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미중 무역전쟁으로 무력화된 G20 재건 성패는 일본에 달려”

아르헨티나 G20정상회의 참석자들 기념촬영

日 ‘닛케이신문’ 사설서 “내년 의장국 일본 역할 매우 중요”?

[아시아엔=정연옥 객원기자] 일본·미국·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20개국(G20) 정상회담이 폐막과 관련해 <닛케이신문>은 사설을 5일자 통해 “보호무역의 억제 및 온난화대책 추진을 둘러싼 주요국들의 결속을 확인하지 못한 채 국제 협조체제의 이견만 노정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썼다.

이 신문은 “G20의 틀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세계경제 발전과 금융위기 봉쇄에 지장을 초래할 수 도 있다”며 “2019년 의장국인 일본이 G20 재건에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아르헨티나 G20 정상회담은 체면을 수습하는데 급급했다”며 “정상회담 성명서조차 채택하지 못했던 APEC 정상회담의 전철은 피했지만, 미국의 반대로 ‘보호주의와의 투쟁’ 메시지는 전달하지 못한 채 끝났다”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온난화 대책에 관한 ‘파리협약‘은 미국의 탈퇴를 기정사실화하는 문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없는 등 G20이 통상과 환경 등 글로벌 이슈에 대처하는 힘이 매우 열악하다는 것을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외교와 안보도 예외는 아니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함선의 나포와 사우디 기자 살해과 관련해 강력한 진상규명을 요구하지 못했다”며 “G20정상회의가 아무리 경제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는 자리라고 해도 이 점에 있어서는 매우 아쉬운 대목이 많다”고 했다.

G20 정상들이 한자리를 갖게 된 것은, 2008년 9월 리먼쇼크 사태가 계기가 됐다. 이 신문은 “현재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세계경제와 금융시장은 갈수록 불안감이 더해지고 있다”며 “기후변화 관련 파리협약과 세계무역기구(WTO)의 재건도 급선무”라고 밝혔다.

이 신문은 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0년 재선을 목표로 미국중심의 정책을 추진할 공산이 크며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역시 자신의 정치·경제체제를 수정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이들 두 사람에 대항해야 할 앙겔라 메르켈 독일총리와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최근 리더십 위기를 맞고 있다”고 덧붙였다.

<닛케이>는 “내년 G20 의장을 계승할 아베 신조 총리의 책임은 매우 무겁다”며 “일본이 자유무역과 온난화 방지 등의 문제를 선두에 서서 지휘하며, G20의 존재 의미를 다시 한번 보여주기 바란다”고 썼다.

정연옥

객원기자

필자의 다른 기사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