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잠깐묵상] 목표를 목표답게 만드는 것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가나안이라는 목표만 주지 않으셨습니다. 기준을 함께 주셨습니다. 이집트에서 나온 이스라엘 민족이 가장 처음으로 했던 일은 시내산 앞에서 율법을 받는 일이었습니다.(본문에서)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가나안 진입 경로

민수기 10장

“이스라엘 자손이 시내 광야에서 출발하여 자기 길을 가더니 바란 광야에 구름이 머무니라“(민 10:12)

이집트를 탈출한 이스라엘 민족에게는 중요한 목표가 있었습니다.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장 무서운 집단이 목표만 있는 집단입니다. 개인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준과 원칙이 없는 목표만큼 무서운 것도 없습니다.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되기 때문입니다. 목표를 목표답게 만드는 것은 기준이고 원칙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가나안이라는 목표만 주지 않으셨습니다. 기준을 함께 주셨습니다. 이집트에서 나온 이스라엘 민족이 가장 처음으로 했던 일은 시내산 앞에서 율법을 받는 일이었습니다.

이 사람들이 시내산 앞에 머문 시간은 얼마였을까요? 아홉 달입니다. 출애굽기 19장부터 레위기를 지나 민수기 10장에 이르기까지 실제로 9개월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집트 탈출 직후부터 따지면, 그들은 거의 1년 동안 한자리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이미 가나안 땅에 들어가고도 남을 시간에 그들은 한 발자국도 못 움직이고 있었던 것입니다.

1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하며 그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요? 이 기간에 했던 일은 성막을 만드는 일, 십계명, 제사법, 민법, 형법 등을 숙지하는 일, 광야 이동 간에 기억해야 할 주의 사항을 듣는 일이었습니다. 즉, 기준과 원칙을 정하는 작업을 먼저 한 것입니다.

민수기 10장부터 신명기 1장까지의 여정은 몇 년이 걸렸을까요? 무려 40년입니다. 강산이 네 번 변할 시간입니다. 이 기간 동안 출애굽 1세대는 광야에서 다 늙어 죽었습니다. 광야 노상에서 태어난 2세대만 남았습니다. 이쯤 되면 ‘과연 하나님이 이들을 가나안 땅에 들여보내려고 하시는 것은 맞는가?’ 하는 질문이 들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하나님의 관심은 다른 곳에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지 않을까요?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이 하나님이 주신 기준과 원칙을 얼마나 지키며 사는가 하는 것입니다. 가나안에 들어가도 기준과 원칙이 무너지면 그곳은 광야나 다름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사기서는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도 여전히 광야를 걷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반대로, 광야를 걸어도 누군가는 이미 가나안을 맛보고 있지 않았을까요? 가나안 땅을 밟아 보진 못했어도 하나님의 소유된 백성이 된 것 만으로 감사하는 이들이 과연 없었을까요?

잠깐묵상 오디오듣기

https://youtu.be/C5IX6bDJHnc?si=1y55v5exCHbHof_q

석문섭

베이직교회 목사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