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시아

주이란 김준표 대사의 특별한 무대…”정치가 어렵게 느껴질 때, 문화와 예술이 그 문을 연다”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김준표 주 이란대사가 이란

이란 국민들은 현재 특별한 상황을 겪고 있다. 미국의 경제 제재로 인한 위기, 전쟁의 그늘, 그리고 장기화된 외교 협상은 이란 국민들의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럼에도 이란 국민들은 예술과 스포츠를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해가고 있다.

이란 국제도서전

지난 4월, 제36회 테헤란 국제도서전이 개최됐다. AP통신은 “경제 문제에도 불구하고 문화에 대한 이란 국민들의 관심은 매우 높다”며 “부스마다 다양한 책들로 가득했고, 국내외 출판사들이 작품을 전시했으며, 방문객들은 다양한 책들을 찾아다녔다”고 보도했다.

이란에서는 책값 상승과 경제 문제라는 도전이 지속돼 왔지만, 도서전은 여전히 이란이 문화와 지식에 헌신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Jafar Panahi

지난주에는 이란 영화가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정치적 입장과 자유를 지지하는 시위대를 옹호한 발언으로 인해 과거 어려움을 겪었던 이란 영화감독 자파르 파나히는 근 30년 만에 이 상을 다시 이란에 안겨주었다. 28년 전, 압바스 키아로스타미는 칸 영화제에서 이란 최초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이후 아스가르 파르하디 등 이란 감독들은 연출, 각본, 연기 부문에서 다수의 상을 받아왔다.

이란에서는 전통 음악과 대중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 콘서트도 여전히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매일 밤 수백 명이 공연장을 찾는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을 받은 콘서트가 있었다.

테헤란 주재 한국대사가 무대에 올라 이란의 대중가요를 이란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이 오케스트라는 과거 프랑스 피아니스트 리차드 클레이더만과 협연한 바 있다. 이 비공식 공연 영상은 SNS를 통해 널리 퍼지며 화제를 모았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는 인터뷰에서 한국대사의 이란 음악에 대한 뛰어난 표현력과 재능을 높이 평가했다.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몇 주 뒤, 이란에서 외교부 장관과 각국 대사들이 참석한 외교 행사가 열렸는데 수많은 인파가 모였다. 이 자리에서 한국대사는 무대에 올라 이란 곡을 다시 한 번 불렀고, 이란 외교부 장관과 다른 외교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그의 노래는 큰 박수와 환영을 받았다.

정치가 어렵게 느껴질 때, 언제나 문화와 예술이 그 문을 연다.

다음은 영어 원문입니다.

주이란 김준표 대사



Korean Ambassador’s Concert in Tehran!

By: Alireza Bahrami

The Iranian people are going through extraordinary circumstances. The economic crises caused by U.S. sanctions, the shadow of war, and prolonged diplomatic negotiations have made life difficult in Iran. However, the people are alleviating the hardship of these times through art and sports.

A few weeks ago, the 36th Tehran International Book Fair was held. In its report on the fair, the Associated Press highlighted the Iranian people’s strong interest in culture despite economic difficulties, writing that booths were filled with diverse book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that visitors were eagerly browsing through the various titles.

Although the rising cost of books and other economic challenges persist, the book fair remains a symbol of Iran’s commitment to culture and knowledge.

Last week, Iranian cinema won the Palme d’Or at the Cannes Film Festival. Iranian filmmaker Mohammad Rasoulof, who has faced censorship and imprisonment for his political positions, received the prestigious award. This marks only the second time an Iranian has won the Palme d’Or — 28 years ago, Abbas Kiarostami became the first with his film Taste of Cherry.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ranian filmmakers such as Asghar Farhadi have won awards at Cannes for directing and screenwriting.

Music concerts also continue to thrive in Iran, including performances of traditional Iranian music and contemporary pop. These concerts attract hundreds of people each night. Among these, one particular performance stood out.

The South Korean ambassador to Tehran performed a classic Iranian pop song in collaboration with an Iranian orchestra that had previously worked with Richard Clayderman. A video of this private performance quickly went viral on social media.

In an interview, the orchestra’s conductor praised the ambassador’s remarkable talent in performing Iranian music.

But the story did not end there. A few weeks later, a diplomatic event was held in Tehran attended by Iran’s foreign minister and ambassadors from several countries. In front of a large audience, the South Korean ambassador once again took to the stage and sang another Iranian piece. His gesture was warmly received by those present.

Where politics may falter, culture and art often succeed in opening doors.

알리레자 바라미

이란 ISNA통신 편집장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