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대로 알기] 컴퓨터 게임도 나온 ‘삼국지’ 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원말명초에는 우리나라 판소리처럼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를 회를 나누어 이어서 연출하는 이야기꾼이?있었는데, 『삼국지연의』도 그런 이야기꾼들이 연출하던 이야기 중 하나였지요. 그렇다면 『삼국지』는 무엇일까요? 『삼국지』는 중국이 한(?)나라 말기부터 삼국으로 분열되고 다시 통일을 이룩하는 과정을 진수가 정리해 놓은 역사서입니다. 『삼국지연의』는 『삼국지』의 바탕 위에 허구를 많이 더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지요.
『삼국지연의』는 총 120회 분량으로 된 책으로 한 번 이야기를 할 때마다 한 회씩 진행하였으니, 120부 연속극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인기 있는 드라마는 한 회 한 회 진행될 때마다 다음 회를 몹시 기다리게 합니다. 이 소설을 이야기해주는 이야기꾼도 다음 회를 몹시 기다리게 만드는 방식으로 각 회를 마무리 지었다고 해요. 그런 식으로 120회나 했으니, 엄청난 대하드라마라고 볼 수 있겠죠?
이 소설은 중국 본토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유행했습니다. 하지만 명나라 초기에 바로 수입된 것이 아니라 유행이 한참 지난 후인 명나라 후기에 소개가 되지요. 특이하게도 『삼국지연의』는 『조선왕조실록』에도 등장하는데 그 내용을 한번 볼까요?

상(임금)이 문정전석강에 나아갔다. 『근사록』 제2권을 진강하였다. 기대승이 나아가 아뢰기를,?“지난번 장필무를 인견하실 때 전교하시기를 ‘장비의 고함에 만군이 달아났다고 한 말은 정사(正史)에는 보이지 아니하는데 『삼국지연의』에 있다고?들었다.’ 하였습니다. 이 책이 나온 지가 오래되지 아니하여 소신은 아직?보지 못하였으나, 간혹 친구들에게 들으니 허망하고 터무니없는 말이 매우 많았다고 하였습니다. …… (중략) …… 그중의 내용을 들어 말씀드린다면 동승의 의대 속의 조서라든가 적벽 싸움에서 이긴 것 등은 각각 괴상하고 허탄한 일과 근거 없는 말로 부연하여 만든 것입니다. (후략)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이 책에 대해 사대부들은 ‘괴상하고 허탄한’ 말이 많이 나오는 소설이라고 하찮게 여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소설에는 사대부들이 싫어할 만한, 정사와는 거리가 먼 허구적인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니까요. 하지만 선조 임금조차도 『삼국지연의』에 대해 알고 있듯이 조선 중기에는 많은 사람이 이 책을 읽었습니다.
“『삼국지』를 세 번 읽지 않은 사람과는 대면도 하지 말라.”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사람은 유별나게 『삼국지연의』를 좋아합니다. 인터넷 서점의 검색란에 ‘삼국지’를 쳐 보세요. 수많은 종류의 번역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유명한 만화가가 한 번씩은 그려 보는 것이 바로 『삼국지연의』라네요. 『삼국지연의』를 테마로 한 컴퓨터 게임은 이미 1985년부터 지금까지 30년에 이르는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선 시대 사대부들은 ‘허황하고 터무니없다.’고 생각했으니, 지금의 상황을 보면 혀를 끌끌 찰지도 모르겠네요.<출처=지금은 중국을 읽을 시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