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손혁재의 대선 길목 D-98] 뜨거운 무대, 팔짱 낀 민심
[아시아엔=손혁재 자유기고가] D-98, 제20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이제 100일도 남지 않았습니다. D-100이 되는 11월 29일 대선 관련 여론조사가 쏟아졌습니다. 조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여론조사 결과는 사람들의 예측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이미 오래 전부터 그랬던 것처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1, 2위를 다투고 있습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와…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30] 장쩌민 별세(2022)·바둑 첫 프로기사 조남철 출생(1923)·버마 출신 우탄트 유엔사무총장 피선(1962)·북한 제5차화폐개혁(2009)
“사랑하지만 보내야하겠어/텅 빈 적막 늦가을의 고요…자꾸만 지워지는 이름 앞에 붙들고픈 십일월!…욕심의 언저리 벗어나지 못하고/늦가을 저녁의 풍요를 꿈꿨어//해는 자꾸 서쪽으로 기울잖아/이젠 십일월의 나무처럼/내려놓을 때가 되었어”-배귀선 ‘11월’ “사람이 사람을 헤아릴 수 있는 것은 눈도 아니고, 지성도 아니거니와 오직 마음뿐이다.”- 마크 트웨인(1835년 오늘 태어난 미국소설가) 1905 고종 시종무관장 민영환 을사늑약 체결 개탄하며 자결…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9] 독립운동가 강우규 순국(1920)·日나카소네 총리 별세(2019)·방탄소년단 ‘BE’ 빌보드200 1위(2020)·北 KAL 858 폭발(1987)
국제팔레스타인인과의 유대의 날 “한 아이가 나비를 쫓는다/나비는 잡히지 않고/나비를 쫓는 그 아이의 손이/하늘의 저 투명한 깊이를 헤집고 있다./아침 햇살이 라일락 꽃잎을/홍건히 적시고 있다.” -김춘수(2004년 오늘 세상 떠남) ‘라일락 꽃잎’ 11월 29일 오늘은 국제 팔레스타인인과 유대인의 날 -1947년 오늘 유엔총회 팔레스타인을 유대국가와 독립아랍국가로 분할 결정 -이 결정으로 분쟁 본격화. 양측 충돌…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8] 한일 해저케이블 개통(1980)·국립의료원 개원(1958)·아이폰 한국 출시(2009)·마젤란 ‘태평양’ 명명(1520)
“국을 끓여야겠다 싶을 때 국을 끓인다/국으로 삶을 조금 적셔놓아야겠다 싶을 때도/국 속에 첨벙 하고 빠뜨릴 것이 있을 때도//살아야겠을 때 국을 끓인다/세상의 막내가 될 때까지 국을 끓인다//누군가에게 목을 졸리지 않은 사람은/그 국을 마실 수 없으며/누군가에게 미행당하지 않은 사람은/그 국에 밥을 말 수 없게//세상에 없는 맛으로 끓인다/뜨겁지 않은 것을 서늘히 옹호해야겠는 날에//뭐라도…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7] 정의선 ‘오토모티브’ 선정 ’자동차산업 올해의 리더‘(2023)·일본 경영왕 마츠시다 출생(1894)·영화 ‘워낭소리’ 개봉(2014)·국어학자 이희승 별세(1989)
“폭포는 곧은 절벽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규정할 수 없는 물결이/무엇을 향하여 떨어진다는 의미도 없이/계절과 주야를 가리지 않고/고매한 정신처럼 쉴사이없이 떨어진다.//금잔화도 인가도 보이지 않는 밤이 되면/폭포는 곧은 소리를 내며 떨어진다.//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이다./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번개와 같이 떨어지는 물방울은/취할 순간조차 마음에 주지 않고/나타(懶惰)와 안정을 뒤집어 놓은 듯이/높이도 폭도 없이/떨어진다.” –…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6] 국가인권위원회 출범(2001)·의병장 신돌석(본명 태호) 출생(1878)·IOC, 중국복귀 승인(1979)·다나카 총리 사임(1974)
“우리 억새풀이 되어야 써/칼날처럼 뜻 세운 이파리로 바람까지도/비겁한 하늘이라면 하늘까지도/목 베어 거꾸러뜨리고/서 있어야 써, 우리 억새풀이 되어//사랑과 미움을 가릴 줄 알아/사랑이라면 뿌리째 뽑혀 죽어도 좋은 복종으로/미움이라면 그런 사랑까지도/사정없이 썸벅썸벅 베어버리는 반란으로…바람 사나울수록/어둠이 깊을수록 또렷이 깨어나/소리지르며 눈 부릅뜨는 풀//여리디여린 풀이 아니고/뼈 있는 풀/우리 억새풀이 되어야 써” -김해화 ‘억새풀이 되어’ 1878(조선 고종15)…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5] 독립운동가 주기철 목사 출생(1897)·정주영 회장 출생(1915)·카스트로 사망(2016)·마라도나 사망(2020)
여성에 대한 폭력 국제추방의 날(International Day for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초가집이 깊은 곳에 있어 개울물도 차가운데/백옥 같은 물굽이에 가을바람이 쓸쓸히 부네/하루 종일 기다려도 그대는 아니 오고/푸른 구름만 저녁노을 띠고 높은 산에 눌러 있네(茅齋深處石溪寒 蕭瑟金風白玉灣 盡日待君君不到 碧雲銜照帶孱顔)-이황(1501년 오늘 태어남) ‘정자중에게(溪齋寄鄭子中)’ 11월 25일 오늘은 여성에 대한 폭력 국제추방의 날…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4] 日세균학자 노구치 히데요 출생(1876)·무용가 최승희 출생(1911)·베트남 성전환수술 합법화(2015)·영화 ‘미나리’ 덴버영화제 관객상·최우수연기상(2020)
“오늘 같은 밤에는 호미 하나 들고서/저 하늘의 별 밭으로 가/점점이 성근 별들을 캐어/불 꺼진 그대의 창 밝혀주고 싶어라./초저녁 나의 별을 가운데 놓고/은하수 많은 별로 안개꽃다발을 만들어 만들어//내 그대의 창에 기대어 놓으리라/창이 훤해지거든/그대,/내가 온줄 아시라” -심응문 ‘별을 캐는 밤’ 11월 24일 오늘은 손돌날(음력 10월 20일) 바닷길을 통해 강화도로 파천하는 고려 임금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3] 부산 영도 다리 준공(1934)·북한 연평도 포격(2010)·전두환 대통령 별세(2021)·레바논 독립선언(1943)
신의주학생의거기념일 “가을이 가기 전에 한 번쯤은/떠나 볼 줄도 알아야지/좀 돌아서 갈 줄도 알아야지/좀 천천히 갈 줄도 알아야지//떨어지는 잎, 다시 볼 줄도 알아야지/싸늘한 바람에 손만 흔들고 서있는/나무들도, 다시 볼 줄 알아야지//가을이 가기 전에 가을비/아침 이슬 같은 빗물로 만나/한 번쯤 썰렁한 가슴/젖어 볼 줄도 알아야지//가을이 가기 전에, 한 번쯤은…”-채희문 ‘가을레슨’ 11월 23일…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2·소설·김치의날] 프랑스 드골 출생(1890)·미 케네디 암살(1963)·김영삼 대통령 별세(2015)
“흘러간 과거가/저처럼 빛날 수만 있다면/얼마나 좋으랴//석양이 드러누운 강물/그 강물 위에선/웃음도 빛이 나고/눈물도 빛이 난다//흐르는 대로/몸을 맡긴 강물과/저물어도 아름다운 석양//그곳에선 슬픔도 기쁨도/다만 빛이 될 뿐이다”-박호영 ‘석양을 바라보며’ 11월 22일 오늘은 소설 -날씨도 추워지고 살얼음이 얼거나 눈이 내리기도 하는 등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절기 -“소설 추위는 빚내서라도 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이 무렵…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1] 메이플라워호 아메리카대륙 입항(1620)·조선 수도 한양 천도(1394)·유신헌법 국민투표(1992)·IMF에 구제금융 요청(1997)
세계텔레비전의날·세계도로교통사고희생자추모의날 “문득 쳐다본 가을산이 저물고 있다//상처입은 단풍잎 몇 몸에 매단 채/어둠 속으로 가라앉고 있다…앙상한 뼈가슴을 드러낸 채/산이 오늘 어둠속에 묻혀도/내일이면 한낮의 단풍보다 더 아름다운/별이 산 위에 뜬다”-김용락 ‘가을산’ 11월 21일 오늘은 세계 도로교통사고 희생자 추모의 날 11월 21일 오늘은 세계 텔레비전의 날 (World Television Day) 1394(조선 태조 3) 조선 도읍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20·세계어린이날] 독립문 준공(1897)·톨스토이 별세(1910)·호요방 총서기 출생(1917)·카타르월드컵 개막(2022)
세계어린이날·아프리카산업의날·트랜스젠더추모의날 “나무는 끝이 시작이다./언제나 끝에서 시작한다./실뿌리에서 잔가지 우듬지/새순에서 꽃 열매에 이르기까지/나무는 전부 끝이 시작이다.//지금 여기가 맨 끝이다./나무 땅 물 바람 햇빛도/저마다 모두 맨 끝이어서 맨 앞이다./기억 그리움 고독 절망 눈물 분노도/꿈 희망 공감 연민 연대도 사랑도/역사 시대 문명 진화 지구 우주도/지금 여기가 맨 앞이다.//지금 여기 내가 정면이다.”-이문재 ‘지금 여기가 맨…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19·세계화장실의날] 인디라 간디 인도총리 출생(1917)·삼성 이병철 회장 별세(1987)·링컨 게티즈버그 연설(1863)
“마침내 이루지 못한 꿈은 무엇인가/불붙는 가을산/저무는 나무등걸에 기대서면/내 사람아, 때로는 사슬이 되던 젊은 날의 사랑도/눈물에 스척이는 몇 장 채색의 낙엽들/더불어 살아갈 것 이제 하나 둘씩 사라진 뒤에/여름날의 배반은 새삼 가슴 아플까/저토록 많은 그리움으로 쫓기듯/비워지는 노을, 구름도 가고/이 한때의 광휘마저 서둘러 바람이 지우면/어디로 가고 있나/제 길에서 멀어진 철새 한 마리/울음소리…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18] 영화 ‘벤허’ 개봉(1959)·통계학자 갤럽 출생(1901)·금강산관광 현대금강호 첫 출발(1998)·영화 ‘벤허’ 개봉(1959)
세계 철학의 날(World Philosophy Day 11월 셋째 목요일) “나 또한 십일월의 저 바람 속으로 몸을 부리고 싶다//바람은/나무들이 끊임없이 떨구는 옛 기억들을 받아/저렇게 또 다른 길을 만들고/홀로 깊어질 만큼 깊어져/다른 이름으로 떠돌고 있는 우리들 그 헛된 아우성을/쓸어주는구나//혼자 걷는 길이 우리의 육신을 마르게 하는 동안/떨어질 한 잎살의 슬픔도 없이/바람 속으로 몸통과 가지를…
더 읽기 » -
동아시아
[역사속 아시아·11.17·순국선열의날] 이회영 선생 별세(1932)·상하이-홍콩 증시 ‘후강퉁’ 개시(2014)·수에즈운하 개통(1869)
순국선열의날·세계만성폐쇄성폐질환의날·국제학생의날 “외로운 사람들이여,/외로워서 죽고 마는 사람들이여,/그냥 외로워하시게나./가을은 그렇게 외로운 사람들의 것이니/들꽃도 가을벌레도/그리고/너도 나도/처음부터 외로웠으니/외로움이 또 다른 외로움 보며/살아왔으니//곧 눈보라와 함께 겨울이 올 것이다./찬바람도 윙윙 불어올 것이다.//외로운 사람들이여,/외로워서 끝내 죽고 마는 사람들이여,/이 계절엔 그대를 위로할 말이/아무것도 없나니.”-김영현 ‘가을에’ 11월 17일 오늘은 순국선열의 날 -실질적으로 나라를 빼앗긴 을사늑약(1905)이 맺어진 오늘을 전후해 많은…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