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호

와이즈인포넷 전문위원, 뉴욕 뉴스쿨(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경제학 박사, 전 삼성경제연구소 영문편집팀 편집장, 튀니지 국립마누바대학 한국국제교류재단 객원교수
  • 서아시아

    [이슬람 바로알기] ? ‘술 취한’ 수피즘을 보고도 이슬람이 원리주의라고?

    라비아로 대표되는 수피즘은 정의를 얘기하고 두려움과 경외심을 갖기를 요구하는 딱딱하게 꽉 막힌 듯한 주류 이슬람과는 좋은 대조를 이루고 이슬람의 전통이 얼마나 다양한 지를 잘 보여준다. 수피즘에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을 노래 부르는 전통이 있는가 하면 또 묘한 이름의 ‘술취한 수피’라는전통도 있다. 이런 전통을 고수하는 수피들은 평상시의 의식상태와는 다른 일종의 환각상태를 경험하고…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슬람 바로알기] ⑮ 이슬람판 로미오와 줄리엣, ‘라일라와 마지눈’의 러브스토리

    이번엔 수피전통은 어떤가 알아보자. 어떻게 보면 이슬람의 수피전통은 정통이슬람의 엄격한 율법주의에 대항해서 나온 영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수피즘은 기독교, 힌두교, 불교,? 이슬람시아파, 페르샤마니교 등의 신비주의 영향을 많이 받고 세속을 떠난 생활을 강조하는 면이 있지만 커뮤니티를 강조하는 이슬람전통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수피지도자와 그 추종자들은 금욕생활을 하는 수도승과는…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⑭이슬람철학 집대성한 이븐시나 “하나님 존재 이성으로 이해”

    아랍인들은 9세기에 그리스철학과 과학에 접하고 그후부터 유럽의 르네상스, 과학혁명, 계몽시대에 맞먹는 문화적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이 시대에 ‘팔사파흐’(여기서 유럽 중세시대의 ‘필로소피’가 탄생)라고 불리는 학문이 생겨나고 이를 연구하는 이들을 ‘파일라수프’라고 불렀다. 이들 이슬람 철학자들은 지구와 우주를 다스리는 법칙에 따라 이성적 삶을 사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고 처음엔 자연과학에 집중하다가 그리스 형이상학으로 옮겨가고…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⑬ ‘이즈티하드’ 전통

    지금까지 모하메드 출현에서 몽골의 아바시드왕조 멸망에 이르기까지 6세기에 달하는 시간을 숨차게 달려왔다. 여기서 역사에 대한 서술을 잠시 멈추고 대관절 이슬람이 뭔지 중세의 신학자나 철학자, 신비론자들이 뭐라고 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반드시 이슬람이 아니더라도 기독교나 힌두교, 불교를 불문하고 어떤 종교든 여기에 접근하는 방법은 대체로 세 가지 정도로 나뉘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대부분의…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⑫ 몽골침략시대와 이븐 타이미야

    몽골의 침략을 겪은 후 이슬람권의 지식인들은 상당한 고민에 빠졌다. 지금까지 이들이 철석같이 믿어왔던 역사관에 따르면 무슬림 커뮤니티를 세계 방방곡곡에 전파하고 전 세계를 이슬람화하는 것이야말로 역사의 궁극적 목적인데 기독교인도 아닌 이상한 미신을 믿는 몽골인들이 무시무시한 파괴를 초래했다는데 대해?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도저히 가늠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그래서?어떤 학자들은 몽골군의 도래가 세상의…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⑪ 몽골침략시대와 아바시드왕조의 멸망

    지난 회엔 8세기 초부터 15세기까지 약 700년에 걸쳐 스페인을 지배했던 이슬람 왕조 시대에 대해 언급했다. 이번에는 다시 시간을 200년 넘게 거슬러 올라가서 스페인에서 동쪽으로 4000km 넘게 떨어진 아바시드 왕조의 수도 바그다드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었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아바시드 왕조는 지난 번 압달라흐만의 기구한 운명을 얘기할 때 잠시 말했지만 이란 북부…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⑩ ‘알 안달루스’의 역사적 의의

    전편에서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일어난 이슬람 세력이 북아프리카를 가로질러 모로코까지 휩쓸어버린 뒤 이번에는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스페인까지 차지하고 그로부터 50여년 만에 압둘라흐만이라는 구 우마야드 왕자가 알 안달루스 에미레이트를 세우는 역사까지 알아봤다. 오늘은 그렇게 세워진 알 안달루스가 이후 유럽에 어떤 영향을 끼쳤고 망한지 500년도 넘는 지금에 와서 과연 무슨…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⑨ 이슬람 세력의 스페인 정복

    지난 번 글에서 알리와 후세인의 사망, 그리고 라쉬둔 시대의 종막과 우마야드 왕조의 창건까지 얘기했었다. 이번엔 그로부터 수십 년을 건너뛰어 우마야드왕조 치하에서 이슬람 세력이 서진(西進)에 서진을 거듭하여 마침내는 모로코 서부 대서양 해안까지 닿게 되고 이제는 그것도 모자라 북쪽으로 지브롤터해협을 건너 스페인을 침공하는 역사를 언급하기로 하겠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 중 옛날…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⑧ 수니-시아파 갈등의 근원

    지난번 에피소드에서는 이슬람의 창시자 모하메드가 사망한 때까지 서술했다. 이번에는 모하메드 사후 그가 세운 종교커뮤니티를 뒤이어 이끌어가게 된 소위 ‘라쉬둔’(rightly guided ones) 칼리페이트시대(632-661)에 대해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는 수니파와 시아파 간의 대립과 반목이 어떻게 생겨난 것인지 언급하기로 하겠다. 모하메드는 생전 후계자를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그가 사망한 직후 잠시…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슬람 바로알기] ⑦21c 모하메드는 청바지차림?···”이웃을 섬기세요, 제발!”

    일곱 번째 얘기를 본격적으로 풀어나가기 전에 요즘 일부 국내 이슬람 학자들이 주장하는 ‘모하메드’의 올바른 한글표기에 대해 잠시 시비를 걸어보기로 하자. 일부 학자들은 ‘모하메드’가 영어식 표기를 그대로 옮긴 것이고 아랍어 발음에 보다 충실하게 표기하면 ‘무함마드’ ‘무함맏’ 등이 더 가깝다며 이런 식으로 쓸 것을 주장한다. 여기에 더해서 이들은 ‘코란’이 아니라 ‘꾸란’이 더…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슬람 바로알기] ⑥모하메드 메카 재입성, 아내 무릎 베고 눈 감아

    모하메드가 그의 동조자들과 함께 메카 지배세력들의 탄압을 피해 메디나로 본거지를 옮긴 서기 622년 ‘헤지라’에 대해 지난 글에서 소개했다. 이번에는 그 후 무슬림들이 코레쉬족의 공격을 번번이 막아내면서 아라비아 반도에서 아무도 넘볼 수 없을 정도의 실력을 쌓고 결국엔 메카에 무혈 입성을 하며 마침내 632년 모하메드의 사망에 이르는 시기까지 서술하기로 하겠다. 코레쉬 내통한…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⑤모하메드, ‘중년의 위기’ 거쳐 동굴서 ‘득도’

    40대로 접어든 그는 요즘 표현으로 일종의 ‘중년의 위기’에 접어들게 된다. 그는 “인생이 과연 뭔가?”를 다시 생각하게 되고 메카 사회 전체가 대상무역 호황으로 잘 살게 됐으면서도 왜 과부들이 어렵게 살아야 하고 고아들이 생존을 위해 발버둥쳐야 하는지 의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중국을 포함한 동양사회에서 뭔가 도를 깨치려면 산으로 들어가듯이 모하메드 또한 이런 인생의…

    더 읽기 »
  • [이슬람 바로알기] ④모하메드의 탄생과 청소년시절

    지난 글에서?이슬람종교가 창시된 서기 620년대 이전의 아라비아 반도와 주변지역 상황에 대해 살펴봤다. 이번에는 모하메드의 탄생으로부터 그가 40세 때 천사 가브리엘을 통해 하나님의 계시를 전해 듣고 ‘득도’를 한 시기 직전까지의 역사를 살펴보자. 아무리 이슬람에 대해 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도 모하메드가 서기 570년경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서 유복자로 태어났고 여섯 살 때 모친마저 잃고 고아가…

    더 읽기 »
  • 서아시아

    [이슬람 바로알기] ③비잔틴제국을 이긴 네 가지 이유

    한때 히자즈사막에서 들쥐나 잡아먹고 살던 미천한 민족이던 아랍인들이 순식간에 힘을 모아 아라비아반도를 통일하고 한 세기도 안 되는 기간 내에 스페인에서 오늘날의 카자흐스탄까지 이르는 방대한 영토를 정복하는 어마어마한 위업을 달성한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무슬림 학자들의 설명에 따르면 이는 전적으로 이슬람 종교 자체가 사람을 끄는 매력이 있어 큰 에너지를 결집할…

    더 읽기 »
  • 남아시아

    [이슬람 바로알기] ②유목민족 vs 도시민족의 투쟁?

    선지자 모하메드가 세계사 전면에 등장하기 직전인 서기 620년 전후까지의 아라비아 반도 주변상황을 살펴보면 이슬람 세계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어느 지역 문명사도 마찬가지지만 아라비아 반도 주변지역의 문명사는 대체로 유목민족과 도시거주 민족 간의 투쟁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14세기 튀니지 출신 역사학자이자 근대 사회학의 시조로 알려진 이븐 칼둔의 저서 <무깟디마>(‘개설’ 또는 ‘입문서’라는…

    더 읽기 »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