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3일] 영국, 인도 암리챠르에서 잔혹한 학살극

2009년 UN안보리 의장, 북 미사일 발사 비난 성명


2009년 4월13일 UN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광명성 2호(光明星 2號) 발사를 비난하는 내용의 의장 성명안을 채택했다. 북한은 이에 반발, 6자 회담의 불참을 선언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요원을 추방했다.

광명성 2호는 은하 2호 로켓에 탑재됐던 인공위성이다. 시험 통신 위성으로, 북한 조선중앙통신사는 5일 오후 3시30분께 “인공위성 ‘광명성-2호’가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국제 사회는 인정하지 않는다. 남한의 청와대는 발사 당일 오전 11시30분 15초에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동해 위성 발사장)에서 로켓을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한국과 미국은 인공위성 발사체가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바다에 떨어졌다고 했다.

안보리 비난 성명이 채택된 지 꼭 3년 뒤인 2012년 4월13일 북한은 또 로켓을 발사했다.

2000년 한국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

2000년 4월13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가 전국에서 실시됐다. 당시까지 총선사상 최저인 57.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역대 최저 투표율이었던 15대 총선의 63.9%에 무려 6.7%나 떨어지는 수치였다. 개표결과 한나라당이 133석으로 제1당을 차지했다. 민주당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115석을 얻었고 자민련은 17석을 확보하는데 그쳐 원내교섭단체구성에도 실패했다. 민국당은 2석, 한국신당은 1석, 무소속은 5석을 차지했다.

당시 한나라당은 영남권 지역구 65석 중 64석을 석권했으며 민주당은 호남권 29석중 공천자 25명을 당선시켰고 무소속 4명도 모두 친여 무소속이어서 이번 선거에도 양당 대결 속에 극심한 지역 몰표현상이 나타났다.

지역구에 출마한 현역의원 207명 가운데 86명(41.5%)이 낙선했다. 선거법 위반건수가 15대의 4배인 2834건에 이르는 등 혼탁했다.

방송사와 여론조사 기관은 1996년에 이어 엉망진창의 출구조사 결과를 발표해 망신을 당했다. 개표결과와 무려 39곳이나 틀린 출구조사를 발표해 물의를 빚은 것이다.

12년이 지난 2012년 총선에서는 투표율이 더욱 낮아졌고, 출구조사와 여론조사 무용론이 더욱 비등해졌다.

1987년 한국 전두환 대통령 호헌조치 담화문 발표

1987년 4월13일 전두환 당시 대통령이 기존처럼 대통령을 간선으로 뽑겠다는 내용의 이른 바 호헌(護憲)조치에 관한 특별담화문을 발표했다.

제5공화국 헌법(대통령 7년 단임·간선제)으로 1998년 2월 정부를 이양하고 개헌 논의는 서울올림픽 이후로 미루겠다는 내용이었다. 곧바로 ‘개헌 논의를 빙자해 실정법을 위반한 행위를 법정 최고형으로 엄단하라’는 당시 법무부장관의 지시가 떨어졌고 가택연금과 함께 집회·시위·성명서 발표 등에 대한 탄압이 시작됐다.

직선제 개헌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찬물을 끼얹는 조치였다. 전 전 대통령의 임기를 1년 정도 남긴 시점에서 정국은 개헌 논의에 모든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야권 정치인 김영삼과 김대중은 이에 앞선 4월8일 신민당을 탈당, 신당 창당을 선언하고 전두환 정권을 압박했다. 당초 신당 참여 의원이 예상을 깨고 70여 명을 넘어서자 위기를 느낀 정권은 신당창당발기인대회 당일(13일) 호헌조치를 발표하게 된 것이다.

4·13 호헌조치로 국민들은 궐기했고, 6·10항쟁으로 이어졌다. 항쟁 19일 만인 6월19일 6·29선언을 통해 4·13 호헌조치가 철회됐다.

1919년 영국의 인도 암리차르 학살 사건

1919년 4월13일 1만여 명의 인도인들이 인도 북부 암리차르의 영국군 요새 앞 자리앙와라 바그 광장에서 롤라트 법의 철폐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영국군의 무자비한 암리챠르 학살(Amritsar massacre)로 희생된 인도인들의 시신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영국은 전쟁 수행을 위해 영국의 식민지인 인도의 도움이 필요해 전쟁 기간동안 인도에서 유화 정책을 펼쳤다. 영국은 인도에 전후 자치권을 넘길 것을 약속해 인도는 독립의 희망을 품고 전쟁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나자 영국은 태도를 바꿔 인도의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을 더 강화하는 ‘롤라트 법’을 만들었고, 이에 인도인들이 극한 반발에 나선 것이다.

영국군은 시위대에 무차별 사격을 가해 4000여 명이 죽고 1000여 명이 부상당하는 등 시위 광장은 순식간에 피바다가 됐다. 이른 바 ‘암리차르 학살사건’이다. 이 사건은 엄격한 보도 통제로 계속 은폐되다가 이듬해 인도 국민회의파에 의해 그 진상이 공표됐다.

학살 사건 이후에도 영국은 인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야만적인 형벌을 도입해 인도인들을 더욱 모욕했다. 그러나 암리차르 학살 사건과 인도인 탄압은 오히려 간디를 중심으로 한 비폭력 저항 운동의 기폭제가 됐다.

이상현 기자 coup4u@theasian.asia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