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의원과 ’99의 노예’가 된 이발사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인권운동가인 이용수 할머니의 갈등이 안타깝다. 윤미향 의원이 8년 전 이용수 할머니의 국회의원 출마를 만류했던 것이 오늘의 화를 자초한 것이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든다.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의원이 21대 국회 임기 시작 사흘째인 6월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사무실에서 보좌진들과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출마를 결심한 이용수 할머니에게 윤미향 당선인이 “위안부 문제 해결은 국회에 가지 않아도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설득했다는 것이다. 당시 이용수 할머니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도저히 죽을 수 없다. 국회의원이 되면 일본 국왕으로부터 사죄와 배상을 반드시 받아오겠다”며 출마의지를 표했다고 한다.

그 출마를 만류했던 사람이 이번에 국회의원에 당선한 것을 보고 사람인 이상 어찌 울화가 터지지 않겠는가? 이번 일은 30년에 걸친 위안부 할머니들의 투쟁에 먹칠을 하고 말았다.

가난하지만 늘 행복한 이발사가 있었다. 푼돈을 받으며 매일 왕의 머리를 만지는 그에게 왕은 묻는다. “자네의 얼굴은 항상 기쁨으로 빛나고 있네. 모든 것을 다가지고 있는 나도 갖기 힘든 그 행복의 비결은 무엇인가?” “저도 모릅니다. 그저 지금이 만족스러울 뿐입니다.”

왕은 이발사를 물러가게 하고는 현명하다고 알려진 한 재상을 불러 이발사 이야기를 해주었다. 그러자 재상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폐하, 저는 그 이발사가 아직 99의 노예가 되지 않았다고 봅니다.” “99의 노예? 그게 무엇인가?” “폐하, 99의 노예가 무엇인지 알고 싶으시다면 가죽주머니에 금화 99냥을 넣어서 이발사의 집 앞에 가져다 두십시오.”

왕은 신하를 시켜 이발사 집 앞에 금화 99냥을 몰래 가져다 놓게 했다. 다음날 이발사는 초췌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전처럼 콧노래를 부르거나 휘파람을 불지도 않았다. 그는 갑자기 금화 99냥이 생겨 너무 기뻤으나, 그 금화가 99냥인 것이 문제였다. 그는 더 열심히 일해서 금화 100냥을 채우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그가 벌어들이는 푼돈으로는 금화 1냥을 만들기는 역부족이었다. 고심한 이발사는 식사도 제대로 하지 않고 출근해서 미친 듯이 일에 몰두했다. 예전처럼 콧노래를 부르거나 휘파람을 불지도 않았다. 얼마나 일에 몰입했던지, 왕이 자신을 몰래 지켜보고 있다는 것도 알아채지 못했다.

어제의 즐겁고 행복한 모습은 완전히 사라진 이발사를 보면서 왕은 크게 놀랐다. 금화가 생겼는데, 더 행복해지기는커녕 오히려 불행해지다니! 왕은 재상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폐하, 그 이발사는 이제 99의 노예가 됐습니다. 99의 노예란 가진 것이 아무리 많아도 만족하지 못하고, 부족한 1을 채워 100을 만들기 위해 있는 힘을 다해 일에 매달리는 사람을 말합니다.”

우리도 이발사와 똑같은 삶을 살고 있는 것 같다. 조금만 더 벌면, 조금만 더 큰 권력을 갖는다면 행복할 거라고 생각한다. 행복은 1%의 부족한 것을 채우려는 욕심보다 사소한 일상에서 만족하는 데에 있지 않을까?

이와는 반대의 예화가 있다. 옛날 한 왕국이 이웃 나라와의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왕은 전쟁에 참여한 장수들과 신하들을 크게 치하하며 상을 내렸다. 그런데 전쟁에 참여했던 왕자가 왕을 찾아와 간청했다. “대왕마마! 이번 전쟁에 소자도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니 바라옵건대 제게 대장군의 직위를 내려 주시옵소서.”

왕은 순간 고민했다. 왕자가 전쟁에서 활약을 하기는 했지만 모든 군대를 이끄는 대장군의 직위를 받을 만큼 큰 공을 세운 것은 아니었다. 그렇다고 왕자의 요청을 단번에 거부하면 왕자에게 상처를 줄까 걱정하던 왕은 이렇게 말했다.

“과인은 논공행상을 엄격하게 하는 바, 왕자에게 대장군이 직위를 내릴 수는 없다. 하지만 다른 신하들에게는 과인이 왕자에게 대장군의 직위를 내리려고 했는데 왕자가 그것을 거절했다고 말하겠다.” 왕자는 왕의 뜻을 잘 이해를 할 수가 없었다. 또한 자신의 간절한 부탁을 거절한 아버지가 원망스럽기도 했다.

그런데 얼마 후 대장군의 직위를 거절한 왕자는 매우 공명정대하고 올바른 사람이라는 소문이 파다하게 퍼지며 왕자의 주변에 훌륭한 인재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그제야 왕의 의도를 알아챈 왕자는 아버지의 지혜에 감탄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