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글의 필자인 Ali Salehabadi는 이란 개혁성향 일간지 <Setareh Sobh(세타레 소브)>의 편집국장으로, 외교·안보·경제 분야에서 날카로운 비평으로 알려진 언론인입니다. 그는 이란 정부의 대이스라엘 군사 정책에 대해 “시민 삶과 경제에 대한 영향 평가가 부족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또한 그는 “무력 시위가 아닌 외교적 해법이 필요하며, 국민이 체감하는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창했습니다. 이같이 그는 이란 정부의 이념적 행보를 경계하고, 비용-편익과 실용주의 관점에서 정책을 평가하는 실력파 언론인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편집자>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아시아엔=알리 살레하바디(Ali Salehabadi) 이란 <세타레 소브>(Setareh Sobh) 편집국장] 전쟁은 본질적으로 파괴를 동반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은 인류에게 가장 위험하고 비극적인 선택으로 간주된다. 국민을 우선하는 정부라면, 전쟁이 아니라 평화를 선택해야 한다. 최근 이란과 이스라엘 사이에서 벌어진 12일간의 무력 충돌은, 과연 이 전쟁이 무엇을 남겼는지를 묻지 않을 수 없게 한다.이란의 이슬람혁명은 처음부터 반패권주의 이념에 기반을 두고 미국, 이스라엘, 그리고 구(舊)소련과 대립해 왔다. 이란은 그 이념에 따라 하마스, 헤즈볼라, 이슬람지하드 등 저항 세력을 지원해 왔다. 그러나 국제질서는 단순하지 않다. 이스라엘은 미국과 유럽, 일부 아랍 국가의 확고한 지원을 받고 있으며, 러시아의 묵인까지 받는 상황이다. 이런 복합적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대결 구도는 큰 대가를 요구한다.
정치와 경제의 핵심 원리는 ‘비용과 편익’이다. 어떤 정책이나 행동이 이득을 주면 정당화되고, 해를 끼치면 비판받는다. 실용주의적이고 책임 있는 정부는 이 원칙에 따라 움직인다. 국민 역시 마찬가지다. 전쟁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기준으로, 그것이 옳았는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념주의자들은 이 원칙에서 벗어난다. 이들은 현실이 아닌 신념에 기반하여, 손해나 희생조차 ‘승리’라고 포장한다.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했을 때, 일부 지역에서는 과자를 나눠주며 축하하는 광경이 연출됐다. 이란이 이스라엘에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그러한 열광은 테헤란, 카라지, 타브리즈 등에서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수백 명이 사망하고 주택 수백 채가 파괴된 현실을 외면한 결과였다.
이란과 이스라엘은 12일 동안 상호 타격을 주고받았다. 이란은 미사일과 드론을 통해 이스라엘의 방공망을 뚫는 데 성공했으나, 그 대가도 컸다. 외무장관에 따르면 30명 이상의 군 지휘관이 암살됐고, 수십억 달러를 들여 구축한 핵시설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민간 부문 피해도 상당했다.
이번 전쟁의 특징 중 하나는, 국민들이 정부 정책에 대한 찬반 여부와 관계없이 조국을 방어하는 데 뜻을 모았다는 점이다. 감옥에 있는 이들까지 포함해, 국내외에서 ‘이란’이라는 이름 아래 단결했다. 그러나 이러한 결속이 곧 전쟁의 정당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정부는 전쟁으로 인한 물적·정신적 피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알릴 의무가 있다. 국민은 충분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번 전쟁이 이익이었는지 손해였는지를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과거 사례를 보면 이스라엘은 휴전 협정을 충실히 지킨 적이 거의 없다. 가자지구와 레바논에서도 그랬고, 최근에도 이란 내 주요 군사시설 인근에 경고 메시지가 발송되었다. 심리전일 수도 있지만, 또 다른 공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과거 이스라엘의 군사행동에 제동을 걸 수 있었던 인물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뿐이었다. 그러나 그 역시 평화를 말하면서도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격 명령을 승인한 바 있다.
향후 유사한 충돌을 막기 위해서는 외교적 해법이 요구된다. 미국과의 협상에 나서고, 이스라엘과의 전쟁 상태를 해소해야 한다. 이는 이스라엘을 ‘승인’하는 것이 아니라, 무의미한 적대 상태를 끝내는 현실적인 조치다.
이번 12일 전쟁은 군사력의 한계, 이념의 위험성, 그리고 국민 통합의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이제는 이상이나 구호가 아닌 현실과 책임의 관점에서 전쟁을 되돌아보아야 한다. 진정한 국가의 이익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12 Days of Unequal Battle
Ali Salehabadi, Managing Editor of Setareh Sobh Newspaper – Iran
War, by its very nature, brings destruction. It is one of humanity’s most tragic and dangerous choices. Governments that prioritize their people must pursue peace over conflict. The recent 12-day clash between Iran and Israel raises a pressing question: What did this war actually leave behind?
Since the beginning, Iran’s Islamic Revolution was grounded in anti-hegemonic ideology, positioning itself in opposition to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the former Soviet Union. In line with this vision, Iran extended support to resistance groups such as Hamas, Hezbollah, and Islamic Jihad. Yet international politics is anything but simple. Israel is backed by powerful allies—including the U.S., Europe, certain Arab states, and, in some cases, even tacit approval from Russia. To ignore such a complex reality while engaging in direct confrontation is to risk heavy consequences.
In politics and economics, the cost-benefit principle is fundamental: actions that produce benefit are justified; those that result in harm are subject to criticism. Pragmatic and responsible governments operate based on this logic. Citizens, too, evaluate decisions—especially wars—by asking a simple question: Did it improve our lives, or did it make them worse?
Ideologues, however, reject this principle. Driven by belief rather than reality, they often reframe losses and sacrifices as “victories.” When Hamas launched its surprise attack on Israel on October 7, 2023, celebrations erupted in some communities, with sweets handed out in the streets. The same occurred after Iran launched missile strikes. Yet such jubilation ignored the sobering truth: 610 civilians—including women and children—were killed, and hundreds of homes were destroyed in cities like Tehran, Karaj, and Tabriz.
For 12 days, Iran and Israel exchanged strikes. Iran’s missiles and drones managed to breach Israel’s Iron Dome defense system. However, the cost was immense. According to Iran’s foreign minister, more than 30 senior military commanders were assassinated in retaliation, and billions of dollars’ worth of nuclear infrastructure sustained severe damage. Civilian sectors also suffered substantial losses.
One striking feature of this war was the unity shown by the Iranian people. Regardless of their stance on government policy, citizens—both at home and abroad, even from within prisons—stood together under the banner of defending Iran. Yet this unity should not be mistaken for validation. It does not excuse the state from its obligation to honestly report the material and moral consequences of the conflict. The people deserve full transparency so they can determine whether this war served or harmed their interests.
History shows that Israel has rarely respected ceasefire agreements. From Gaza to Lebanon, this pattern has repeated. Even now, Israeli authorities have issued warnings to civilians living near military facilities in Iran. Whether this is psychological warfare or the prelude to further attacks remains unclear. Notably, the only leader who once managed to restrain Israel’s aggression was former U.S. President Donald Trump—though he, too, approved plans to bomb Iran’s nuclear sites.
To avoid future conflicts, Iran must pursue diplomatic solutions. This includes reaching an understanding with the United States and declaring an end to its state of war with Israel. This does not imply recognition of Israel—it is a realistic measure to halt a cycle of hostility that endangers everyone.
The 12-day war revealed the limits of military force, the dangers of ideology, and the potential for national solidarity. Now is the time to move beyond slogans and face reality with responsibility. True national interest begins with protecting the lives and well-being of th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