수 있다”는 댓글을 올리며 이를 조롱하고 있다고 전했음.
– SCMP는 일부에서는 샤오미의 새 로고를 둘러싼 논란과 관심이 이미 로고 디자인 비용을 상쇄하는 효과를 낳았다고 해석한다고 전했음. 누리꾼들은 샤오미 사장이 일본인 디자이너에게 당했다고 지적했지만, 샤오미 사장은 실상 온라인상 모든 갑론을박을 이용했다는 설명.

3. “미일 정상회담, 제3국 인프라 협력 합의”…中일대일로 견제
– 이달 초순 미국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미일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제3국의 인프라(기반시설) 개발을 위해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에 합의할 것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2일 보도. 보도에 따르면 양국은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발전설비나 5세대 이동통신(5G)망 등 차세대형 기반시설 구축에 역점을 두는 방안을 합의하고 회담 후 발표할 공동문서에 명기할 것이라고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가 밝혔음.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기후 변동 문제를 회담의 중요 의제로 다룰 것으로 보이며 인프라 보급을 통해 탈탄소화를 추진한다는 구상이라고 신문은 전했음. 이를 위해 미국과 일본의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축전지나 수소 에너지 등과 송전망이 일체화된 설비의 보급을 꾀한다는 것.
– 이는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를 견제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의 기반시설 사업에서 미국과 일본이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임. 5G의 경우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이 치열한 분야라서 특히 주목.
– 미국과 일본은 안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설비 보급을 위해 협력한다는 방침이며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도시를 재구성하는 ‘스마트시티’ 사업을 함께 하는 방안도 검토. 양국은 정상회담 공동문서에 유사 시 미국의 일본 방위 의무를 규정한 미일안보조약 5조의 적용 대상에 중일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가 포함된다는 내용을 담기 위해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음.

<사진=AP/연합뉴스>

4. 유엔안보리, 미얀마 군부 학살 두고 ‘규탄’만 되풀이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일(현지시간) 미얀마 군부의 민간인 살해를 규탄했지만 다시 구두선에 머물렀음. 유엔 안보리는 성명에서 미얀마 사태에 대해 “안보리 회원국들은 급속한 상황 악화에 깊은 우려를 표현하고 평화적 시위대를 겨냥한 폭력과 여성, 어린이를 포함한 민간인 수백명의 죽음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음.
– 익명을 요구한 한 외교관은 AFP통신 인터뷰에서 안보리가 한목소리로 미얀마 사태에 대해 중요한 신호를 보냈다며 의미를 부여. 그러나 국제사회에서는 미얀마 군부가 꿈쩍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
– 이번에도 안보리 회원국들이 성명을 논의 과정에 서방 국가들과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들의 갈등이 있었음. AFP에 따르면 서방 국가들은 성명에 미얀마 군부에 대한 제재를 염두에 두고 “추가적 조처의 검토를 준비한다”는 표현을 넣으려고 했지만 중국이 이를 반대. 미얀마 군부에 우호적인 중국은 “민간인 죽음” 등의 표현을 완화하자는 주장까지 편 것으로 알려졌음.
– 한발 더 나아가 러시아는 성명에 미얀마 시위 진압 과정에서 군경의 사망까지 규탄하자는 내용을 포함하기를 원했음. 국제사회의 논의가 강대국들의 의견대립 속에 공회전 하는 가운데 미얀마 사태는 날로 악화하고 있음. 지난달 1일 미얀마 군부카 쿠데타를 일으킨 뒤 민주화 시위대에 무차별 총격을 가하면서 지금까지 5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왔음.
– 외신들은 미얀마에서 끔찍한 유혈 참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는 무기력한 모습을 노출하고 있다고 지적. AFP는 유엔 안보리가 미얀마 사태에 대해 성명을 3차례나 냈음에도 미얀마 군부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평가. 유엔이 말로만 비판을 되풀이하면서 미얀마 군부의 학살을 막을 실효성 있는 조처를 내놓지 못한다는 것.

5. OPEC+, 5∼7월 단계적 증산 합의…사우디는 자발적 감산 축소 예고
–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내달부터 단계적인 증산을 허용하기로 했음. 1일(현지시간) 로이터·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화상으로 진행된 OPEC+ 석유장관 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세계 경기 회복을 고려해 오는 5∼7월 감산을 점차 완화하기로 했음.
– OPEC+ 회원국들은 회의 직후 낸 성명에서 오는 7월까지 매달 하루 50만 배럴을 넘지않는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원유 생산량을 늘리기로 했다고 발표. 로이터와 타스 통신은 OPEC+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참가국들이 오는 5월 35만 배럴, 6월 35만 배럴, 7월 40만 배럴씩 하루 감산량을 완화하기로 했다고 보도.
– 비잔 남다르 잔가네 이란 석유장관은 이날 회의 후 취재진에게 오는 7월까지 석달간 하루 생산량을 총 110만 배럴 늘리기로 결정됐다고 밝혔음. 압둘 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 장관은 “이번 증산 결정은 매우 보수적인 조치였으며, 합의에 있어서 미국의 영향은 없었다”고 말했음. 그는 “현재 사우디의 하루 10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도 오는 7월까지 단계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음.
– OPEC+는 오는 28일 다시 장관회의를 열고 증산량을 조정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음. OPEC+ 회원국인 카자흐스탄은 오는 5∼6월 증산을 확정했지만, 정확한 증산량은 알려지지 않았음. 올해 들어 꾸준히 원유 생산량을 늘려온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노박 부총리는 이날 개회식에서 “지난 회의에서 언급했듯이 상황이 좋아졌고, 추세도 긍정적”이라며 “과열이나 심한 부족이 없도록 시장을 예의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