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앞에 선 당신, 어떤 유언을 남길 것인가?

“김용택의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김용택을 불러 놓고 유언을 하셨는데​, ‘네 어머니가 방마다 아궁이에 불 때느라고 고생을 많이 했다.​ 부디 연탄보일러를 놓아드려라’라고 말씀하셨다. (중략) 이 유언은 건실하고 씩씩하고 속이 꽉 차 있다.​ 김용택 아버지는 참으로 죽음을 별것 아닌 것으로, 아침마다 소를 몰고 밭으로 나가듯이 가볍게 받아들이셨다.”(본문 중에서) 

이틀 전 김훈 작가의 ‘죽음에 대한 관조’를 소개하면서 여러 생각이 오갔다. 필자는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 오늘에 이르기까지 온갖 풍상 다 겪었다. 죽어도 여한이 없는 나이다. 한편 ‘이만하면 한 생, 잘 살다 가는 것 아닌가?’ 생각도 든다.

요즘 들어 평생 함께해온 아내가 너무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 역시 죽음을 관조하게 된다. 전편에 이어 김훈 작가의 ‘죽음의 고찰’이라는 글을 마저 소개한다. 

<오래 전에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는 스스로 ‘광야를 달리는 말(!)’을 자칭했다. ​아버지는 집밖으로 나돌면서 평생을 사셨는데, 돌아가실 때 유언으로 ‘미안허다’를 남기셨다. 한 생애가 네 음절로 선명히 요약되었다.

더 이상 짧을 수는 없었다. 후회와 반성의 진정성이 느껴지기는 하지만, 이것은 좋은 유언이 아니다.​ 이미 돌이킬 수 없이 늦었고, 대책 없이 슬프고 허허로워서 어쩌자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퇴계 선생님은 죽음이 임박하자​ “조화(造化)를 따라서 사라짐이여, 다시 또 무엇을 바라겠는가?​”라는 시문을 남겼고, 임종의 자리에서는 “매화에 물 줘라​” 하고 말씀하셨다고 제자들이 기록했다.​ 아름답고 격조 높은 유언이지만 생활의 구체성이 모자란다.

내 친구 김용택 시인의 아버지는 섬진강 상류의 산골 마을에서 평생 농사를 지으며 사셨다.​ 김용택의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김용택을 불러 놓고 유언을 하셨는데​, “네 어머니가 방마다 아궁이에 불 때느라고 고생을 많이 했다.​ 부디 연탄보일러를 놓아드려라”라고 말씀하셨다.

(나는 이 이야기를 김용택의 어머니 박덕성 여사님한테서 직접 들었다. 몇 년 후에 김용택의 시골집에 가봤더니 그때까지도 연탄보일러를 놓지 못하고 있었다.)

나의 아버지, 퇴계 선생님, 김용택의 아버지, 이 세 분의 유언 중에서 나는 김용택 아버지의 유언이 최고라고 생각한다.​ 이 유언은 건실하고 씩씩하고 속이 꽉 차 있다.​ 김용택 아버지는 참으로 죽음을 별것 아닌 것으로, 아침마다 소를 몰고 밭으로 나가듯이 가볍게 받아들이셨다.

그리고 숨을 거두는 순간에도 인생 당면 문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이 정도 유언이 나오려면, 깊은 내공과 오래고 성실한 노동의 세월이 필요하다.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삶은 무겁고 죽음은 가볍다.​ 죽음과 싸워서 이기는 것이 의술의 목표라면 의술은 백전백패한다.

의술의 목표는 생명이고, 죽음이 아니다.​ 이국종처럼 깨어진 육체를 맞추고 꿰매서 살려내는 의사가 있어야 하지만,​ 충분히 다 살고 죽으려는 사람들의 마지막 길을 품위 있게 인도해주는 의사도 있어야 한다.​ 죽음은 쓰다듬어서 맞아 들여야지, 싸워서 이겨야 할 대상이 아니다.

다 살았으므로 가야 하는 사람의 마지막 시간을 파이프를 꽂아서 붙잡아 놓고서 못 가게 하는 의술은 무의미하다.​ 가볍게 죽고, 가는 사람을 서늘하게 보내자.​ 단순한 장례 절차에서도 정중한 애도를 실현할 수 있다.​ 가는 사람도 보내는 사람도, 의술도 모두 가벼움으로 돌아가자. ​뼛가루를 들여다보면 다 알 수 있다.

이 가벼움으로 삶의 무거움을 버티어낼 수 있다.​ 결국은 가볍다.​ 나는 행복한 사람​으로 보는, 천하를 통일하고 불로장생 살고 싶어 만리장성을 쌓았던 중국의 진시황제나​ <로마의 휴일>에 공주 역으로 데뷔하여 오스카상을 탄 아름답고 청순한 이미지의 오드리 햅번, 권투 역사상 가장 성공하고 가장 유명한 흑인 권투선수 겸 인권운동가 무하마드 알리, 연봉을 단 1달러로 정하고 애플을 창시하여 억만장자가 된 스티브 잡스,​ 철권통치로 영원히 북한을 통치할 것 같았던 김일성,​ 그들은 모두 이 세상을 떠났다.​ 재산이 13조로 가만 있어도 매달 무려 3천억원의 돈이 불어나는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도 병상에 누워있다가 결국 고인이 됐다.

이렇게 화려하게 살다가 떠나간 사람 중 누가 부러운가? 걸을 수 있고, 먹을 수 있고, 친구들과 대화할 수 있고, 또 카톡도 즐기며 이렇게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이 아닐까?

세상에는 없는 게 3가지가 있다. ①정답이 없다. ②비밀이 없다. ③공짜가 없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 분명히 알고 있는 것 3가지가 있다. ①사람은 분명히 죽는다. ②나 혼자서 죽는다. ③아무것도 가지고 갈 수 없다.

또 죽음에 대해 모르는 것 3가지가 있다. ①언제 죽을지 모른다. ②어디서 죽을지 모른다. ③어떻게 죽을지 모른다. 그래서 항상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모든 사람이 태어나는 방법은 거의 비슷하지만, 죽는 방법은 천차만별하다. 그래서 인간의 평가는 태어나는 것보다 죽는 것으로 결정된다.

내가 세상에 올 땐 나는 울었고, 내 주위의 모든 이들은 웃었다. 내가 이 세상을 떠나갈 땐, 사람들이 아쉬워 우는 가운데, 나는 웃으며 홀홀히 떠나가자.>

여든이 지난 나는 미구에 닥칠 죽음을 이따금 떠올려 본다. 김훈 작가의 글을 두번에 걸쳐 옮기는 것은 각자에게 닥칠 죽음에 미리 대비하자는 뜻도 있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