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흔적 찾기⑨] ‘문순남’ 이름 석자 확인, 하염없이 눈물이 쏟아졌다
“나의 부친 문순남(1924~1974, 文順南)은 일본제국주의 말기 조선 총독부 동원령에 의거 전장에 끌려가 중국 동북지역 만주 봉천에서 복무했다. 선친은 일본 패망과 2차대전이 끝난 후에도 전쟁포로로 수용돼 옛 소련연방 카자흐스탄공화국에서 억류돼 3년 4개월간 강제노동을 하다 풀려났다. 해방의 기쁨도 누리지 못한 채 아버지는 영문도 모른 채 노역에 내몰리며 기약 없는 ‘지옥생활’을 한 것이다.”?
대구에서 노동 일을 하는 문용식(59)씨는 16살 때 여읜 아버지 문순남의 흔적을 찾아 20년 넘게 국내외를 헤매고 있다. 그는 “이게 나라냐, 이게 정부인가” 하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고 했다. 문용식씨는 지난 1월20일 인문학 공동체 ‘수유너머’ 특강을 통해 “아버지의 자취를 찾는 것은 나라잃은 설움을 후손들은 겪지 않길 바라는 간절함 때문”이라고 했다. <아시아엔>은 문용식씨의 잃어버린 아버지 흔적 찾기를 연재한다. <편집자>
[아시아엔=문용식 ‘2차대전 후 옛소련 억류피해자’ 유족] 2007년 여름 국무총리 산하 ‘일제하 강제동원 진상 조사 및 지원위원회’ 관계자로부터 “문순남의 것으로 보이는 기록을 찾았다”는 연락이 왔다.
위원회는 <대전일보> 특집기사 ‘소련군에 체포된 조선인 포로명단’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에서 아버지 기록을 찾은 것이다. 위원회가 찾은 기록은 지방의 5개 주요신문(부산일보, 매일신문, 대전일보, 광주일보, 강원일보)가 1995년 모스크바 송광호 특파원이 발굴한 기사를 ‘광복50년 특집’으로 공동 보도했다.
나는 부산에서 아버지 친구로부터 포로명단이 게재된 신문을 넘겨받아 기사 명단에서 아버지를 찾아보려 애썼지만 창씨개명 이름을 알 수 없어 답답하게 10년을 보내고 있던 터였다. 그런데 ‘강제동원 진상조사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신문에서 아버지를 찾게 되었고 도무지 풀 수 없었던 의문 하나를 해결했다.
아버지의 창씨개명 이름은 ‘남평순남’ 일본식 발음으로 ‘미나미 하라 주난’이었다. 본관 ‘남평’과 이름 ‘순남’을 조합한 것으로 아마도 아버지의 일본군 입대 시점에 작명되었을 거라 생각되었다.
나는 러시아 국립고문서보관소에 보존된 자료를 기초해 보도되었던 당시 신문기사에서 아버지의 △창씨개명 이름 △입대 전 주소 △복무부대 △체포 장소 △체포 일자를 알게 됐다. 나는 이를 근거로 우리 외교부를 통해 러시아당국에 ‘노동증명서 발급’을 요청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주 러시아 한국대사관에 전문을 보내 나의 민원사항을 알렸다. 우리 대사관은 러시아 외교부 한국과에 민원사항을 알리고 협조를 요청했다. 하지만 러시아 기관의 업무처리는 상당히 더디고, 협조마저 원만치 않다는 소식을 들었다.
나는 한국 외교부와 러시아 주재 한국대사관에 뻔질나게 전화하며 민원 해결을 촉구했다. 1년이 되어갈 무렵 외교부 관계자로부터 연락이 왔다.
러시아 당국에서 문순남의 구소련 체류시절 ‘수용소 위치’ 와 ‘수용소 번호’를 알아 연락해 달라는 것이었다.
나는 그 소식에 기가 막혔다. 외교부 주무과에서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겠지만 내가 그것을 찾아서 노동증명서를 발급해 달라고 요청한 것인데 한국도 아니고 구소련에서 일어난 일을 나에게 그것을 알아보라 하니 정말 황당했다. 나는 어떻게 해야할 지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그런 상황에서 막막하게 몇 개월을 보내야 했다. 나는 우연한 기회에 구소련에 억류된 조선인 3700명분의 자료가 이미 러시아에서 국가기록원에 도착해 번역과 분석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자료는 포로의 신상이 기록된 ‘목록 카드’였다.
또한 국가기록원은 러시아 국립고문서보관소와 계약을 체결해 ‘소련 내무부 전쟁포로 수용자 관리본부’가 생산한 ‘포로조사문서’를 200명 단위로 순차적으로 입수하는 계획도 진행하고 있었다.
그 무렵에 나는 아버지 창씨개명 이름을 알게 된 것이고 국가기록원에 민원을 넣어 ‘미나미 하라 주난’의 자료를 찾아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국가기록원 관계자들의 도움을 받아 러시아에서 입수해 분석작업이 완료된 ‘포로목록카드’ 2매와 번역 문서를 함께 인수 했다.
목록카드에는 아버지의 신상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었다. 내가 그토록 찾아 헤매던 아버지의 20살 당시 흔적을 한국, 일본에서 찾지 못하고 러시아 국립고문서보관소가 반세기 넘게 비밀로 관리하던 그 문서를 마침내 손에 넣었다.
나는 러시아 당국이 생산한 아버지의 신상이 기록된 목록카드를 첨부해서 외교부에 다시 민원을 넣고 오랜 시간 독촉해 러시아 외교부 및 군사문서보존소로부터 미나미 하라 주난이 “1948년 10월26일까지 전쟁포로로 카자흐스탄 카라간다 99수용소에서 수용생활과 다양한 노동을 했다”는 확인서를 공문서로 받았다.
또한 국가기록원 관계자의 협조로 러시아 국립고문서 보관소가 보존하던 ‘포로조사문서’ 5매를 2009년 4월27일 입수했다.
마침내 신문의 기사에서 시작해 아버지의 흔적을 찾겠다고 나선지 4년 이란 시간을 보내고 20대 초반 아버지가 서명한 포로 조사문서를 통해 힘든 삶을 사셨던 아버지와 온전히 만날 수 있었다.
나의 눈에서 하염없이 눈물이 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