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4/9] 방콕 유흥업소발 코로나 집단감염, 태국 전역으로 확산

1. 중국 우한 봉쇄 해제 1년, 코로나 극복 대규모 선전
– 중국이 우한(武漢) 봉쇄 해제 1주년을 맞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의 성과를 대규모로 선전. 중국 외교부는 8일 우한이 있는 후베이(湖北)성 인민정부와 함께 오는 12일 오후 외교부에서 ‘영웅의 후베이: 욕화중생'(浴火重生·불 속의 고통을 견디고 새롭게 태어난다)을 주제로 후베이 홍보 행사를 한다고 밝혔음.
–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잉융(應勇) 후베이성 당서기, 왕샤오둥(王曉東) 후베이 성장, 왕중린(王忠林) 우한시 당서기 등이 우한과 후베이를 홍보. 중국에 있는 각국 외교관과 우한 방역에 공헌한 외국 인사들도 초청받았음.
–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후베이와 우한 인민들은 중국이 감염병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큰 희생을 했고, 전 세계 방역을 지원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며 “중국의 힘과 정신을 보여줬다”고 말했음. 자오 대변인은 이어 “우한은 1년 만에 경제가 살아나 활력을 찾았다”며 “우한의 봉쇄 해제와 경제 회복은 세계에 방역 자신감을 불어 넣었다”고 평가.
– 코로나19가 최초로 발생한 우한은 정확히 1년 전인 2020년 4월 8일 도시 봉쇄에서 풀려났음. 우한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해 1월 23일 이후 76일간의 봉쇄 상태에 있었음. 중국 언론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던 우한의 회복 상황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면서 중국의 방역 성과를 부각하고 있음.

2. 일본-인도 이달 중 ‘2+2 회의’, 중국 견제 논의
– 일본이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영유권을 놓고 대립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외교전을 활발히 펼치고 있음. 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4월 하순 도쿄에서 ‘쿼드'(Quad) 참가국인 인도와 외교·국방(방위) 담당 각료가 함께 참여하는 ‘투 플러스 투'(2+2) 회의를 열 예정.
– 쿼드는 중국 견제에 중점을 두는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위상이 한층 높아진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4국 간 협의체. 쿼드 멤버인 일본과 인도 간의 외교·국방 각료 합동회의는 인도 중시 외교정책을 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집권기인 2019년 11월 이후 이번이 2번째. 일본과 인도는 오는 24일이나 25일 이번 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놓고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음.
– 요미우리신문은 일본과 인도가 이번 회의에서 해양 패권 움직임을 강화하는 중국을 겨냥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실현을 위한 협력 강화에 합의할 것으로 전망. 인도는 미국과 일본 주도의 쿼드에 참여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비동맹 외교를 중시하고 있음. 이 때문에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추진하는 ‘포위망’ 형태의 외교·안보 전략에 동참하는 것에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
– 그러나 일본과 인도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협력할 여지가 적지 않다는 것이 일본 언론의 분석. 일본이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놓고 중국과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인도도 중국과 국경 분쟁을 겪고 있기 때문. 실제로 양국은 지난해 자위대와 인도군이 유사시에 식량과 연료 등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상호군수지원협정(ACSA)을 체결하는 등 중국을 염두에 둔 안보 관계를 강화하고 있음.

3. 홍콩 민주화 인사 네이선 로, 영국 망명 승인
–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촉발한 인사 중 하나인 네이선 로(羅冠聰)의 정치적 망명을 영국 정부가 허용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 지난 2014년 조슈아 웡 등과 함께 대규모 홍콩 도심 시위를 주도했던 로는 중국 정부가 서방 국가들의 반대에도 홍콩보안법 통과를 위해 무자비하게 반대 시위를 탄압하자 지난해 7월 영국으로 피신. 그는 지난해 말 영국 정부에 정치적 망명을 신청.
– 로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에 따라 수배 대상이 됐고 정치적 억압을 받을 상황에 처했다”라며 “이대로 홍콩에 돌아가면 신변에 위협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 로의 망명으로 영국과 중국 관계는 더욱 경색될 것으로 예상. 중국은 로를 가리켜 ‘범죄 용의자’라며 망명을 허용한 영국 정부를 강하게 비판.
–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그는 홍콩 경찰에 수배된 범죄 용의자”라며 “우리는 어떠한 국가나 개인이라도 범죄자를 비호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음. 이어 “지명수배자를 보호하는 것은 홍콩 사법에 간섭하는 것이고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규칙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영국은 즉각 잘못을 바로잡고 홍콩 사무와 중국 내정에 대한 간섭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
– 영국은 8일 홍콩 이주민의 취업과 주거, 교육 등을 지원하기 위해 5천900만 달러(660억원)를 투입키로 했음. 앞서 영국은 중국이 홍콩보안법 통과를 강행하자 홍콩의 자치권을 훼손해 1997년 홍콩 반환 당시 ‘일국양제’ 합의를 위반했다며 홍콩 거주민 500만명이 영국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비자 관련 규정을 개정.

태국 방콕의 코로나 진료소 <사진=신화사/연합뉴스>

4. 방콕 유흥업소발 코로나 집단감염, 태국 전역으로 확산
– 태국 방콕 중심부 유흥업소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 여파가 태국 전역으로 확산. 내주 최대 송끄란 연휴 기간 여행을 취소하는 움직임도 감지되는 가운데, 정부가 아닌 항공업계에서 오히려 국내여행 제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음.
– 9일 일간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정부 코로나19 상황관리센터(CCSA)는 전날 방콕 ‘통러 유흥업소발’ 코로나19 확진자가 지난달 22일부터 7일까지 방콕을 포함해 태국 전역 20개 주(州)에서 확인됐다고 밝혔음. 관련 확진자 수도 504명으로 늘어났음. 방콕이 356명으로 가장 많았고, 촌부리와 사뭇쁘라깐주가 각각 31명과 28명으로 뒤를 이었음. ‘통러 유흥업소발’ 집단감염 확산에는 전파력이 1.7배 더 강한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가 있는 것으로 확인.
– 따위신 위사누요틴 CCSA 대변인은 이날 쁘라윳 짠오차 총리가 주재하는 CCSA 회의를 통해 전체 77개 중 41개 주에서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있는 유흥업소들을 최소 2주간 문을 닫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여기에는 술집,바,가라오케 그리고 전통 태국 마사지를 제외한 마사지숍 등이 포함.
– 따위신 대변인은 내주부터 시작하는 송끄란 연휴 기간 다른 지역으로의 여행은 금지되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피할 수 있다면 이 기간 여행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음. 정부의 여행금지 방침은 나오지 않았지만,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송끄란 연휴 기간 다른 지역으로 여행을 계획했던 이들 가운데서도 이를 취소하는 이들도 나오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음.

5. 미얀마 소수민족 ‘연방군 창설’ 목소리 확산
– 미얀마군이 무장 투쟁을 벌이고 있는 소수민족들에 대해 공세를 늦추지 않는 가운데 군부에 맞서 연방군 창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계속 터져나오고 있음. 9일 미얀마 나우에 따르면 미얀마군은 지난 6일 몬주의 산악지대에 위치한 마르나웅 마을의 카렌민족연합(KNU) 기지를 공격.
– 미얀마군은 마을에 진입하자마자 사격을 가했고, 주민들을 총알받이로 내세워 반격을 무마. KNU 무장세력은 결국 기지를 버리고 다른 곳으로 도주했고, 주민들도 인근 지역으로 피신. 이 과정에서 주민 1명이 숨지고 여러명이 다쳐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음. 미얀마군은 전날 군이 지정한 인근 마을의 관리인이 정체불명의 괴한에 의해 피살되자 이를 KNU 측의 소행으로 판단해 보복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알려졌음.
– 앞서 미얀마군은 카렌주와 바고 지역의 KNU 기지에 여러차례 공습을 단행, 10여명의 주민들이 숨지고 2만여명이 피신했다고 현지 단체인 카렌평화연대는 전했음. KNU는 공식적으로 군부의 쿠데타를 비난하면서 이에 맞서는 관할구역 내 주민들을 보호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 이런 가운데 소수민족 무장단체들 사이에서 군부에 맞설 연방군 창설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음. 샨주에서 가장 큰 세력인 샨족 민주주의민족동맹(SNLD) 사이 레이크 대변인은 모든 소수민족들과 무장단체, 임시정부가 힘을 합쳐 연방군을 창설해야 한다고 촉구. 그는 “군부 쿠데타로 인해 연방제에 대한 요구가 어느 때보다도 높다”면서 임시정부격인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의 적극적인 동참을 요구.
– 그러면서 CRPH가 임시정부 구성을 선언하기 전에 새로운 연방 헌법을 마련했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음. 지난달말 CRPH는 군부가 주도한 2008년 헌법 폐지를 선언하고 임시 정부를 구성한다고 밝힌 바 있음. 빠오 민족해방군의 쿤 오까 대령도 소수민족 무장단체들이 정치·군사적으로 강한 연대를 이뤄서 CRPH와 대화해야 한다고 밝혔음.

6. 네타냐후, 이란 핵합의 복원추진 강력 비판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미국 등의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 계획) 복원 추진을 강도 높게 비판. 8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언론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는 전날 2차 대전 중 나치에 학살된 유대인들을 추모하는 ‘홀로코스트 추모일’ 연설에서 “극단주의 정권과의 이런 협상은 가치가 없다는 것을 역사가 증명했다”고 운을 뗐음.
– 그는 이어 “이란과 합의는 핵무기의 길을 여는 것이며, 이 무기는 우리를 파괴할 것”이라며 “우리에게 핵합의 의무를 지울 수 없다. 우리를 파멸하려는 사람을 찾아내 제지하는 것이 우리의 유일한 임무”라고 목소리를 높였음. 핵무기 수백 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중동내 유일의 ‘비공식적 핵보유국’인 이스라엘은 이란을 최대의 적으로 간주하며, 이란이 핵무기 개발을 추진한다고 주장해왔음.
– 또 이스라엘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탈퇴한 이란과의 핵 합의를 복원하려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움직임에 날 선 반응을 보여왔음. 이란 핵시설을 타격하기 위한 군사작전 계획까지 공공연하게 밝혀온 이스라엘은 지난 6일 홍해에서 이란 혁명수비대의 해상 기지로 알려진 화물선 ‘MV 사비즈’호를 공격하고, 관련 사실을 미국에 통보했다는 보도도 나왔음.
– 보도 내용이 맞다면 이스라엘은 이란이 독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과 핵 합의 복원 협상을 시작한 당일 미국과 이란에 분명하고 강경한 메시지를 전달한 셈.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이란은 핵 합의 복원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양측 모두 상대방이 먼저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며 기 싸움을 벌여왔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