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칼럼

‘잊혀진 수단 내전’…인류 최악의 실향 사태, 세계는 왜 침묵하나?

수단 난민

* 아시아엔 해외필진 기고문의 한글번역본과 원문을 함께 게재합니다.

‘잊혀진 전쟁(Forgotten War)’이라는 표현은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음에도 국제 사회나 언론,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진 분쟁을 뜻한다. 대표적으로 한국전쟁은 세계사의 주요 전쟁임에도, 특히 서방국가에서 베트남전쟁이나 제2차 세계대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아 ‘잊혀진 전쟁’이라 불린다.

이 개념은 지금 아프리카 중심부에서 진행 중인 수단 내전에 그대로 적용된다. 수단에서는 2023년 4월 15일, 수단군(SAF)과 준군사조직인 신속지원군(RSF) 간의 무력 충돌이 시작됐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정권 다툼 이상의 양상을 띤다. 다르푸르, 누바산맥, 청나일 지역 등지에서 수십 년간 이어져온 지역 분쟁과 인종·자원 갈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결과다.

전쟁은 민간인을 직접 겨냥하며 치명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 유엔과 인권단체들에 따르면 이곳에선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 폭격, 조직적인 성폭력, 의료시설 파괴 등 전시범죄 수준의 행위가 반복되고 있다. 수도 하르툼을 비롯한 주요 도시의 병원과 학교, 식수 및 전력망은 이미 기능을 멈췄다.

일부에서는 이번 내전을 ‘대리전(proxy war)’의 형태로 해석한다.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러시아 등의 국가들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무장세력을 지원하고 있으며, 러시아 민간군사기업 와그너그룹의 활동도 포착됐다. 그러나 일부 언급된 ‘18개국이 분쟁을 지원하고 있다’는 표현은 과장된 면이 있으며, 확정적 근거는 부족하다. 다만, 지정학적 이익을 둘러싸고 외부 세력이 수단의 혼란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가장 큰 피해자는 당연히 일반 시민들이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에 따르면, 현재까지 약 1,000만 명 이상이 국내외로 강제 이주했다. 이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국내 실향 사태로 평가된다. 의료 인프라가 무너진 가운데, 만성질환자나 응급환자들은 치료조차 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전쟁으로 인해 학교는 장기간 폐쇄되었고, 어린이와 청소년 수백만 명이 2~3년 이상 학업을 중단한 상태다.

이처럼 수단은 국제사회가 외면한 채 고립된 인도주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지만, 무기 밀수와 정치적 개입을 통해 분쟁을 조장하는 사례도 있다. 국제사회 전체가 구조적으로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도 거세다.

전쟁은 단지 현재만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다. 향후 수십 년 동안 이어질 빈곤, 교육 결손, 전쟁 트라우마는 한 국가의 사회구조 전체를 마비시킨다. 치안 부재는 인신매매, 무기거래, 마약 밀매 같은 초국경 범죄로 이어지며, 수단의 혼란은 인접 국가로도 번지고 있다. 무엇보다 어린이들이 미래에 대한 희망 없이 성장한다는 점에서 이 전쟁의 대가는 세대 전체의 상실로 이어진다.

지금 세계는 수단의 전쟁을 ‘잊혀진 전쟁’으로 만들고 있다. 국제사회의 단호한 개입과 지속적인 지원 없이는 평화 정착과 재건, 사회적 치유는 요원하다. 전쟁이 끝난 뒤에 남는 것은 승자도, 해답도 아니다. 오직 상실과 폐허, 그리고 지워지지 않는 고통뿐이다.

The Forgotten War in Sudan: A Humanitarian Crisis the World Ignores
By Dr. Hassan Humeida, Kiel, Germany

In November 2023, South Sudanese returnees and Sudanese refugees were seen crossing into South Sudan through the Joda border point—a scene that has become tragically familiar in East Africa. The United Nations reports that Sudan is now home to the world’s largest internal displacement crisis. Ye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tinues to overlook what has become one of the gravest humanitarian emergencies in recent memory.

The term “forgotten war” typically refers to conflicts that, despite causing widespread suffering, receive limited media coverage or historical attention. The Korean War (1950–1953), for example, is often cited as a forgotten war, overshadowed in Western discourse by World War II and the Vietnam War.

Today, the phrase applies with painful accuracy to Sudan. In April 2023, full-scale war erupted between the Sudanese Armed Forces (SAF) and the paramilitary Rapid Support Forces (RSF), plunging the country deeper into chaos. The violence, however, did not begin in 2023. Sudan has endured decades of unrest, with earlier conflicts in Darfur, South Kordofan, and the Blue Nile region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current crisis.

Tens of thousands have been killed, injured, or traumatized. Millions have fled their homes, and entire neighborhoods have been reduced to rubble. Hospitals and schools have closed, and basic infrastructure has collapsed under the weight of prolonged violence. The United Nations and multiple human rights organizations have documented atrocities, including the targeting of civilians, sexual violence, and ethnic-based attacks.

Some analysts describe the conflict as a proxy war. Although the term must be used with caution, there is evidence that regional and global actors—such as Egypt,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Russia—have provided material or political support to one side or another. Reports of arms shipments, foreign advisors, and clandestine influence underscore the extent to which Sudan has become a theater for broader geopolitical rivalries. However, the claim that 18 countries are actively backing the conflict appears exaggerated and lacks verifiable evidence.

What is certain is that civilians are paying the price. The displaced now number over 10 million, according to the UN—a record for a single country in recent years. Those who flee often lack access to clean water, healthcare, or education. Many live in overcrowded camps or in border areas where aid delivery is sporadic at best. Others remain trapped in urban war zones, unable to leave due to violence or roadblocks.

Children have lost up to three years of schooling. Families are separated or destroyed. Chronic illnesses go untreated, and mental health trauma is widespread. The economic cost is incalculable, as Sudan’s development potential is steadily dismantled.

The crisis has broader implications. As governance collapses, organized crime and human trafficking are on the rise. Armed groups and criminal networks exploit the vacuum, smuggling weapons and people across porous borders. In such conditions, peacebuilding becomes not only more urgent but also more difficult.

Yet despite these grave realities, Sudan’s war remains on the periphery of international attention. Global media coverage is sporadic, and diplomatic efforts lack coherence or urgency. Donor fatigue and competing global crises—from Gaza to Ukraine—have diverted attention and funding. Some countries offer humanitarian aid, while others continue to profit through arms sales or political alliances.

The consequences will not end when the fighting does. War leaves behind a legacy of destruction, poverty, trauma, and mistrust that can last generations. Children who grow up amid conflict are less likely to become the architects of peace and more likely to be drawn into cycles of violence or despair.

We must not allow Sudan to become another case study in neglec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invest in peace efforts, reconstruction, and social recovery. Sudan’s people deserve more than silence. They deserve sustained solidarity and meaningful support.

After all wars, one truth remains: there are no real winners. Only loss, destruction, and memories too painful to forget.

하산 후메이다

독일 키일대학교 교수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본 광고는 Google 애드센스 자동 게재 광고이며, 본 사이트와는 무관합니다.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