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러기 리더십’과 윤석열, 그리고 국민의힘

기러기떼

대선은 대장정(大長征)이다. 멀고도 험한 길을 혼자 가는 것은 무리다. 그야말로 이 먼길을 가려면 함께 가야 한다. 함께 가는 것을 국민의힘과 윤석열 대통령 후보는 미물인 ‘기러기의 세 가지 덕목’에서 찾아보면 좋겠다. 톰 워삼(Tom Worsham)이 쓴 <기러기>의 일부다.

‘기러기’는 다른 짐승들처럼, 한 마리의 보스가 지배하고, 그것에 의존하는 사회가 아니다. 먹이와 따뜻한 땅을 찾아 4만 킬로미터를 날아가는 기러기의 슬픈 이야기가 사람들의 감동을 불러온다. 기러기는 리더를 중심으로 ‘V자’ 대형을 유지하며, 삶의 터전을 찾아 머나먼 여행을 시작한다.

가장 앞에서 날아가는 ‘리더의 날개 짓’은 기류의 양력(揚力)을 만들어 주기에, 엄청난 에너지가 소모된다. 대장 기러기는 뒤에 따라오는 동료 기러기들이 혼자 날 때보다, 70% 정도의 힘만 쓰면 날 수 있도록 맨 앞에서, 온 몸으로 바람과 마주하며 용을 써야 한다.

그리고 이들은 먼 길을 날아가는 동안, 끊임없이 울음소리를 낸다. 그 울음소리는 실제 우는 소리가 아니라 앞에서 거센 바람을 가르며 힘겹게 날아가는 리더에게 보내는 ‘응원의 소리’다. 기러기는 부산에서 서울 간을 왕복 40번에 해당하는 머나먼 길을 옆에서 함께 날개 짓을 하는 동료와 서로 의지하며 날아간다.

만약 어느 기러기가 총에 맞거나 아프거나 지쳐서 대열에서 이탈하게 되면 다른 동료 기러기 두 마리도 함께 대열에서 이탈해 지친 동료가 원기를 회복해 다시 날 수 있을 때까지, 또는 죽음으로 생을 마감 할 때까지 동료의 마지막을 함께 지키다 무리로 다시 돌아온다.

미물(微物)인 새가 어찌 그럴 수 있을까? 만약 제일 앞에서 나는 기러기가 지치고 힘들어지면, 그 뒤의 기러기가 제일 앞으로 나와 리더와 역할을 바꾼다. 이렇게 기러기 무리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 리더의 역할을 하며 길을 찾아 날아간다.

“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 하지만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속담의 의미를 여기서 깨치는 것이다. ‘기러기의 세 가지 덕목’을 알아보자.

첫째, 기러기는 ‘사랑의 약속’을 영원히 지킨다.
보통 수명이 15~20년인데 짝을 잃으면 결코 다른 짝을 찾지 않고 홀로 지낸다. 동지도 마찬가지다. 한 사람도 버리면 안 된다.

둘째, 질서를 지키는 동물이다.
상하의 질서를 지키고, 날아 갈 때도 ‘행렬(行列)’을 맞추며 앞서가는 놈이 울면 뒤따라가는 기러기도 화답(和答)하여 예(禮)를 지킨다.

셋째, 흔적을 남긴다.
기러기는 왔다는 흔적을 분명히 남기는 속성이 있다. 누구라도 한번 온 동지는 나름대로 흔적을 남긴다.

인간이 추구하는 삶은 어떤 삶이어야 한다고 ‘규정(規定) 짓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리는 적어도 누군가에게 의미(意味)가 되는 삶을 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아픈 사람에게는 ‘치유의 존재’가, 지혜가 부족한 사람에게는 지혜를, 인정이 메마른 곳에는 사랑을 나눌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