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현석한테는 돈과 예술 혹은 권력 어느 게 더 중요했을까?

양현석씨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양현석 YC 엔터테인먼트 대표가 사임하는 등 여간 시끌버끌한 게 아니다.

이럴 즈음 조그만 그룹이지만 카페에서 좋은 사람을 알게 된다는 것은 너무나 기분 좋은 일이다. 우리 덕화만발 카페도 10년이 지나니 많은 인연이 모였다. 이 아름다운 카페에서 이런저런 이야기 나누면서 마음이 통하는 사람을 만다는 것은 여간 즐거운 일이 아니다.

특별히 주는 것도 없고, 받는 것 또한 없다 할지라도 서로 안부가 궁금해지고 무엇을 하고 있을까 머리에 떠오르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은 좋은 동지로 마음에 들어오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카페에 들어오면 그런 동지의 글이 있나 없나 기다려지는 것은 그 사람과 뜻이 통하는 동지의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이다.

‘초토의 시’로 유명한 시인 구상(具常, 1919~2004)과 ‘황소’ 그림의 화가 이중섭(李仲燮, 1916~1956)은 오랫동안 우정을 나누는 친구였다. 어느 날 구상이 폐결핵으로 폐 절단 수술을 받았는데, 몸의 병은 병원에서 의사가 고쳐 주겠지만, 약해진 마음은 사람을 만나는 것으로 치료할 수 있기에 구상은 절친 이중섭이 꼭 찾아와 함께 이야기해 주기를 기다렸다.

그런데 평소 이중섭보다 교류가 적었던 지인들도 병문안을 와주었는데 유독 이중섭만 나타나지 않았다. 구상은 기다리다 못해 섭섭한 마음마저 들던 것이 나중에는 이 친구에게 무슨 사고라도 생긴 것은 아닌가 걱정이 될 지경이었다. 뒤늦게 이중섭이 찾아왔다. 심술이 난 구상은 반가운 마음을 감추고 짐짓 부아가 난 듯 말했다.

“자네가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가? 그 누구보다 자네가 제일 먼저 달려올 줄 알았네. 내가 얼마나 자네를 기다렸는지 아는가?” “자네한테 정말 미안하게 됐네. 빈손으로 올 수가 없어서…” 이중섭이 내민 꾸러미를 풀어보니 천도복숭아 그림이 있었다.

“어른들 말씀이 천도복숭아를 먹으면 무병장수한다지 않던가. 그러니 자네도 이걸 먹고 어서 일어나게” 구상은 한동안 말을 잊었다. 과일 하나 사올 수 없었던 가난한 친구가 그림을 그려 오느라 늦게 왔다고 생각돼 마음이 아팠다.

구상 시인은 2004년 5월 11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 천도복숭아 그림을 서재에 걸어 두고 평생을 함께 했다. 진정한 동지 한 사람만 만들 수 있으면 인생의 반은 성공한 셈이라는 말이 있다. 간혹 우리도 인생의 후반기를 함께 지탱해 줄 수 있는 동지가 있는지 생각해 보면 어떨까?

옛날, 전한(前漢)의 역사가 사마천(司馬遷, BC 145?~BC 86?)이 말하기를, “권세와 이득을 바라고 합친 자들은 그것이 다하면 교제 또한 성글어진다”고 하였다. 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한겨울 추운 날씨가 된 다음에야 소나무,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알 수 있다”고 하셨다.

소나무, 잣나무는 본래 사계절 없이 잎이 지지 않는 나무다. 추운 계절이 오기 전에도 같은 소나무, 잣나무요, 추위가 닥친 후에도 여전히 같은 소나무, 잣나무다. 그런데도 공자께서는 굳이 추위가 닥친 다음의 그것을 가리켜 말씀하셨을까?

그 옛날 같이 풍속이 아름다웠던 시절에도 성자(聖者)들의 형편에 따라 빈객(賓客)이 모였다가는 흩어지곤 했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세태는 참으로 슬프다. 사마천은 이렇듯 말로 다 못할 염량세태(炎凉世態)를 통탄한 나머지, ‘권세와 이득을 바라고 합친 자들은 그것이 다해지면 교제 또한 성글어진다’는 한마디로 사람의 인연을 표현한 것 같다.

필자가 상머슴으로 일하는 우리 덕화만발의 동지들은 이미 이 사회와 나라의 지도자다. 지도자는 비전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 지도자에게는 세 가지 중요한 덕목이 있다.

첫째, 모든 일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정열적으로 뛰는 것이다. 동지는 신념이 투철하여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사명감으로 충만하다. 세상은 지식이 아니라 지도자의 신념에 의해 바뀐다.

둘째, 비전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 어떻게 하면 맑고 밝고 훈훈한 세상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비전을 세워야 한다.

셋째, 공유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지도자는 동지 간에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눌 수 있는 포용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지도자로서 신용을 잃지 말아야 한다. 공유의 능력을 갖춘 지도자는 존경과 함께 사랑받는 지도자가 될 수 있다.

세상에 제일 중한 것이 동지간의 정의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