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베이직 묵상] 정직한 양심과 공의가 힘을 얻게 하소서

의도보다 진실을 전할 줄 아는 언론인이 많아지게 하소서. 속이는 저울이 균형을 잃고, 정직한 양심과 공의가 힘을 얻게 하소서(본문에서) 사진은 디케의 저울


함께 기도할 제목

1. 말씀 안에서
– 신앙이 자기 만족을 위한 도구가 되지 않게 하소서
–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를 놓치지 않고, 믿음으로 기도하고 감사로 살아가게 하소서

2. 교회 공동체
– 왼손과 오른손 모두가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지체라는 사실을 잊지 않게 하소서
– 진리를 왜곡하며 거짓을 전파하여 수많은 사람들을 미혹하게 하는 이단의 발걸음을 멈추어 주소서

3. 나라와 열방
– 의도보다 진실을 전할 줄 아는 언론인이 많아지게 하소서
-속이는 저울이 균형을 잃고, 정직한 양심과 공의가 힘을 얻게 하소서

-BASIC CHURCH 권명철 목사의 열두 줄 묵상-

요한복음 6:1-15, 작은 것을 보는 믿음

9 여기 한 아이가 있어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나이다 그러나 그것이 이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되겠사옵나이까

1. 예수님이 가시는 곳마다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왔습니다. 모두가 외면하는 부정한 병자들을 만지시고 고치셨기 때문입니다.

2. 무리와 대중이 몰려왔지만, 예수님은 늘 개인에게 집중하셨습니다. 여론과 인기에 도취되지 않으셨고, 항상 한 영혼을 향한 마음을 잃지 않으셨습니다.

3. 문제는 제자들이었습니다. 처음에는 갑자기 몰려드는 사람들 때문에 흥분했을 것입니다. 오늘은 몇 명이나 왔는지 자랑스럽게 이야기했을 것입니다.

4. 하지만 점차 무리와 대중에 익숙해지면서 한 사람을 향한 마음이 무뎌졌습니다. 여론과 인기에 취해 천하보다 귀한 한 영혼을 그저 숫자로 보게 된 것입니다.

5. 어쩌면 몰려드는 사람들이 귀찮기도 했을 것입니다. 제자들은 큰 무리 때문에 겪는 불편과 혼란을 해결하느라 정신이 없었을 것입니다.

6. 그때 예수님이 빌립을 불러 말씀하십니다. “우리가 어디서 떡을 사서 이 사람들을 먹이겠느냐” 이 말씀은 대중을 향해 있는 제자들의 시선을 돌려, 한 사람에게로 향하게 하신 중요한 가르침이었습니다.

7. 예수님은 무리 전체를 상대하느라 잊혀진, 한 사람의 필요를 보게 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단순히 사람들을 먹이려는 계획이 아니라, 그들을 향한 긍휼의 마음을 회복시키고자 하셨습니다.

8. 그러나 빌립의 반응은 여전히 현실적이고 계산적이었습니다. 그는 여전히 한 사람보다는 행정적인 접근에 익숙했습니다.

9. 어쩌면 대중에 익숙해져 버린 오늘날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모습과도 닮았습니다. 사랑과 긍휼은 식어버리고, 숫자와 계산이 부흥의 척도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10. 이때 다른 제자인 안드레가 한 아이의 도시락을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마리 뿐인 보잘것 없는 양이었습니다.

11. 안드레 자신도 이까짓 것 가지고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작은 것을 기꺼이 받으셔서 크고 위대한 일을 행하셨습니다.

12. 예수님께 붙들리면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우리의 인생도 위대한 믿음으로 변화될 줄로 믿습니다. 예수님은 사소한 것으로 위대한 일을 행하시는 분입니다. 오늘 우리의 인생이 예수님의 손에 붙들리기를 소망합니다.

베이직교회 아침예배 동영상

조정민

베이직교회 목사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