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베이직 묵상] 스스로 십자가 지며, 사랑으로 섬기는 새해

    함께 기도할 제목 1. 말씀 안에서 – 언제든지 넘어질 수 있는 나의 죄성을 인정하고 하나님께 항복하게 하소서 – 옳고 그름을 내가 판단하지 않고 스스로 십자가를 지는 인생되게 하소서 2. 교회 공동체 – 치열한 경쟁과 끝없는 비교에서 해방되어 각자에게 주신 은사와 때를 존중하고 용납하게 하소서 – 설 명절을 보내며 그리스도인다운 말과…

    더 읽기 »
  • 칼럼

    [베이직 묵상] 참빛을 따르는 인생

    함께 기도할 제목 1. 말씀 안에서 – 인생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참 진리이신 예수님 안에서 발견하게 하소서 – 완전한 빛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을 바로 알게 하소서 2. 교회 공동체 -교회가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는 도구로 쓰임 받게 하시고 사랑과 이해로 지역 사회를 섬기게 하소서 -오직 하나님의 말씀만 기준으로 삼아 세상의…

    더 읽기 »
  • 동아시아

    [김서권 칼럼] 탐심과 정욕, 망상을 십자가에 못 박다

    하나님의 꿈이 아닌 것을 꿈꾸는 것은 꿈이 아니라 망상입니다. 요셉이 하나님이 주신 꿈을 마음에 담았을 때 요셉이 머무는 자리마다 하나님이 역사하여 형통케 되는 축복을 누렸듯이 세계복음화의 첫걸음은 하나님의 꿈을 꿈꾸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것,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왕 같은 제사장의 축복을 누리는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육체와 함께 탐심과 정욕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발행인 편지] “2025년 ‘아시아엔’ 중점 보도 아이템을 소개합니다”

    오늘 밤 자정이면 2024년 갑진년은 양력 음력 모두 다시는 우리 곁에 없게 됩니다. 지난 한해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성공이란’(에머슨 작) 시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새해 선물로 전합니다. 공감 가는 대목이 있으실 겁니다. 건강한 아이를 낳든 한 뙈기의 정원을 가꾸든 사회 환경을 개선하든 자기가 태어나기 전보다 세상을 조금이라도 살기 좋은…

    더 읽기 »
  • 칼럼

    [베이직 묵상] 간음한 여인을 대하는 예수님의 ‘공의와 사랑’

    함께 기도할 제목 1. 말씀 안에서 – 비판과 비난의 돌을 들기 전에 나의 죄를 먼저 돌아보게 하소서 – 같은 죄를 반복하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2. 교회 공동체 – 세상과 나눌 생명의 양식이 언제나 풍성한 교회가 되게 하소서 – 돈을 사랑하는 시대이지만, 교회와 성도는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게 하소서 3. 나라와 열방 –…

    더 읽기 »
  • 동아시아

    [후기] 두렁농 심범섭의 ‘총각總角과 원만圓滿’

    1월 27일자 아시아엔의 “[그때 그사람] 1986년 서울대 일반논리학 이상철 강사의 ‘총각總角’과 ‘원만圓滿’” 기사가 나간 뒤 양평에서 농사를 짓는 심범섭 선생이 아래와 같은 글을 보내왔습니다. 심범섭 선생은 1980년 이후 30년 동안 건국대 앞에서 ‘인서점’을 운영하며 당시 청년세대와 호흡했으며 지금은 농사 짓는 일과 함께 시대의 문제들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이상기 기자의 이상철님!…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신실함으로 등불이 꺼지지 않게

    출애굽기 27장 “아론과 그의 아들들로 회막 안 증거궤 앞 휘장 밖에서 저녁부터 아침까지 항상 여호와 앞에 그 등불을 보살피게 하라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대대로 지킬 규례이니라”(출 27:21) 개근상은 학교에서 받는 상 중에 가장 받기 어려운 상입니다. 초등학교 6년, 중·고등학교 각각 3년 동안 결석, 지각, 조퇴가 단 한 번이라도 있으면 받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그때 그사람] 1986년 서울대 일반논리학 이상철 강사의 ‘총각總角’과 ‘원만圓滿’

    시간이 흐를수록 떠오르는 사람이 있다. 특히 요즘처럼 시국이 어수선하고 명절 등과 겹칠 때 ‘그분이라면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실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한다. 내 인생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셈이다. 이상철 선생님, 보다 정확히 말하면 1986년 가을학기 서울대 철학과 소속으로 일반논리학 시간강사다. 졸업을 앞두고 나는 교양과목 3학점이 부족한 걸 확인하고 ‘일반논리학’을 신청했다.…

    더 읽기 »
  • 동아시아

    [신정일 칼럼] “국회의원 정원 현행 300명–>100명으로 제안합니다”

    “정치가 바로서야 대한민국이 제대로 살아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욕을 많이 먹는 집단은 어디일까? 좌우 정치 성향을 떠나서 그 누구라도 정치인들을 꼽을 것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정치인들도 있겠지만, 함량 미달의 정치인이 수많은 국민들을 피로케 하고, 정신건강에 큰 해를 끼치고 있다. “정치는 이상도 위대함도 없는 자들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정작 자기 자신 속에 위대함을…

    더 읽기 »
  • 동아시아

    [이우근 칼럼] ‘또다시 을사년’…”변화와 쇄신, 지혜와 생명력 넘치는 2025년 함께 만들길”

    <빈상설>(鬢上雪)은 1908년에 이해조가 발표한 신소설이다. ‘하얗게 센 귀밑머리’를 뜻하는 제목의 이 소설은 처첩(妻妾)의 갈등 때문에 몰락해가는 북촌 부잣집을 소재로 개화기의 혼란상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에 ‘을사년시럽다’라는 말이 등장한다. 3년 전인 1905년의 을사늑약(乙巳勒約)으로 제국주의 일본에 나라의 주권을 빼앗긴 울분에서 ‘을사년시럽다’는 말이 생겨났고, 그 뒤에 ‘을사년→을시년→을씨년’으로 변했다고 한다. 120년 전의 을사년은 우리…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