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서’···농가월령가 ‘유월령’ 읽어보니

넓고 푸른 들판이 끝없이

[아시아엔=편집국] 7일은 소서(小暑)다. 소서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로 양력 7월 7일 무렵이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으로 태양의 황경이 105도인 때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한국은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온다. 농사에 쓸 퇴비를 준비하고 논두렁의 잡초를 뽑는다.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된다.

‘소서’라는 말은 ‘작은 더위’라는 뜻으로 ‘큰 더위’를 뜻하는 ‘대서’에 앞서는 절기이며, 연중에서는 1월 ‘작은 추위’, ‘큰 추위’를 뜻하는 절기인 소한(小寒), 대한(大寒)과 대치되는 시기다.

중국의 전통의학서 <황제내경>(黃帝內經)(BC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소서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候)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소서의 초후(初候)에는 더운 바람이 불어오고, 중후(中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을 타고 다니며, 말후(末候)에는 매가 사나워지기 시작한다. 소서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다.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소서를 전후해서 한반도에는 장마전선이 머무르고, 이 무렵부터 올라오는 태풍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리고 습도가 높아 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농가에서는 이 무렵에 논매기를 했으며, 논둑이나 밭두렁에 훌쩍 자란 풀을 베어 퇴비를 만들고, 보리를 수확한 밭에는 조, 팥, 콩 등을 심어 이모작을 지었다.

충청남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이 무렵에 늦은 모내기를 하기도 했다. 여름 채소가 많이 나며, 자두나 참외와 같은 햇과일이 풍부하고, 수확한 보리나 밀로 별식을 해먹기도 한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중 ‘유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7월 무렵에 해당)’에 소서, 대서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한다. 유월령은 다음과 같다.

유월이라 계하되니 소서 대서 절기로다
대우도 시행하고 더위도 극심하다
초목이 무성하니 파리 모기 모여들고
평지에 물이 괴니 악마구리 소리 난다
봄보리 밀 귀리를 차례로 베어내고
늦은 콩 팥 조 기장은 베기 전에 대우들여
지력을 쉬지 말고 극진히 다스리소
젊은이 하는 일이 기음매기 뿐이로다
논밭을 갊아 들어 삼사차 돌려 맬 제
그 중에 면화밭은 인공이 더 드나니
틈틈이 나물밭도 북돋아 매 가꾸소
집터 울밑 돌아가며 잡풀을 없게 하소
날 새면 호미 들고 긴긴 해 쉴 새 없이
땀 흘려 흙이 젖고 숨막혀 기진할 듯
때마침 점심밥이 반갑고 신기하다
정자나무 그늘 밑에 좌차를 정한 후에
점심 그릇 열어 놓고 보리 단술 먼저 먹세
반찬이야 있고 없고 주린 창자 메인 후에
청풍에 취포하니 잠시간 낙이로다
농부야 근심마라 수고하는 값이 있네
오조 이삭 청태콩이 어느 사이 익었구나
일로 보아 짐작하면 양식 걱정 오랠소냐
해진 후 돌아올 제 노래 끝에 웃음이라
애애한 저녁 내는 산촌에 잠겨 있고
월색은 몽롱하여 발길에 비치구나
늙은이 하는 일도 바이야 없을 소냐
이슬 아침 외 따기와 뙤약볕에 보리 널기
그늘 곁에 누역 치기 창문 앞에 노 꼬기라
하다가 고달프면 목침 베고 허리 쉬움
북창풍에 잠이 드니 희황씨 적 백성이라
잠깨어 바라보니 급한 비 지나가고
먼 나무에 쓰르라미 석양을 재촉한다
노파의 하는 일은 여러 가지 못하여도
묵은 솜 들고 앉아 알뜰히 피어내니
장마의 소일이요 낮잠자기 잊었도다
삼복은 속절이요 유두는 가일이라
원두밭에 참외 따고 밀 갈아 국수하여
가묘에 천신하고 한때 음식 즐겨보세
부녀는 헤피 마라 밀기울 한데 모아
누룩을 드리어라 유두국을 켜느니라
호박나물 가지김치 풋고추 양념하고
옥수수 새 맛으로 일 없는 이 먹여보소
장독을 살펴보아 제 맛을 잃지 말고
맑은 장 따로 모아 익는 족족 떠내어라
비오면 덮어두고 독전을 정히 하소
남북촌 합력하여 삼구덩이 하여 보세
삼대를 베어 묶어 익게 쪄 벗기리라
고운 삼 길삼하고 굵은 삼 바 드리소
농가에 요긴키로 곡식과 같이 치네
산전 메밀 먼저 갈고 포전은 나중 갈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