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희·비극” 채플린과 ‘아 테스형!’ 나훈아가 만난다면···.

찰리 채플린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다.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 보면

찰리 채플린

그 생각하다가 문득 나훈아의 노래 ‘아 테스형!’ 가사가 떠올라 한번 읊조려 본다.

“어쩌다가 한바탕 턱 빠지게 웃는다./ 그리고는 아픔을 그 웃음에 묻는다./ 그저 와준 오늘이 고맙기는 하여도/ 죽어도 오고 마는 또 내일이 두렵다./ 아 테스 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 아 테스 형 소크라테스 형/ 사랑은 또 왜 이래/ 너

나훈아

어느 나무꾼이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 칡넝쿨을 거두려고 붙들었는데, 그것이 하필 그늘에서 자고 있던 호랑이 꼬리였다. 잠자는 호랑이를 건드린 나무꾼은 깜짝 놀라 나무 위로 올라갔다. 화가 난 호랑이는 나무를 마구 흔들었다. 나무꾼은 놀라서 그만 손을 놓아 나무에서 추락했는데, 떨어진 곳이 하필 호랑이 등이었다.

이번에는 호랑이가 놀라 몸을 흔들었고, 나무꾼은 호랑이 등에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다. 호랑이는 나무꾼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달리기 시작했다. 나무꾼은 살기 위해서 사력을 다해 호랑이 등을 더 꽉 껴안고 있었다. 그런데 한 농부가 무더운 여름에 밭에서 일하다가 이 광경을 보고는 불평했다.

“나는 평생 땀 흘려 일하면서 사는데, 어떤 놈은 팔자가 좋아서 빈둥빈둥 놀면서 호랑이 등만 타고 다니는가?”

누구는 뜨거운 뙤약볕에서 일하고, 남은 호랑이 등을 타고 신선놀음을 하는 듯하다. 그러나 실상을 알고 보면 사람 사는 것이 다 거기서 거기다. 나와 똑같은 고민을 하고 나와 똑같은 외로움 속에서 몸부림을 친다. 남과 비교하면 다 내 것이 작아 보이는 법이다.

월마트 창업자 샘 월튼이 임종을 앞두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았다. 친구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것을 한탄을 하며 크게 후회하였다.

친구가 없는 이유는 내가 다른 사람의 친구가 되어 주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친구를 얻는 일은 전적으로 내 하기에 달려 있다.

예로부터 친구로 삼지 말아야 할 ‘오무’(五無)가 내려온다. 무정(無情), 무례(無禮), 무식(無識), 무도(無道), 그리고 무능(無能)한 인간이다.

그렇다면 참된 친구란 어떤 사람일까? <논어>(論語)에 공자가 제시한 세 가지 기준이 나온다. 먼저 유익한 세 친구 ‘익자삼우’(益者三友)’는 △정직한 사람 △신의 있는 사람 △견문이 넓은 사람이다. 반면 해로운 세 친구 ‘손자삼우’(損者三友)는 △아첨하는 사람 △줏대 없는 사람 △겉으로 친한 척하고 성의가 없는 사람이다.

살아가면서 어찌 ‘익사삼우’만 있겠는가? 내가 먼저 남에게 ‘익자삼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불교에서 ‘도반’은 함께 불도를 수행하는 벗을 말한다. ‘도’로써 서로 사귀는 동무로 불도(佛道)의 성취를 공동목적으로 수행하기에 변함이 없고 한결 같아야 한다. 세속적인 이해관계를 떠나 영생의 진리·의리로써 심월상조(心月相照)·심심상련(心心相連) 하는 ‘법 동지’ ‘법 형제’가 된다.

원불교 정산(鼎山) 종사의 말이다. “옛 성인이 ‘돕는 벗 세 가지가 있나니, 곧고 너그럽고 앎이 많은 벗’이라 하셨는 바, 삼세의 숙연(宿緣)과 윤기(倫氣)로 얽힌 우리 동지들은 세세생생 서로 도울 동지요 도반이라. 서로 서로 곧고 바르게 깨우치며 너그럽고 알뜰히 인도하여, 그렇게 되어야 할 것이니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