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칼럼

정월 대보름···코로나 극복 ‘쥐불놀이’

쥐불놀이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2월 26일은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 음력陰曆 1월 15일, 정월 대보름이다. 그리고 정월 대보름은 한 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큰 명절이다.

우리나라 세시풍속(歲時風俗)에서 ‘보름달’이 가지는 뜻이 아주 강하다. 추석(秋夕)도 음력 8월15일 ‘보름날’이다. 농경(農耕)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면에서 대보름은 달-여신-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 또는 풍요원리(豊饒原理)를 기본으로 하였다. 세시풍속에서 동제(洞祭)와 줄다리기가 전형적이다.

첫 보름달이 뜨는 시간에 여신에게 대지의 풍요를 비는 것이 우리 동제의 주류였다. 동제신(洞祭神)도 여신(女神)이 남신(男神)의 2배를 넘는다. ‘줄다리기’도 첫 보름달이 뜨는 밤에 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줄다리기는 암줄(서부, 여자편)과 수줄(동부, 남자편)의 고리를 거는 것으로 암줄편인 여성편이 이겨야 대지에 풍년이 든다는 관념이 있다.

대보름날을 설날처럼 여기는 관습도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이날 온 집안에 등잔불을 켜놓고 밤을 새운다. 마치 섣달그믐날 밤 수세(守歲)하는 예와 같다”고 기록되어 있다. 경기도에는 열나흗날 밤 제야(除夜)와 같이 밤을 새우는 풍속이 있고,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고 해서 ‘잠 안자기 내기’를 하는 곳도 있다. 충청도에도 열나흗날 밤 ‘보름새기’를 하는 곳이 여러 곳 있다.

대보름날 절식(節食)으로는 약밥, 오곡밥, 묵은 나물, 복쌈, 부럼, 귀밝이술 등이 있으며, 제의와 놀이에는 지신밟기, 별신굿, 안택고사, 용궁맞이, 기세배, 쥐불놀이, 사자놀이, 관원놀음, 들놀음, 오광대탈놀음 등이 있다.

또한 이날에는 고싸움 등 각종 편싸움이 행하여지고, 액막이와 구충(驅蟲)행사도 행하여진다. ‘쥐불놀이’는 농촌에서 횃불을 들고 다니며 들판에 불을 놓아 쥐와 해충을 쫓았던 전통 풍습이지만, 올해는 도시에서 코로나 극복을 기원하는 뜻으로 쥐불놀이를 하는 곳도 있다.

박명윤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서울대 보건학박사회 고문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