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 [12.19 역사속 아시아] 노무현 대통령 당선(2002)·카다피 대량살상무기 포기(2003)

    유엔남남협력의날 [아시아엔=손혁재 시사평론가] 개발도상국 사이의 국제적 협력을 강조하는 날로 2003년 12월 UN총회에서 의결 -1932 윤봉길 의사, 일본 오사카 형무소에서 순국 -1968 대학입시예비고사 첫 실시 -1995 국회, 여야 합의로 5.18 특별법 제정 -2002 제16대 대통령 선거, 노무현 후보 당선. 유효투표수 24,561,916표, 노무현 후보 12,014,277표(48.9%) 사상 최다득표 -2006 김연아, 국제빙상경기연맹 피겨스케이팅 시니어…

    더 읽기 »
  • [김국헌의 직필] 동맹간 신뢰가 중요한 이유는?

    1986년 4월 미국이 리비아를 공습하였을 때 영미관계는 상당히 불편한 상태였다. 1985년 12월 로마와 비엔나 공항, 그리고 1986년 9월 비엔나 공항, 1986년 9월 서베를린의 디스코 테크에서 폭탄테러가 연이어 일어났다. 특히 서베를린에서 일어난 폭탄테러 배후에 리비아의 카다피가 연관되어 있음이 들어났는데 이를 계기로 레이건은 카다피를 응징해야 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대처는 리비아에 대한…

    더 읽기 »
  • [3월8일] 한국, 21년전 태양열 이용한 교실 첫선

    2011년 3월8일 상하이 핑크 빛 영문 2011년 3월8일 상하이 마타하리 사건이 한국 언론에 보도됐다. 중국 상하이 주재 한국 총영사 소속 3명이 재직당시 중국 한족 출신의 여성 덩아무개(당시 33세)씨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국가 기밀을 유출했다는 보도였다. 한국 정관계 인사 200여명의 휴대전화번호 등과 주상하이 총영사관 비상연락망, 비자발급 관련 자료, 외교통상부 관련 문서…

    더 읽기 »
  • [2월20일]이란-서방 충돌위기, 전주곡 5년 전에 시작

    2011년 슬로핸드 에릭 클랩튼과 아름다운 밤 2011년 2월20일 저녁 7시 정각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세계 3대 기타리스트 중 한명인 에릭 클랩튼의 내한 공연이 시작됐다. 이날 저녁 7시 정각에 공연장의 실내조명이 일제히 꺼졌다. 단 몇 초도 지연되지 않은 7시 정각이었다. 파란색 체크무늬 셔츠에 청바지를 입은 에릭 클랩턴(당시 66세)은 하늘색 펜더 스트라토캐스터…

    더 읽기 »
  • 서아시아

    리비아, ‘카다피’ 독재정권 붕괴 1주년

    23일 리비아 마르티스 광장(Martyrs Square)에서 리비아 사람들이 무아마르 카다피(Moammar Gadhafi) 독재 정권 붕괴 1주년을 기념하고 있다. <사진=AP/Gaia Anderson>

    더 읽기 »
  • 세계

    리비아 유권자들의 ‘투표 인증’

    7일(현지시각) 리비아에서 근 반세기 만에 민주적인 선거가 시작된 가운데 투표를 마친 젊은이들이 트리폴리의 광장에서 손가락에 묻은 잉크를 보이며 ‘투표인증’을 하고 있다. 투표를 마친 리비아 젊은이들은 무아마르 카다피의 42년 독재가 종식된 이후 민주화를 향한 그들의 주권 행사를 축하했다. 한편, 일부 지역에서는 선거를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무장 공격 등이 감행되기도 했다고…

    더 읽기 »
  • 세계

    리비아, 시민혁명 1주년

    17일(현지시각) 리비아 벵가지에서 무아마르 카다피의 독재에 맞서 봉기한 시민혁명 1주년을 맞아 리비아인들이 대형 국기를 들고 행사에 참가하고 있다. <사진=신화사/Cai Yang> news@theasian.asia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