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민족정기 확립은 아직 우리의 과제다”···김수옥·김자동·김정륙·이종찬·차영조 등 독립운동 유족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기념 사진(1919년 10월 11일). 앞줄 왼쪽부터 신익희, 안창호, 현순. 뒷줄 김철, 윤현진, 최창식, 이춘숙 <사진=위키피디아>

민족정기 확립은 아직 우리의 과제다
? ? ? ? ? ? ? ? ? ? ? ? ? ? ? –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는 사람들의 입장
?
?
올해 2019년은 3·1혁명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다.??100년 전 3·1독립선언문은 이 나라가 독립국임과 우리 겨레가 자주민임을 천명했다.
?
대한은 다른 나라에 예속되지 않은 나라이며, 대한사람이 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선언이었다. 임시정부는 3·1독립선언문의 결실이며 동시에 3·1혁명의 실행자였다.? 이 임시정부가 우리에게 ‘대한민국’이라는 국호와 민주공화제를 안겨주었다.
?
대한제국에서 대한민국으로 민족사가 이어졌으며, 임금이 대한의 주인이 아니라, 국민이 대한의 주인임을 만천하에 알렸다.? 하지만 3·1혁명 정신과 임시정부의 도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
일본제국주의의 폭정은 강고했고 임시정부는 27년 동안 타국에서 풍찬노숙하며 조국광복을 위한 지난한 싸움을 이어가야 했다.
?
1945년 8·15 광복은 감격이었다.
광복은 3·1혁명 정신의 역사적 승리를 의미했다.?자주독립국가 건설과 민주공화정 실현이 민족의 남은 과제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광복은 우리에게 미완의 광복으로 남았다.
?
일제 잔재는 청산되지 못했고, 한반도는 분단과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어야 했다.?특히 ‘반민특위’의 좌절은 뼈아픈 것이었다.
개인의 부귀와 영달을 위해 나라를 팔아먹은 반민족행위자들에 대한 엄벌은 민족 정신의 준엄한 명령이었다.
?
그러나 반민족행위자들은 자신들의 신분을 공산주의와 싸운 민족주의자로 세탁했고, 대한민국 기득권층으로 살아남았다.
?
역사의 심판과 반성에는 시효가 없다.
?
반민족행위자들이 득세한 민족공동체에게 미래는 없다.??일제 잔재 청산을 통한 민족정기 확립이 해방이후 70여년이 흘렀어도 여전히 우리의 과제가 되는 이유다.
?
우리는 미래지향적인 화합과 통합을 지지한다.
?
그러나 그것은 반민족행위자들에게 대한 엄중한 징치와 이들의 처절한 자기반성이 전제되었을 때만 가능하다.??때문에 우리는 최근 사회 일각에서 제기된 ‘반민특위로 인해 민족분열’이나 ‘관제 민족주의’발언에 대해 심각한 유감과 우려를 표한다.? 이런 발언들은 3·1혁명 정신과 민주공화정 전진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우리는 지금 지난 100년을 돌아보며 새로운 100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역사는 평화통일된 자주독립국가 건설과 민주공화정 실현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2016년 촛불 혁명이 그 전환점이었다.
3·1혁명의 거센 물줄기가 4.19 혁명과 5월 광주민주화운동, 그리고 1987년 6월 항쟁을 거쳐 오늘날까지 거세게 흐른 것이다.
?
민족정기 확립은 그 물줄기가 우리에게 부여한 엄중한 요구이다.
?
국민이 주인되는 민주공화정의 완성을 위해, 평화와 화합의 기운이 만개한 한반도를 열어나가기 위해 이 과제를 풀어나가자.?그것이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선열들에 대한 우리들의 최소한의 의무이다.
?
3·1혁명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
2019년 3월 25일
?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김수옥 (우사 김규식연구회장, 김규식의 손녀)
김자동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
김정륙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부회장, 김상덕 반민특위위원장의 아들)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이만열 (숙대 명예교수·전 국사편찬위원장)
이부영 (몽양 여운형선생 기념사업회 이사장)
이종찬 (이회영 장학회 이사장, 이회영의 손자)
이해동 (반헌법행위자열전편찬위원회 공동대표)
임재경 (조선민족대동단기념사업회장)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
조세현 (순국선열유족회 감사)
차영조 (효창원7위선열기념사업회, 차리석의 아들)
채현국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고문)
?
?

Leave a Reply