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글·사진 알리레자 바라미 이란 ‘Asre Rowshan’ 편집인, 이란 ISNA 전 편집장] 전쟁은 삶의 가치를 다시 보게 만든다. 일상의 평범하고 때로는 귀찮기까지 했던 일들이 소중한 소망으로 변한다. 휴전 첫날, 이란 사람들은 묻는다. 우리는 과거로 돌아갈 수 있을까?수십 년 동안 이어진 국제사회와 국내의 긴장 속에서도, 이란인들은 자신들이 파괴적이고 치명적인 전쟁의 한가운데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이란 외교는 매우 활발했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밤낮 동안, 이란 국민들의 유일한 바람은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테헤란의 교통 혼잡조차 그리움이 되었다. 전쟁 13일째인 6월 19일 아침, 휴전이 공식화되자 사람들은 긴장 속에 뉴스를 지켜봤다. 여느 휴전처럼, 이번에도 충돌 당사국들이 일부 휴전 규정을 위반했다는 소식이 전해져 우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테헤란은 서서히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다. 시민들이 집으로 돌아오고 있다.
전쟁은 증오와 연대를 동시에 이끌어낸다. 이스라엘의 공격은 예상과 달리 이란 내부 단결을 강화시켰고, 이스라엘에 대한 증오도 증폭시켰다. 특히 이란 지식인 사회에서 반이스라엘 정서가 크게 고조되고 있다.
전쟁은 생명을 앗아간다. 이스라엘 공격으로 606명의 이란인이 사망했다. 이 중 104명은 휴전 직전 날 밤 공격으로 숨졌다. 희생자 중 60명 이상은 어린이였고, 230명 이상이 여성이었으며, 5명은 의사, 4명은 적십자 구호요원이었다. 태권도·레슬링·축구 등 운동선수 42명도 포함됐다. 농구선수이자 소방관이던 사람도 목숨을 잃었다. 일부 남성 가운데는 군인도, 특히 장성급도 있었다.
전쟁은 모든 것을 파괴한다. 휴전 전날 밤, 우리 집 주변에는 몇 차례 거대한 폭발이 있었다. 오늘, 휴전 첫날 우리는 집에서 1km 떨어진 삼촌 댁에 점심을 먹으러 갔다. 그 집이 있는 거리 입구의 한 아파트는 완전히 붕괴돼 있었다. 며칠 동안 여러 피해 주택을 봤지만, 이처럼 심각한 수준은 처음이었다. 몇몇 남성들이 몇 시간째 잔해 속에서 물건이나 가족의 흔적을 찾고 있었다.
내 예전 동료 두 명과, 현재 동료 한 명은 전쟁으로 가족을 잃었다. Meiz Hani에서 일하던 비타는 오빠, 올케, 조카를 잃었고, 아직 오빠의 시신 확인을 기다리고 있다. 우리 회사 사회부의 미나 기자는 여동생을 잃었다. 여동생의 남편은 수감 중인 전투부대원이다. 어제 이스라엘은 정치범 석방을 명분으로 테헤란교도소 입구를 폭격했다. 이 공격으로 젊은 병사들과 면회 온 가족, 직원들이 사망했다.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이 공격에 항의하며, 민간인이 희생됐다고 밝혔다. 또 문화부에 근무하는 네가르는 군인이었던 삼촌을 잃었다. 유전자 검사 결과가 나왔는지, 장례를 치를 수 있을지 궁금하다.
테헤란은 지난 13일 밤낮 동안, 전례 없는 시간을 보냈다. 나는 세 가지 이유로 테헤란을 떠나지 않았다.
첫째, 조국에 대한 사랑, 둘째, 언론인으로서의 책임, 그리고 셋째 <아시아엔> 독자에게 글을 전해야 한다는 약속
나는 월드컵, 축제, 엑스포부터 대형 화재, 지진, 비행기 추락, 혁명과 봉기까지 수많은 사건을 이란과 해외에서 취재해왔다. 하지만 전쟁 취재는 처음이었다. 그리고 세 가지를 깨달았다.
하나, 나는 비겁하지 않다. 둘, 나는 전문 기자다. 셋, 저널리즘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휴머니티(인간성)이다.
인도적 위기가 발생했을 때, 저널리즘은 나에게 있어 두 번째였다. 언론은 인간을 위한 도구여야 한다. 언론이 반드시 주목해야 할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인종차별이다.
다음 글은 전쟁과 인종차별에 대해 쓸 예정이다.
War and Humanity–Report on the 13th Day of the War – the First Day of the Ceasefire, from Tehran
=By Alireza Bahrami, Correspondent for AsiaN
War makes people appreciate life. All the ordinary, even annoying things of daily life suddenly become precious wishes. On the first day of the ceasefire, Iranians were asking: can we go back to how it was before?
Despite decades of verbal tensions, Iranians never imagined finding themselves in a deadly war—especially after years of active diplomacy. For 12 days and 13 nights, all they wanted was their old lives back. Even Tehran’s notorious traffic became something to long for. On the morning of the 13th day, with the ceasefire in effect, people watched the news anxiously. As with most ceasefires, reports came of minor violations, fueling concerns.
Tehran slowly came back to life. People began returning home.
War creates both hatred and solidarity. The Israeli strikes unexpectedly increased national unity in Iran—and also deepened hatred toward Israel, especially among intellectuals.
War kills. The Israeli attacks claimed 606 Iranian lives. Of those, 104 died in last night’s bombings alone, just hours before the ceasefire. Over 60 were children, more than 230 were women. Among the dead were 5 doctors, 4 Red Cross aid workers, and 42 athletes—including taekwondo, wrestling, and football players. One victim was both a basketball player and a firefighter. Some were soldiers or generals.
War destroys. Last night, several massive explosions shook our neighborhood. Today, the first day of ceasefire, we went to my uncle’s house, about a kilometer away. An apartment at the start of their street was completely demolished. In recent days I’d seen bombed homes, but none so thoroughly destroyed. Men were combing through rubble for valuables or traces of lost relatives.
Two of my former colleagues, and one current one, lost family. Bita, who once worked at Meiz Hani, lost her brother, his wife, and their son. They’re still waiting for his body to be identified so they can hold a funeral. Mina, from our social desk, lost her sister. Her sister’s husband, a fighter, is imprisoned. Yesterday, Israel struck Tehran prison, reportedly to free political detainees. That attack killed young conscripts, visiting families, and staff. President Macron of France condemned it, noting that innocent civilians were among the dead. Negar, from our arts desk, lost her uncle—a soldier—in another strike. We’re waiting to hear if his DNA results are ready so they can lay him to rest.
Tehran has just lived through 12 days and 13 nights of the unimaginable. I stayed in my city for three reasons:
- Love for my homeland
- My journalistic duty
- My commitment to writing for AsiaN readers
I have reported from World Cups, festivals, expos, fires, earthquakes, plane crashes, uprisings—here and abroad. But this was my first war. And I learned:
- I am not a coward
- I am a professional journalist
- journalism is vital—but humanity matters more
Whenever humanity was at stake, journalism became secondary. Journalism must serve humanity. One of the greatest humanitarian issues is racism. My next article will be about war and ra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