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종’ 밀레와 ‘사회계약론’ 루소의 우정

밀레 만종

조선 영조대 부정한 관리를 적발한 암행어사로 이름이 높은 정치가 어사 박문수(朴文秀, 1691~1756)의 일화 중 이런 이야기가 전해온다. 한번은 친척 집에 잔치가 있어 밤을 새웠다가 다음날 일어나서 세수를 하기 위해 박문수는 밖으로 나왔다.

그러자 바로 앞서 세수를 하던 친척의 행동에 박문수가 불쾌해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당시에는 대가족이 함께 모여 살아 내것 네것 구분이 별로 없었고, 생활도 넉넉지 못해 세수 후에 사용되는 수건은 모두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곳에 걸어놓고 사용했다.

그런데 세수를 마친 친척이 여러 사람이 써야 할 수건을 혼자서 온통 다 적셔버리는 것이었다. 모든 수건이 젖어버리자 박문수는 할 수 없이 자신의 옷으로 얼굴을 닦아야 했다. 이 일 얼마 후, 그 친척이 평안감사로 제수되었다는 소식을 접하였다.

그러자 박문수는 임금님에게 이렇게 간청을 했다. “제가 개인적으로는 친척이기 때문에 반대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공적으로 생각해 볼 때, 그는 평안감사 감이 되지 못합니다.” 이 말과 함께 세수 후 남을 배려하지 않고 혼자서 수건을 사용하던 일을 예로 들어 말했고, 임금은 박문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그 친척의 평안감사 제수를 취소했다.

어사 박문수 친척은 수건 한번 잘못 사용한 것을 두고 평안감사가 될 수 없다는 일에 억울해 할 수 있다. 하지만 어사 박문수는 사소한 배려도 하지 못하는 사람이 평안감사로 가게 되면, 백성들에게 어떻게 행동을 할지 짐작할 수 있었기에 임금께 간언을 올린 것이다.

배려는 결코 작은 일이 아니다. 인격은 말과 행동을 통해 나타난다. 하여 배려는 ‘인격이 입는 옷’이라고도 한다. 그럼 진정한 배려는 어떤 것일까? 그 예를 ‘만종’을 그린 밀레와 사상가 루소 얘기에서 찾아보자.

해 질 녘 농부가 수확을 마치고 신에게 감사의 기도를 올리는 장면, 바로 프랑스 화가 밀레의 ‘만종’에 그려진 유명한 이미지다. 밀레는 지금은 세계적으로 알려진 화가지만 처음부터 그의 그림이 인정받은 것은 아니다.

그의 그림을 눈여겨봐 왔던 것은 평론가들이 아니라 ‘자연으로 돌아가라’의 사상가 루소였다. 작품이 팔리지 않아 가난에 허덕이던 밀레에게 어느 날 루소가 찾아왔다.

“여보게, 드디어 자네 그림을 사려는 사람이 나타났네.” 밀레는 친구 루소의 말에 기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의아했다.

왜냐하면 그때까지 작품을 팔아본 적이 별로 없는 무명 화가였기 때문이다. “여보게, 좋은 소식이 있네. 내가 화랑에 자네의 그림을 소개했더니 적극적으로 구입 의사를 밝히더군. 이것 봐, 나더러 그림을 골라 달라고 선금을 맡기더라니까.”

루소는 이렇게 말하며 밀레에게 300프랑을 건네주었다. 입에 풀칠할 길이 없어 막막하던 밀레에게 그 돈은 생명줄이었다. 또 자신의 그림이 인정받고 있다는 희망을 안겨 주었다. 그리하여 밀레는 생활에 안정을 찾게 되었고, 보다 그림에 몰두할 수 있게 되었다.

몇 년 후, 밀레 작품은 진짜로 화단의 인정과 호평을 받아 비싼 값에 팔리기 시작하였다. 경제적 여유를 찾게 된 밀레는 친구 루소를 찾아갔다. 그런데 몇 년 전에 루소가 남의 부탁이라면서 사간 그 그림이 루소의 거실 벽에 걸려있는 것이 아닌가.

밀레는 그제야 친구 루소의 배려의 마음을 알고, 그 고마움에 감동의 눈물을 글썽였다. 가난에 찌들어 있는 친구의 자존심을 지켜주기 위해 사려 깊은 루소는 남의 이름을 빌려 밀레 그림을 사주었던 것이다.

One comment

  1. 위 글에 등장하는 루소는 ‘자연으로 돌아가라’의 루소(Jean-Jacques Rousseau, 28 June 1712 – 2 July 1778)가 아니라, 밀레(Jean-François Millet, 4 October 1814 – 20 January 1875)와 같은 시대에 활약했던 동료 화가 루소(Théodore Rousseau, April 15, 1812 – December 22, 1867)이어야 할 듯 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