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고혈압학회가 공개한 ‘2024 고혈압 팩트시트’에 따르면 국내 고혈압 환자는 약 1300만 명으로, 성인 세 명 중 한 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는 셈이다. 특히 20~30대 젊은 층에서도 89만 명이 고혈압 환자로 추정되지만, 이 중 15%도 채 되지 않는 13만 명만이 질환을 인지하고 꾸준히 치료를 받고 있다.
고혈압은 대부분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고, 젊을수록 경각심이 낮아 방치되기 쉽다. 그러나 혈압이 높아진 상태가 지속되면 나이에 상관없이 뇌졸중, 심부전, 신부전 등 중대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젊은 환자가 갑작스러운 두통,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오는 사례도 드물지 않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고혈압 환자 수는 2019년 약 632만 명에서 2022년 727만 명으로 3년 새 15% 이상 증가했다. 특히 ‘백의고혈압’과 ‘가면고혈압’ 등 잘 알려지지 않은 형태도 주의가 필요하다. 백의고혈압은 병원에서 의사를 대면할 때 긴장으로 혈압이 높게 나오는 경우이며, 가면고혈압은 병원에서는 정상으로 측정되지만 실제로는 고혈압 상태인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혈압이 140/90mmHg 이상, 가정에서는 135/85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같은 시간대, 같은 조건에서 반복 측정하고 양팔 모두 재본 뒤 높은 값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측정 전에는 카페인, 흡연, 운동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본태성(원인 불명)과 이차성(신장질환, 내분비 이상 등 뚜렷한 원인 존재)으로 나뉜다.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 이상은 생활습관과 유전 등 복합적 요인이 결합된 본태성 고혈압이다. 염분 과다 섭취, 비만, 운동 부족, 과도한 음주와 흡연, 스트레스 등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합병증 중 가장 위험한 것은 뇌출혈이다. 고혈압으로 약해진 뇌혈관이 터지면 뇌 조직이 손상돼 반신불수나 언어장애, 심한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또한 고혈압은 심장에 무리를 줘 심근경색, 부정맥, 심부전 등을 유발하고 동맥경화 진행을 가속화한다. 신장 기능도 서서히 망가져 만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치료는 크게 생활요법과 약물요법으로 나뉜다. 초기 단계라면 체중 조절, 저염식, 꾸준한 운동 등으로도 충분히 혈압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거나 합병증 위험이 크다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혈압약 복용 초기에는 어지럼증이나 기침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대한고혈압학회는 고혈압 예방 7대 수칙으로 △싱겁게 골고루 먹기 △적정 체중 유지 △규칙적 운동 △금연·절주 △채소 중심 식단 △스트레스 줄이기 △정기 혈압 측정과 진료를 권고한다.
고혈압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증상이 없다고 방심하지 말고, 정기 검진과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혈압을 관리해야 한다. ‘침묵의 살인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건강 장수의 첫걸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