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12/16] 미중 갈등 최대수혜 홍콩증시, 10년만에 최대 자본 조달

[아시아엔 편집국] 1.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 올해의 유행어 ‘탄력근무제’
–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바이두(百度)에서 올 한 해 탄력근무시간제(flexible work·靈活的工作制度), ‘715’ 등 근무 형태와 관련한 단어들이 많이 검색된 것으로 드러났음.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이들 단어가 올해 바이두의 10대 인기 검색어 리스트에 올랐다면서 이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이 있다고 보도.
–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선택해 정해진 근로시간을 맞추는 탄력근무시간제의 확산은 중국만의 현상은 아님. 이 제도는 코로나19의 감염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기술기업을 중심으로 확산하는 추세.
– ‘715’는 일주일 내내 하루 15시간 일한다는 뜻. 이 용어는 중국의 코로나19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2월 음식점 운영업체인 시베이 케이터링 그룹의 자궈룽 회장이 어려움에 처한 중국 요식업계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유행.
– 이밖에 ‘클라우드 감독관'(cloud supervisors)라는 단어도 인기 검색어에 올랐음. 이 단어는 베이징(北京) 시민들이 농담조로 코로나19 핵산 검사를 받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면서 널리 퍼짐.

2. 중국, 공산당원 195만명 명단 폭로에 ‘음해’ 맹비난
– 중국공산당 당원 195만명의 이름과 연락처, 소속 기관 등이 포함된 신상정보가 유출됐다는 해외 언론의 보도가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가운데 중국 관영 매체가 공산당원 개인정보 유출은 심각한 사생활 침해라고 맹비난.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5일 스카이뉴스 등 영국 매체의 관련 보도를 언급하면서 “논란이 되는 명단은 진위가 확실치 않다”며 “일부 매체는 이들이 해외 주재 공관이나 외국 기업에서 정보활동을 벌이는 것처럼 보도하며 마녀사냥에 나섰다”고 비판.
– 논란이 된 명단은 2016년 반체제 인사에 의해 유출된 것으로, 명단 내 공산당원들은 상하이에 있는 재외공관을 비롯해 이케아, 폴크스바겐, 화이자 등 주요 외국 기업의 중국 지사에 근무한다는 내용이 포함. 글로벌타임스는 “서구 매체들은 명단 공개로 많은 사람이 개인정보를 도용당했다는 사실을 보도하는 것이 아니라 공산당의 적폐를 폭로하기 위한 용감한 행동이라고 평가했다”며 “그들은 이 폭로가 일반인에 불과한 당원들에게 끼친 피해에 대해서는 함구했다”고 지적
– 명단에 이름을 올린 천훙 화둥사범대 교수는 글로벌 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이 명단은 조작됐을 수 있다”면서 “나는 중국공산당 당원이 아니라 다른 정당(민주당파)에 소속돼 있다”고 주장. 폴크스바겐 차이나는 “어떤 정당에 가입하는 것은 직원 개인의 결정이고 그들을 간섭하지 않는다”며 “폴크스바겐은 전 세계 직원의 정치적 연대를 존중하고, 그들의 일은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음.
– 중국 당국도 이번 논란이 중국을 음해하려는 중국 위협론의 하나라고 비난.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공산당 당원을 간첩으로 인식하는 행위에 대해 “반중 세력이 중국공산당에 대해 음해하고, 오명을 씌우는 히스테리일 뿐”이라며 “이런 생각은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 어불성설”이라고 비판.

3. 취임 석달 스가, 여론 경시·소통 부족에 지지율 급락
– 역대 3위의 지지율로 출범한 일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정권이 석 달 만에 구조적 취약함을 드러내고 있음. 총리가 주도해 신속하게 정책을 추진하고 성과를 모색하는 점이 특징이지만 여론에 귀 기울이지 않고 내부에서 정책을 조율할 인물이 없는 것이 약점으로 꼽혔음.
– 16일 내각 발족 3개월을 맞은 스가 정권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최근 하루 확진자 수가 3천명 넘는 수준까지 치솟는 등 일본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한 후 가장 빠른 속도로 감염이 퍼지고 있음. 스가 총리는 이런 상황에서도 여행 장려 정책인 ‘고투 트래블'(Go To Travel)을 강행하다가 여론이 악화하자 뒤늦게 일시 중단을 결정.
– 일련의 혼란은 스가 총리가 민심에 제대로 귀를 기울이지 않아서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음. 방역을 희생하고 경기 부양을 우선하는 기조에 대해 앞서 많은 의문이 제기됐지만 이를 무시하고 정책을 강행하다 지지율이 폭락해 정권의 기반이 흔들릴 조짐을 보이니 뒤늦게 대응에 나선 것.
–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시절부터 이어진 소통 능력 부족도 문제로 지적. 정부 정책에 반대한 학자를 일본 학술회의 회원 임명에서 배제한 것이나 아베 전 총리가 연루된 유권자에 대한 향응 제공 의혹 등에 관한 스가 총리는 제대로 된 설명을 내놓지 않았음. 외국 방문 중 이뤄진 것을 제외하면 정식 기자회견은 취임 첫날과 이달 4일 두 차례에 불과.
–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산적한 과제에 대한 설명 부족”이 스가 정권이 안고 있는 문제라고 16일 지적. 마이니치의 조사를 기준으로 스가 정권 출범 당시 지지율 64%였는데 최근 조사에서는 지지율이 40%로 떨어졌으며, 내각을 비판하는 여론은 49%를 기록.

홍콩 증시인 항셍지수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는 시민들 <사진=EPA/연합뉴스>

4. 미중 갈등 최대수혜 홍콩증시, 10년만에 최대 자본 조달
–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의 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미중 관계 악화 속 홍콩이 최대 수혜국이 됐다고 보도. 미국이 자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기업을 퇴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인 ‘외국회사문책법’을 제정하는 등 자국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이 잇달아 홍콩증시에서 2차 상장을 한 덕분이라는 분석.
– 올해 홍콩 증시에서 140개 기업이 기업공개(IPO)를 통해 500억 달러(약 7조 46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음. 홍콩증시가 조달한 자금규모가 올해 24% 치솟으면서 10년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 또한 홍콩증시는 175개 기업이 IPO를 통해 523억달러를 조달한 미국 나스닥에 이어 세계 두번째 IPO 시장으로 등극.
– SCMP는 낮은 금리와 시장의 풍부한 유동성으로 투자자들이 IPO에 몰려들고 있고, 조 바이든 미 차기 대통령이 취임한 후에도 미국 증시의 ‘반중 흐름’이 바뀌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홍콩증시가 내년에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음.
– 올해는 전자상거래 업체인 징둥(京東)닷컴과 이 회사의 자회사인 JD헬스 인터내셔널, 게임회사 넷이즈(왕이<網易>) 등의 중국 기업들이 홍콩증시에 입성. 내년에는 ‘틱톡'(TikTok)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ByteDance·字節跳動)와 경쟁사인 콰이쇼우(快手), 바이두(百度)의 동영상 플랫폼 아이치이(愛奇藝) 등이 홍콩증시에서 IPO를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음.

5. 말레이 95세 마하티르, 총리직 탈환 나서
–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모하맛 전 총리가 95세의 나이에도 총리직 탈환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음. 무히딘 야신 현 총리는 15일 의회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이 통과됨에 따라 다수 지지를 확인했지만, 여전히 총리직을 두고 불안한 상황.
– 16일 말레이메일 등에 따르면 마하티르 전 총리는 예산 표결을 하루 앞둔 지난 14일 기자회견을 열어 “원하고 원치 않고의 문제가 아니다. 만약 모두가 나를 지지한다면 나는 내일 총리가 될 수 있다”고 선언. 마하티르는 1981년 총리직에 올라 22년 장기 집권한 이후 15년만인 2018년 5월 다시 총리에 취임, 올해 2월 ‘정치 승부수’로 총리직 사임 후 재신임을 노렸다가 총리직을 되찾지 못했음.
– 마하티르는 자신이 의회 과반수 지지를 끌어모았다고 생각했으나, 국왕은 무히딘 야신을 새 총리로 앉혔음. 마하티르 전 총리는 본래 라이벌 관계였던 텡쿠 라잘레이(Tengku Razaleigh·83) 의원과 손잡은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예산안이 부결될 경우를 예상하며 자신들이 새 내각 수립을 이끌고 싶다고 밝혔음.
– 하지만, 15일 말레이시아 2021년 정부 예산안 표결은 찬성과 반대 111대 108로 통과. 만약 정부 예산안이 부결됐다면, 무히딘 총리가 과반 지지를 받지 못함을 뜻하기에 총리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음. 무히딘 총리가 이번에 가까스로 총리직을 유지하긴 했지만, 정치권은 계속 시끄러울 전망. 마하티르 지지자들이 계속 현 정부를 흔들고 있고, 의원들이 이합집산하고 있기 때문.

6. 파키스탄 정부, 성폭행범 대상 ‘화학적 거세형’ 법안 승인
– 파키스탄 정부가 잔혹 성범죄 근절을 위해 ‘화학적 거세형’을 도입. 16일 dpa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아리프 알비 파키스탄 대통령은 전날 이와 관련한 법안을 승인. 이 법안은 즉시 효력을 갖는 대신 앞으로 3개월 이내에 의회에서 통과돼야 법으로 공식화. 앞서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는 지난달 내각 회의를 열고 이 법안 초안을 승인.
– 법안은 집단 강간이나 아동 대상 성범죄를 저지른 이들에 대해 화학적 거세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았음. 화학적 거세는 약물을 투여해 남성호르몬 분비를 막는 성 충동 치료를 말함. 이 법안은 또 특별법원 신설을 통해 중범죄의 경우 사건 발생 후 4개월 이내에 신속하게 재판을 마무리하게 하는 내용도 포함.
– 이와 함께 법안은 성범죄 피해자의 성기를 직접 조사하는 검사 제도도 금지. 파키스탄은 성폭행범이 재판을 거쳐 유죄를 선고받는 일이 드문 나라. 형사 재판 시스템이 복잡한데다 보수적인 문화 때문에 피해자 상당수가 신고를 기피하기 때문. 와중에 최근 잔혹한 범죄가 이어지자 파키스탄 정부가 성범죄 관련 형량 강화에 나선 것.

7. 최대 산유국 사우디, 코로나19 발 재정적자 급증에 내년 예산 축소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세계 경제에 남긴 상처가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도 경기 침체와 유가 하락의 직격탄을 맞았음. 올해 재정적자 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자 사우디는 내년 예산 규모를 올해보다 축소하기로 했다고 AFP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
– 사우디 재무부는 이날 2021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올해 재정적자 규모를 2천980억 리알(약 87조원)로 추산. 내년 재정적자 예상치는 1천410억 리알(약 41조원)으로 제시. 기존의 올해 재정적자 전망치는 500억 달러(약 54조원) 선이었음.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전 세계적인 경기 후퇴와 이에 따른 유가 하락이 최대 산유국이자 아랍권 최대 규모인 사우디의 경제에도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친 것.
– 사우디 정부는 내년 예산 규모도 올해보다 7% 줄어든 9천990억 리알(약 291조원)으로 책정. 올해 마이너스 성장을 경험한 사우디는 내년에는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내다보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2%로 제시. 그러나 석유 관련 수입이 국가 재정수입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사우디가 예산 규모를 올해보다 대폭 줄인 것은 내년에도 적지 않은 난관을 예상한다는 의미로 풀이.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