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파 신현철 도예가의 자유로운 영혼이 빚어낸 ‘연꽃다기’

MN1602_Arts_신현철도예가_메인사진

[아시아엔=김아람 기자·사진 신현철도예연구소] 이 작품은 연파 신현철 도예가의 작품 ‘참새다기’다. 참새부리는 주둥이로, 참새꼬리는 손잡이로 형상화했다. 찻잎이 짧고 끝이 날카로운 참새 혀와 닮았다는 뜻의 한국 전통차 ‘작설차’(雀舌茶)에서 영감을 얻은 이 작품은 국내외 차 애호가들 사이에서 명품으로 손꼽힌다.

신현철 도예가는 이밖에도 연꽃이나 연잎 등 우리에게 친숙한 조형을 찻잔에 최초로 응용하며 전통 도자기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에겐 ‘전통 다기의 한계를 극복한 명장’이란 수식어가 늘 따라다닌다.

차에서 내리자마자 코 끝으로 들어오는 차갑고 신선한 공기에 나도 모르게 한 숨을 들이켰다. ‘후~’하고 숨을 내뱉으며 주변을 돌아보자 흰둥이 몇 마리와 황토집 한 채가 보였다. 연파(蓮波) 신현철 도예가의 작업공간이자 주거공간이다. 그는 한국을 대표하는 도예가 중 한 명으로 연잎다기와 연꽃 향을 차에 담는 연지다법을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연꽃 ‘연’과 물결 ‘파’를 쓰는 그의 호에서 알 수 있듯이 신 명장은 연꽃과 인연이 깊다.

연꽃을 띄워 연꽃차를 우려내는 연지
연꽃을 띄워 연꽃차를 우려내는 연지

들어가자마자 눈에 가장 띄었던 것은 커다란 연잎 모양의 찻상이었다. 바닥에는 구멍이 뚫려있었는데, 좀처럼 용도를 짐작할 수 없었다. 찬찬히 연파 선생이 차를 우려 내주는 모습을 지켜보기로 했다. 그는 제일 먼저 작은 잔들을 찻상에 올려두고 따뜻한 물로 헹구었다. 그 물은 찻상에 난 구멍을 따라 아래로 떨어졌는데, ‘똑똑’ 떨어지는 청아한 물소리가 아름다웠다. 최근 중국에서 한창 유행이라는 ‘백차’를 잔에 따라 주었는데 맛이 아주 좋았다.

여기에 연꽃만 있으면 그가 개발한 ‘연지화개다법’을 즐길 수 있다. 말 그대로 연꽃과 함께 차를 마시는 방법이다. 간단히 소개하면 이렇다. 연꽃이 움츠러들 때 그 안에 찻잎을 넣고 그대로 꽃을 따서 냉동 보관한다. 후에 급랭한 연꽃을 내어 물속에 넣는다. 그러면 따뜻한 물에 연꽃이 봉오리를 펼쳐내면서 향긋한 차의 향기가 퍼진다. 이 다법은 국내외 차(茶)·불교행사에서 빼놓지 않을 정도로 유명해졌다.

신현철 도예가가 연잎 찻상에 올려둔 잔에 백차를 따르고 있다.
신현철 도예가가 연잎 찻상에 올려둔 잔에 백차를 따르고 있다.

연파 선생이 손수 따라준 차를 천천히 마시고 있자니, 어느 먼 과거로 돌아가 풍류를 즐기는 선비가 된 듯한 느낌이 들었다. 복잡한 도시를 떠나 느끼는 오랜만의 여유에 나도 모르게 옛 정취에 흠뻑 젖어들고 있었다.
자유로운 영혼으로 청춘을 보냈던 그가 도예가의 길로 들어선 인연은 다소 특별하다. 대학생 시절 들린 고미술 전시회에서 ‘고려백자’에 마음을 뺏긴 것이 그 시작이었다.

UAE 한국문화원, 뮌헨박물관서 전시 예정
“처음에는 조선시대 백자라고 생각했어요. 고려청자가 워낙 유명했기 때문에 백자는 조선시대 도자기로만 알고 있었죠. 그런데 어떤 분이 ‘고려백자’라고 호통을 치시더라고요. 그러면서 백자에 입을 맞춰보라고 하셨는데 그 느낌을 아직도 잊을 수 없습니다.”

이후 한국 도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그는 경기도 이천 수광리 도자마을을 찾았다. 그런데 대부분의 도자가 고려 혹은 조선시대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연파 선생은 ‘왜 오늘날 한국의 그릇은 없는 걸까’ 고민했고, 그것이 현재 ‘한국식 다구’ 개발의 계기가 됐다. 그는 문화센터에서 만난 윤광조 도예가를 스승으로 모시며 수련생활을 시작했고, 3년간의 연구 끝에 1987년 연잎다기를 만들어냈다.

각기 다른 모양의 다관들
각기 다른 모양의 다관들

“차문화는 불교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스님들이 차를 손쉽게 바랑에 넣어 다닐 수 있을까 고민하다, 휴대가 간편하고 연잎이나 연꽃 등 종교적 상징을 지닌 형태의 연잎다기를 떠올리게 됐습니다.”

그는 지난 1986년 인사동에서 열린 첫 개인전 이후 개인전 및 초대전을 수십 차례 열어왔다. 미국·중국·일본·독일·핀란드 등 해외전시회를 통해 한국 전통의 아름다움과 차문화를 널리 알리는데 공헌했다. 올해 5월엔 뉴욕에서 전시회가 열리고, 아랍에미리트에 들어설 한국문화원의 한국전통문화 그룹전에서도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독일 뮌헨박물관과도 전시논의를 하는 중이라고 했다. 인터뷰가 끝날 무렵, 연파 선생에게 도예가로서의 목표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의 차문화는 알아도 한국에서도 오래 전부터 차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잘 모릅니다. 앞으로 전세계에 한국의 훌륭한 전통 차문화를 알리는 것이 꿈입니다.”

신현철 도예가가 가마에 달항아리를 차례차례 얹히고 있다.
신현철 도예가가 가마에 달항아리를 차례차례 얹히고 있다.

연파(蓮波) 신현철

2014
연파 신현철 도자예술전(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북경국제 차박람회 초대전(중국 북경)
북경한국문화원 초대전(중국 북경)
한중일 삼국도자예술교류초대전(중국 하남성)

2013
명인도예 연파 신현철 초대전(KNN 월석아트홀) 외 다수

작품 소장 박물관
서울중앙박물관, 국립국악원, 오설록박물관, 사천성 세계차박물관(중국), 산동성 치박시 중국도자박물관, 샌프란시스코 자연사박물관(미국), 지바현 가와무라미술관(일본) 등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