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슬라이드
자파로프 키르기 대통령 “실크로드 철도 착공, 유라시아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누르잔 카스말리에바 키르기스스탄 국제부장] 2024년 12월 27일 키르기스스탄 잘랄라바드 주에서 사디르 자파로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정산지에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위원장, 잠시드 호자예프 우즈베키스탄 부총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국-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철도 착공식이 개최됐다. 총 523km 길이의 철로는 중국(213km), 키르기스스탄(260km), 우즈베키스탄(50km)의 영토를 관통한다. 특히 키르기스스탄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50여개의…
더 읽기 » -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GCC 회원국 관광비자 면제 제도 도입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누르잔 카스말리에바 키르기스스탄 국제부장] 키르기스스탄 외무부는 “2025년 1월부터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을 대상으로 비자 면제 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GCC는 1981년 5월 걸프만 6개 산유국(사우디, 쿠웨이트, UAE, 카타르, 오만, 바레인)이 역내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성한 지역 협력기구다. 이에 따라 GCC…
더 읽기 » -
중앙아시아
헌법개정 따른 총선 실시 키르기스스탄 국회, 어떻게 달라졌나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누르잔 카스말리에바 키르기스스탄 <카바르 뉴스에이전시> 국제부장] 2021년 4월 11일 실시된 개헌 찬반 투표에서 키르기스스탄 유권자의 81%가 의원내각제가 아닌 대통령제를 선택했다. 헌법 개정은 키르기스스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될 것이다. 헌법 개정으로 인해 국회의원 정원은 120명에서 90명으로 줄어들었다. 이 중 54명은 정당명부에…
더 읽기 » -
중앙아시아
“한-키르기 합작기업, 인구 1억8천만 중앙아 시장 진출 교두보”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누르잔 카스말리에바 키르기스스탄 <카바르 뉴스에이전시> 국제부장] 지난 10월 15일 키르기스스탄 수도 비슈케크에서 한국-키르기스스탄 제4차 경제협력위원회의가 개최됐다. 이날 회의엔 한국 측에선 이성호 외교부 경제외교조정관, 키르기스스탄 측에선 다니야르 아만겔디예프 경제통상부 장관이 대표로 참석했다. 대표단은 교육, 의료, 농업, 환경, 정보화, 이주노동자, 관광 등 다분야에서의 협력에 대해…
더 읽기 » -
중앙아시아
헌법개정안 국민투표 통과‥‘52살 대통령 41살 총리’ 키르기스스탄 확 바꾼다
[아시아엔=누르잔 카스말리에바 키르기스스탄 카바르 뉴스에이전시 국제부장] 작년 10월 4일 열린 키르기스스탄 총선은 부정으로 얼룩졌고, 부정선거는 결국 정권교체를 야기했다. 소론바이 제엔베코프 대통령 사임 후 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을 동시에 맡은 사디르 좌파로프가 지난 1월 대선에서 압도적인 득표로 통해 키르기스스탄 제6대 대통령에 취임한 것이다. 52살의 신임 대통령은 정부조직 개편을 넘어 헌법 개정 등…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