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차 세계대전의 포화가 휩쓸고 지나간 2040년의 영국, 거리 곳곳에 카메라와 녹음장치가 설치되어 모든 국민이 정부의 감시 아래 숨죽이며 살아간다. 국민은 침묵과 복종을 강요당하고, 자유로운 정부 비판도 금지된다.
그곳의 통치자는 왕도 아니고 총리도 아니다. 파시스트 정당의 대표이자 의회 의장인 셔틀러 총통, 히틀러를 연상시키는 이름의 독재자다. 영화 <브이 포 벤데타>(V for Vendetta)가 그린 디스토피아, 완벽한 통제의 미래사회다. 브이(V)는 복수(vendetta), 승리(victory), 비전(vision)의 뜻을 품고 있다.
주인공 브이는 생체실험 캠프를 폭파하고 탈출한 뒤, 화상(火傷)으로 일그러진 얼굴 위에 불복종의 상징인 가이 포크스(Guy Fawkes) 가면을 쓰고 저항과 복수에 나선다. 1605년 11월 가톨릭 신도인 가이 포크스는 의사당을 폭파해 국왕을 죽이려다 실패하고 처형당했다. 그러나 브이는 저항에 성공한다.
그는 의사당을 폭파하고, 셔틀러가 최측근인 비밀경찰 대장의 손에 죽은 뒤 자신도 경찰의 총탄에 쓰러진다. 의회의 상징인 빅 벤이 불길에 휩싸이고,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이 포성(砲聲)과 종소리를 포르테시모(ff)로 울려댄다.
영국은 의원내각제 국가다. 나라를 통치하는 것은 국왕이 아니라 총리이고, 정치를 주무르는 것은 의회 의원들이다. 그렇지만 의원들이 민간인을 의회에 불러다 호통치거나, 자기 가족과 친인척을 보좌관으로 채용하는 일은 없다.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이 들어앉은 넓고 호화로운 의원회관도 없고, 9명이나 되는 유급보좌관도, 수행비서도, 운전기사도 없다. 의회 간부라도 보좌관 1~2명이 고작이다. 해마다 의원 세비를 꼬박꼬박 올리지도 않는다. 의원의 보수가 직장인들 평균 연봉의 절반 정도에 그치는데도 말이다. 의회가 행정권을 장악해도 나랏일이 불안하지 않은 이유다.
영국의 하원의원은 대표적인 기피 대상 직업이다. 의원의 직무를 하찮게 여겨서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을 높이 평가하기 때문이다. 권력과 명예를 지닌 사람이 경제적 혜택까지 누리는 것을 옳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영국의 탄핵제도는 19세기 초부터 사문화되었다. 의회는 내각불신임으로, 총리는 의회 해산으로 서로를 견제하고, 그에 대한 심판은 국민의 투표에 맡겨진다. 정치권이 풀어야 할 국가 현안을 고소‧고발‧탄핵으로 법정에 떠넘기지도 않고, 군대의 힘으로 해결하려 들지도 않는다. 2년간 29회의 줄줄이 탄핵소추도, 그것에 맞서는 계엄선포도, 모두 상상조차 못 할 일이다.
우리나라의 각급 선거관리위원회는 법관이 비상근 위원장직을 맡고 있지만, 영국의 선거관리는 독립된 상근 선거관리관들이 맡는다. 선관위는 선거관리보고서를 작성해야 할 법적 의무를 진다. 선관위 업무가 외부 감시와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뜻이다.
선거관리관이 선관위를 가족회사처럼 생각한다면, 자녀 특혜채용을 전통으로 여긴다면, 영국 선관위가 지금껏 멀쩡히 살아있을까? 국민이 주권을 행사한 투표지가 새것처럼 빳빳한 상태로 여러 장이 한꺼번에 붙은 채 발견된다면, 휑하게 구멍 뚫린 소쿠리로 투표지가 이리저리 옮겨진다면, 선거관리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선관위의 독립성은 업무집행에 있어 사전에 외부의 지시나 간섭을 받지 않는다는 뜻이지, 사후의 감사나 비판까지 면제된다는 뜻이 아니다. 범죄혐의가 있으면 수사를 받아야 하고, 직무집행의 부당성이 의심되면 국회의 국정감사나 독립기관의 감사를 받을 의무가 있다.
지금 우리나라 선관위는 숱한 운영상의 파행으로 공정사회를 바라는 국민의 비판에 직면해있다. 특히 일자리를 찾아 길거리를 헤매는 젊은이들에게 깊은 좌절과 분노를 안겨주고 있다. 그동안 국회의 국정감사가 바르게 시행되었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브이는 왜 왕궁이 아니고 하필 의사당을 폭파했을까? 의회가 선동정치와 파시즘의 소굴이 되었기 때문이다. 영화의 끝부분, 가이 포크스 가면을 쓴 시위군중이 의사당 앞에 모여들어 모두 가면을 벗어던진다. 국민 누구라도 저항의 브이가 될 수 있다는 암시다.
선악을 거꾸로 뒤집으려는 정치공작, 분열과 증오의 불씨를 흩뿌리는 광기 서린 대중선동에 휩쓸리지 않는 것은 주권자인 국민의 의무다.
들풀처럼 땅속 깊이 뿌리 내린 민초(民草)들의 자유혼이 나라의 미래를 좌우한다. 민주국가에서 자유를 누리면서도 내심으로는 전체주의를 동경하는 지식인을 레닌은 ‘쓸모 있는 바보들'(Useful Idiots)이라고 불렀다.
파시스트에게 쓸모 있는 바보들은 민주주의에 치명적인 독(毒)이다. 쓸모 있는 바보가 될 것인가, 분별력 있는 주권자가 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