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육사에 없는 것···김홍일·김종오 장군 등 ‘전쟁영웅’ 조형물 설치를”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육사의 존재를 모르시는 분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육사에 꼭 있을 것으로 생각하시겠지만,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는 것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전쟁영웅’을 기리는 동상입니다.
육사와 같은 군사학교에 그분들의 조형물이 없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시면 큰 오산입니다. 한국건축가협회에서는 육사 교정을 ‘현대건축 미니박물관’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건축 분야의 김중업, 김수근, 김종성 작가를 포함하여 수많은 예술 명장들이 잘 정돈된 육사 교정 이곳저곳에 작품을 남겼습니다. 작품 수가 수십 점이 넘습니다.
물론 안중근 장군상, 밴 플리트 장군상, 심일 소령상, 강재구 소령상은 있습니다.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이들 동상은 육사에서 기리는 ‘위대한 전쟁영웅’에 부합한다고 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모 일간지에서 ‘우리나라 역사를 빛낸 9명의 명장’을 발표했습니다. 바로 고담덕, 김유신, 계백, 척준경, 이성계, 이순신, 김시민, 김좌진, 이세영 장군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분들이 육사 생도들의 표상이 될 ‘전쟁영웅’이 아닐까요? 다만, 육사 교정에 세워질 동상에는 한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바로 육사와 관계성입니다. 얼핏 들어서는 이해되지 않는 면이 있을 것입니다. 반만년 역사의 우리 민족에게는 당연히 존경할 만한 위인들이 많습니다.
다른 곳도 아니고 호국의 간성이 자라는 육사 교정에 이들을 기리는 동상의 설립은 상당히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수많은 기념사업회, 종친회 등의 쇄도하는 요청을 받아들이면, 육사 교정은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저는 만 18세에 육사에 입학했습니다. 가입교 첫날 속옷 한장까지 소포에 싸서 고향집으로 보냈습니다. 그러니 육사는 저에게 모든 것을 다시 챙겨준 또다른 부모입니다. 저는 1년 남짓 소대장 기간을 제외하면 군생활 대부분을 교육기관에서 보냈습니다. 특히 모교에서 13년 남짓 교수로 근무할 수 있는 큰 영광을 누렸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부모와 같은 육사에 대해 무지했습니다. 부끄럽기 그지없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육사 교정에 안중근 장군상을 설치하는 중책을 맡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안중근 장군과 육사와의 관계성을 찾는 일이었습니다. 물론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장군님의 공에 대해서는 시시비비를 가릴 이유가 없습니다.
다행히 안중근 장군님께서는 육사교훈인 ‘知·仁·勇’을 제정한 제9대 육사교장(1951.10.30~1952.11.10)이신 안춘생 장군의 삼촌이라는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단순한 숙질관계가 아니라, 육사교훈 제정의 실질적 가르침의 원천이 안중근 장군님이셨다고 안춘생 장군은 회고하셨습니다. 지금의 육사 교정 안중근 장군상 옆에 육사 교훈석이 나란히 놓여있는 이유입니다.
그런데 당시 저는 육사에 ‘전쟁영웅’을 기리는 동상이 없는 이유가 궁금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유를 찾는 것이 아니고, 육사를 거쳐가는 수많은 졸업생들에게 귀감이 될 수 있는 동상 설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건국과 건군에 역할하신 분 가운데에는 일제에 몸담았던 분이 많았던 이유도 있습니다. 여하간 당시에 저는 소령이었기에 제 의견을 귀담아 들어주신 분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저는 역사학자가 아닙니다. 역사에 관심은 많지만, 갑론을박할 수 있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그러하기에 역사적 사실관계를 논하는 것은 감당할 바가 되질 못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김홍일, 김종오 장군님에 대한 동상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두 분은 맥아더 장군님, 워커 장군님과 함께 한국전쟁의 4대 명장으로 인정받는 분이십니다.
제7대 육사교장(1949.1.15~1950.6.10)을 지내신 김홍일 장군님은 한국전쟁 초기 후퇴하는 국군을 재편성하여 무서운 기세로 남침하는 북한군을 한강에서 저지하신 분이십니다. 덕분에 미군 증원에 필요한 생명과 같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육사교장 재임 중에 선발하여 지도한 생도들이 소위 ‘불암산 호랑이’라 불리는 생도 1기·2기분들이십니다. 훌륭한 스승 밑에 훌륭한 제자가 나오는 것은 당연한 것이겠지요. 특히 김홍일 장군님께서는 일제 치하에서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한 항일무장투쟁에 큰 역할을 하신 바, 세간의 논란거리가 전혀 없으신 분입니다.
제10대 육사교장(1952.11.10~1954.3.12)을 지내신 김종오 장군님은 춘천 지역을 통해 남침하는 북한군을 막아낸 6사단을 지휘하셨습니다. 북한군은 부대를 주공과 조공으로 나뉩니다. 주공은 주로 목표지역을 직접 지향하고, 조공은 목표지역을 우회합니다. 이를 통해 주공, 조공 부대가 목표지역을 포위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 주공은 서울을 직접 지향했고, 조공은 춘천을 거쳐 서울의 후방으로 침투할 계획이었습니다. 북한군 전술은 소위 ‘포위섬멸전’으로 포위된 지대내 유생역량을 소멸해야만 다음 작전을 개시합니다. 북한군 조공부대가 춘천에서 한국군 6사단에 고전을 면치 못하자 포위섬면전 전술구사에 난항을 겪었을 것입니다. 사견입니다만, 이 때문에 서울에 진입한 북한군 주공이 이유없이 3일을 지체한 것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김종오 장군님은 춘천지구 전투 외에도 백마고지에서도 혁혁한 전공을 세우신 분이십니다. 김종오 장군님은 한국전쟁 후반부부터 전후 초기까지 육사교장을 지내셨습니다. 그러하기에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키고, 부국의 기틀을 닦은 수많은 육사출신들을 기르신 장본인이십니다. 일본에서 유학을 하셨지만, 친일 논란에서 자유로우신 분입니다.
일본은 당시 여러 방면에서 선진국이었던 것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군사 분야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군 선배들이 일본식 군사교육을 받았지만, 졸업 후에는 우리 민족의 독립과 광복을 위해 싸우셨습니다. 대표적으로 지청천, 김경천 장군님 등이 계십니다. 일본에서의 교육만으로는 문제를 삼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김종오 장군님 또한 친일 문제에서는 자유로우신 분이라 생각합니다.
얼마 전 군 초급간부들의 낮은 처우와 육사의 높은 퇴교율을 연관짓는 언론 기사가 있었습니다. 후배들의 진충보국盡忠保國 정신이 폄하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팠습니다. 많은 분들이 저에게 제 아이들이 육사에 가려고 한다면 보낼지 묻습니다. 솔직하게 답을 드리자면 ‘반반’입니다. 긍정의 반은 육사의 귀한 가치 때문입니다. 부정의 반은 4년의 생도생활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저는 감사히 육사를 졸업했지만, 제 아이들이 육사를 졸업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육사생도의 퇴교율은 기수마다 차이가 있습니다만, 15~25%에 달합니다.
육사 56기로 1996년 입학한 저희 동기도 251명이 입교하여 203명이 졸업했습니다. 육사생도들이 초급 간부의 낮은 처우 때문에 퇴교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입니다. 육사에서의 4년간은 참으로 가혹합니다. 그 모진 시간을 이겨낸 자들만이 ‘전쟁영웅’ 반열에 오를 수 있습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구국은 ‘전쟁영웅’이 있었기에 가능했음을 역사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육사 교정에 사관생도들의 귀감이 될 수 있는 ‘전쟁영웅’의 표상이 세워졌으면 합니다. 표상을 바라보는 사관생도들이 시류에 흔들리지 않고 똘똘 뭉친 사명감으로 굳세게 나아갔으면 합니다. 내 생명 조국을 위해!
내가 봤을 땐 정권에 빌붙는 백선엽 버리고 김홍일이 흑역사 없는 찬란한 육군 영웅이다. 해군에 손원일이 있다면 육군엔 이범석 김홍일이 있다.
글 잘 읽었습니다 ^^
덕분에 김종오 장군님에 대해서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