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라운드업 4/28] ‘스캔들 의혹’ 알리바바 장판CEO 파트너 자격 박탈
[아시아엔=편집국] 1. 시진핑, 코로나19 위기극복에 “공산당·사회주의가 큰 역할”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이겨내는 데 공산당과 사회주의가 큰 역할을 했다고 말함. 28일 인민일보(人民日報)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전날 베이징(北京)에서 중앙전면심화개혁위원회 제13차 회의를 주재하면서 이같이 밝히며 중국의 제도적 우위를 강조.
– 시진핑 주석은 이날 회의에서 “중국에서 전염병 통제 및 조업 재개가 강력히 이뤄지는 근본적인 원인은 당의 영도 및 사회주의 제도의 우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말함. 시 주석은 “상황이 심각하고 복잡할수록 개혁은 심화해야 한다”면서 “각 분야의 제도를 보완하고 관리 체계를 완비해야 하며 제도의 강점을 살려 각종 리스크와 도전의 충격에 잘 대처해야 한다”고 지적.
– 아울러 시진핑 주석은 네팔 및 이란 정상과 연쇄 통화를 통해 중국이 코로나19 사태라는 어려운 시기를 넘겼다면서 이들 국가에 의료 지원 등을 약속. 시 주석은 비디아 데리 반다리 네팔 대통령과 통화에서 “갑작스러운 코로나19 사태에 맞서 중국 인민은 중국 상황에 맞는 효과적인 조치와 피나는 노력으로 가장 어려운 시기를 넘겼다”고 밝힘.
– 시진핑 주석은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통화에서는 “전 세계적인 돌발적 공공 위생 사태에 맞서 국제 사회가 협력해야만 전염병을 이겨낼 수 있다”면서 이란에 대한 의료 지원과 더불어 제재 완화도 촉구.
2. ‘스캔들 의혹’ 알리바바 장판CEO 파트너 자격 박탈
–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차기 회장이 될 가능성이 있는 젊은 인재로 주목을 받던 장판(蔣凡) 톈마오(天猫) 최고경영자(CEO)가 사생활 문제로 회사로부터 중징계 받으며 알리바바와 티몰이라는 양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책임지는 톈마오(天猫) 법인 최고경영자 자리는 유지했지만 알리바바그룹의 핵심 기구인 파트너위원회 구성원 자격을 박탈.
– 27일 차이신(財新)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알리바바그룹은 이날 사내망에 장 최고경영자 조사 결과를 발표. 알리바바그룹은 장 최고경영자가 부적절한 관계를 의심받는 인터넷 스타 장다이(張大奕)와 그의 소속사 루한(如涵)에 부당하게 이익을 제공한 사실은 없었다고 밝힘.
– 모델 출신 인터넷 스타인 장다이는 알리바바에 입점한 쇼핑몰 방송을 통해 거액의 판매 실적을 올리는 인기 쇼핑 호스트로 급성장. 공교롭게도 장다이의 소속사인 루한에는 알리바바 측이 7.4% 지분을 투자한 상태여서 중국에서는 알리바바가 유독 장다이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밀어준 것이 아니냐는 식의 의문을 품는 이들도 적지 않았음.
– 알리바바는 그러나 개인 문제를 부적절하게 처리해 회사의 명예에 큰 해를 끼쳤다는 이유로 그의 파트너위원회 위원 신분을 박탈하고 징계 사실을 인사 기록에 남기기로 했다. 알리바바는 또 장 최고경영자의 그룹 내 직급을 기존의 고급부총재(M7)에서 부총재(M6)로 강등하고, 작년 한 해의 상여금을 전액 반납받기로 했다고 덧붙임.
– 마윈 등 창업자 그룹이 대거 포함된 파트너위원회는 알리바바의 고위직 인사와 사업 방향을 결정하는 사실상의 최고 권력 기관. 올해 35세로 젊은 장 최고경영자는 그룹 내 ‘계급’이 부총재급이었지만 작년 파트너위원회 구성원으로 파격적으로 발탁됨으로써 차기 회장감으로 미리 낙점된 인사라는 평가를 받았음.
3. 일본 코로나 추경, 의료대책보다 경기 부양 중시 논란
– 일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해 전국에 긴급사태가 선언된 가운데 의료 대책보다 경기 부양에 무게가 실린 추가경정(추경) 예산안이 논란. 일본 정부가 27일 국회에 제출한 추경 예산안을 보면 붕괴 위기에 처한 의료 체계를 강화하는 등 코로나19 방역 대책보다 언제가 될지 알 수 없는 코로나19 종식 이후의 소비 촉진 대책에 더 많은 사업비가 반영됐다고 도쿄신문이 28일 보도.
–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종료 후 소비 촉진 대책으로 1조8천482억엔을 반영했는데 감염 방지 대책이나 의료체제 정비에는 이보다 적은 1조8천97억엔을 계상. 세부 내용을 보면 감염 방지 대책이나 의료체제 정비 예산 중 절반이 넘는 1조엔이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임시 교부금으로 채워짐.
– 의료 태세와 관련이 큰 사업비는 훨씬 적게 반영. 치료 약이나 백신 연구 개발비가 516억엔, 전체 가구 마스크 배포 사업비 233억엔, 학교 및 사회복지시설 감염방지 대책 792억엔, 의료기관 마스크 배포 사업비 953억엔, 검사기구 및 인공호흡기 정비 사업비 1천490억엔 등이며, 이들 5개 분야 사업비는 약 3천984억엔.
– 코로나19 사태 종료 후 소비 촉진 대책 등으로 책정된 사업비 가운데는 관광·외식 산업을 촉진하는 경제산업성의 ‘고투(Go To) 캠페인’이 1조6천794억엔으로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일본의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정된 재원을 방역에 집중적으로 투입해야 한다는 지적.
4. “남녀 함께 수영만 해도 임신” 발언 인니 아동보호위원 해임
– 28일 안타라통신 등에 따르면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전날 오후 아동보호위원회의 보건·마약·중독성 물질 담당 위원 시티 히크마와티에 대한 해임 결정서에 서명. 해임서에는 시티가 ‘불명예스럽게’ 아동보호위원회 위원직에서 물러난다고 적힘. 아동보호위원회는 인도네시아에서 2002년 아동권리법이 발효되면서 만들어진 정부 산하기관.
– 시티는 올해 2월 21일 혼전 성관계와 불법 낙태 문제에 대해 트리뷴-자카르타와 화상 인터뷰에서 “임신은 접촉 없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영장이 그렇다. 어떤 종류의 정자는 정말 강하다”고 말함. 이어 “수영장에서 흥분한 남성에 의해 임신이 될 수 있다”고 덧붙임.
– 시티의 인터뷰가 보도된 뒤 트위터에서 그의 이름이 검색어 1위를 차지했고, 이른바 ‘슈퍼 정자’ 발언을 비꼬는 만화까지 속속 나옴. 인도네시아 의사협회는 “수영장 물에는 염소 등 화학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에 정자가 살아남을 수 없다”고 발표했고, 시민들은 시티의 해임을 촉구. 시티는 처음에는 자신의 발언이 과학 저널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이후 발언을 철회하고 사과.
– 아동보호위원회의 윤리위원회는 해당 사건 조사 후 시티의 발언이 윤리강령을 위반했다며 해임처분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내놓음. 시티는 조코위 대통령에게 지난 주말 “코로나 유행 기간 아동 보호 노력을 계속할 수 있게 해임을 연기해달라”고 서한을 보냈지만, 조코위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불명예 해임을 결정.
5. 네팔, 봉쇄 조치 열흘 연장…인도 지방정부도 재연장 검토
– 남아시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가운데 네팔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에 이어 봉쇄 조치를 연장. 카트만두포스트 등에 따르면 네팔 정부는 26일 각료 회의를 열고 27일 종료되는 국가 봉쇄 조치를 다음 달 7일까지 열흘 연장. 네팔에는 27일 오후 4시 현재 52명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발생.
– ’40일간의 국가 봉쇄령’을 발동 중인 이웃 나라 인도도 통제 조치 연장을 검토하는 분위기라고 타임스오브인디아는 보도. 연방 정부 차원에서는 아직 봉쇄 재연장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지만 델리주, 마하라슈트라주, 웨스트벵골주, 텔랑가나주 등 주요 지방 정부들이 봉쇄를 연장하겠다는 의사를 밝힘.
– 인도에는 28개 주와 8개의 연방직할지가 있는데 델리주(누적 확진자 2천918명)와 마하라슈트라주의 확진자 수가 전체의 40%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대도시에서 감염자가 쏟아져나오는 분위기. 누적 확진자 8천68명으로 인도에서 감염자가 가장 많은 마하라슈트라에는 인도 최대 경제 도시 뭄바이가 있음.
– 앞서 파키스탄은 다음 달 9일까지 국가 봉쇄 조치를 연장했고, 방글라데시도 내달 5일까지 임시 공휴일을 연장해 주민의 이동과 외출을 통제.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각각 1만3천328명, 5천913명. 누적 확진자 557명이 발생한 스리랑카도 다음 달 4일까지 주요 지역의 통행 금지 조치를 연장한 상태.
6. ‘대량 검사’ 카타르·UAE, 코로나19 확진자 한국 넘어서
– 카타르 보건부는 27일(현지시간) 오후 2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957명 증가해 1만1천244명이 됐다고 밝힘. 아랍에미리트(UAE)도 27일 오후 10시 기준 확진자가 전날보다 490명 증가해 1만839명으로 늘어남. 이로써 이들 두 나라는 모두 한국(27일 0시 기준 1만738명)의 누적 확진자를 넘어섬.
– 카타르에서 일일 신규 확진자수가 최근 빠르게 늘어난 것은 감염자를 추적하는 대규모 검사를 시작했기 때문. 특히 외국인 이주 근로자 숙소에서 집단 발병하면서 이를 봉쇄하고 집중적으로 추적 검사를 진행 중. 카타르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사람수는 한 주 전인 20일 하루 2천82명에서 27일 3천420명으로 한 주 새 64%나 증가했으며, 이 기간 누적 피검사자수도 6만4천620명에서 8만5천709명으로 33% 증가.
– UAE도 국내 987만 거주자 모두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을 만큼 가장 공격적인 추적 검사를 진행하는 나라로 꼽힘. 27일 현재 UAE의 누적 검사수는 105만7천여건. 100만명당으로 계산하면 10만7천건으로 인구가 36만명으로 적은 아이슬란드 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음.
– UAE의 검사 건수는 지난달 28일 ‘드라이브 스루’식 검사소를 도입한 뒤부터 하루 3만건 안팎으로 높아짐. UAE의 100만명당 확진자수는 1천96명으로 한국의 약 5배. 26일 최다(536명)였던 일일 신규 확진자수는 27일 490명으로 줄어 향후 상승 곡선이 꺾어질지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